종합(출퇴근 1).jpg

호주의 일자리가 대도시 CBD에 집중되 도심 인근에 거주하는 근로자들의 장거리 출퇴근이 문제가 되고 있다. 사진 ABC 뉴스화면 캡처

 

왕복 시간 너무 오래 걸려, 전문가들 “도시 인근 일자리 창출 필요”

 

일자리와 인구성장은 호주 정부의 오랜 슬로건이다. 문제는 이 둘의 지역적 편중 현상과 불균형이다. 지난 6월 중순께(13일) ABC 방송 프로그램 The Business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통계청 인구조사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인용, 보도했는데 이에 따르면 신규 일자리가 일부 지역에 몰려 있어 근로자들의 장거리 출퇴근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인용된 자료에 따르면 시드니와 멜번의 중심부에 가장 많은 일자리가 분포되어 있어 2016년 이 두 지역의 노동인구는 약 100만 명을 기록했다. 특히 시드니 파라마타(Parramatta)는 2016년 13만 명의 노동인구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밖에 타스마니아(Tasmania) 호바트(Hobart)와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퍼스(Perth)도 일자리 성장이 두드러진 지역으로 꼽혔다.

 

멜번 윈덤 거주 인구

대부분 타 지역서 근무

 

빅토리아 주 멜번 남서부 서버브 윈덤(Wyndham)은 2011~2016년 사이 호주에서 가장 큰 인구 성장을 기록한 서버브 중 하나로, 통계에 따르면 5년 사이 65,000명의 인구가 증가했다. 베이비붐(baby booms) 현상과 귀농(tree-changers) 인구 및 은퇴 후 바닷가 근처에 살고자 하는 사람들(sea-changers)이 이곳에 몰려든 것이 그 원인으로 꼽힌다는 분석이다.

2011년 호주 인구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 걸친 윈덤 지역의 노동인구는 43,401명이었다. 당시 거주 인구가 161,577명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거주인구 대비 노동인구는 27%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따라서 당시 거주 및 노동인구는 11만8천명으로 이들은 모두 다른 지역에서 일자리를 구한 상태였다.

그 후 5년 사에 윈덤 지역의 노동인구는 성장세를 거듭해 2016년 61,909명으로 증가했으나, 거주인구 또한 217,118명으로 늘어나 전체 거주/노동인구 대비 부족한 일자리 수는 155,000개로 더욱 늘어났다. 다시 말해 다른 지역으로 출퇴근 하는 인구가 5년 동안 37,000명으로 늘어난 셈이다.

인구성장 속도와 일자리 성장 간의 불균형은 출퇴근길 고속로의 교통체증을 야기하고 있으며, 외곽지와 도심을 연결하는 기차역은 많은 승객들로 붐비고 있다.

타 지역으로 출근하는 인구가 많은 윈덤 지역의 경우 매일 주중 오전 7시 30분부터 시작되는 혼잡 시간 대에는 기차역 인근 도로에 불법 주차도 문제가 되고 있다. 지역 카운슬은 기차역 주변 불법주차 단속으로만 1백만 달러 이상의 벌금을 거둬들이기도 했다.

윈덤의 한 주민은 특히 어린 자녀를 둔 가족들의 출퇴근길이 전쟁에 가깝다며 기차역까지 매 10~15분마다 운행하는 버스 서비스를 고안 중이라고 전했다.

호주통계청(ABS)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윈덤 주민들은 매일 출퇴근길 편도에만 45분 이상을 기차에서 보낸다.

 

종합(출퇴근 2).jpg

지난 5년간 호주에서 가장 큰 인구 성장세를 보인 도시 중 하나인 멜번의 윈덤(Wyndham)은 거주민의 80% 가량이 타지역으로 출퇴근을 하고 있다. 이 지역 기차역 근처는 매일 아침 주차공간 확보 전쟁이 발생하고 있다. 사진 ABC News

 

종합(출퇴근 3).jpg

윈덤(Wyndham)의 기차역은 매일 아침 도심으로 출근하는 이들로 붐빈다. 사진 ABC News

 

도시 외곽지 아닌

인근에 일자리 필요해

 

과거에는 많은 공장과 사업체들이 근로자들과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었다. 예를 들어 애들레이드(Adelaide) 서버브인 엘리자베스(Elizabeth)와 빅토리아(Victoria) 주 질롱(Geelong) 및 멜번(Melbourne)이 이런 지역에 해당됐다.

그러나 ‘Strategy Planning Group’의 데이비드 찰크(David Chalke) 학장에 따르면 호주 제조업이 위축되면서 정부가 외곽지나 지방지역 보다 서버브 지역의 일자리 창출에 집중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거주지와 직장 간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는 현상이 발생됐다.

찰크 학장은 “일자리와 주거지가 서로 다른 지역에 몰리게 되면 처음에는 비용이 적게 들지만, 통근자들이 매일 출퇴근으로 잃게 되는 시간과 비용이 점차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효율비용은 보이지 않지만 효율성의 손실액은 전체 국가경제에 타격을 준다”고 강조했다.

 

김진연 기자 /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출퇴근 1).jpg (File Size:60.3KB/Download:21)
  2. 종합(출퇴근 2).jpg (File Size:77.4KB/Download:21)
  3. 종합(출퇴근 3).jpg (File Size:32.1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37 호주 불법 바이키갱 ‘코만체로’ 전 두목 믹 하위, 총 맞고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8.02.22.
3136 호주 GABS Hottest 100 Aussie Craft Beers... file 호주한국신문 18.02.22.
3135 호주 NSW 초등생 ‘징계’ 크게 늘어나, 2년 사이 10%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22.
3134 호주 RBA, “법인세 낮추면 국가 재정적자 발생”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8.02.22.
3133 호주 NSW 교육부, “HSC 부담감 줄이고 ‘성장 마인드’ 갖자” file 호주한국신문 18.02.22.
3132 호주 “호주의 동계올림픽, 향후 더 좋은 결과 나올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8.02.22.
3131 호주 호주 공정경쟁소비자위원회, 무작위 전화사기 ‘주의’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22.
3130 호주 시드니 오토바이 갱단 보복 살육전 ‘재점화’ 폭력조직 코만체로 직전 두목 마흐무드 하위 피살 톱뉴스 18.02.26.
3129 호주 모리슨 재무장관 “보좌진과의 불륜, 사생활아니다” 톱뉴스 18.02.26.
3128 호주 호주 금융전문가가 바라본 호주 달러화 전망 톱뉴스 18.02.26.
312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796채의 주택, 매물로... 낙찰률 70% file 호주한국신문 18.03.01.
3126 호주 예비 주택 구입자들, 주거지 상태 사전 조사 ‘미흡’ file 호주한국신문 18.03.01.
3125 호주 고령화 사회... 호주 전역서 매일 250명 ‘치매 환자’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18.03.01.
3124 호주 기술 인력 시간당 임금 가장 높은 시드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8.03.01.
3123 호주 시드니 경전철, 첫 시험운행... 제반 시스템 점검 file 호주한국신문 18.03.01.
3122 호주 책읽기 싫어하는 자녀, ‘책벌레’로 만드는 5단계 file 호주한국신문 18.03.01.
3121 호주 국민당 새 대표에 맥코맥 의원 선출... 연방 부총리 임명 file 호주한국신문 18.03.01.
3120 호주 이중국적-성추행 논란에 보좌관과의 염문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3.01.
3119 호주 전 세계 여행자들이 좋아하는 도시, 정작 현지인은 시드니를 떠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3.01.
3118 호주 “’호주 이민 임계점 도달’ 주장, 터무니 없다” 톱뉴스 18.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