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지방도시).jpg

주요 도시의 주택 가격 상승으로 도시 와곽으로 이주하는 이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지방 도시로의 이주가 출퇴근 시간은 물론 주거 비용(주택담보 대출 상환액) 면에서 훨씬 경제적이라는 조사가 나왔다. 사진은 NSW 주의 한 지방 타운.

 

‘Regional Australia Institute’ 조사 보고서, 평균 소득-주거비 비교 결과

 

시드니나 멜번(Melbourne) 등 대도시 거주자들의 가장 큰 고민은 높은 주택 가격 및 먼 거리 출퇴근이다. 이런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라면, 지방 중심 도시로의 이주가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 듯하다.

호주 주요 대도시 외곽 지역에 사는 이들의 경우, 아예 지방 중심 도시에 거주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더 좋다는 새 연구결가 나왔다.

최근 ‘Regional Australia Institute’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지방 도시로 이주함으로써 출퇴근 거리는 물론 주택 구입을 위한 대출금 상환액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동 연구원의 공동 책임자 중 한 명인 킴 휴턴(Kim Houghton) 박사는 지방 이주를 고려하는 이들에게 있어 ‘평균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은 결정을 내리기 위한 좋은 척도라면서 “각 주의 대도시 주택 소유자들은 지방도시 거주민들과 평균 소득은 비슷한 수준이지만 주택담보 대출금 상환은 거의 두 배를 지출한다”고 말했다.

 

연구원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시드니 교외 지역 노동자들의 경우 평균 소득은 연간 $80,088이다. 이는 NSW 지방도시 노동자들의 평균 연봉 $71,281보다 약간 많을 뿐이다.

반면 ‘트리 체인지’(tree change. 대도시에서 지방 지역으로의 이주)를 하게 되면 주택 가격은 절반 수준의 차이가 난다. 실제로 시드니 교외 지역 중간 주택 가격은 $1,006,105이지만 지방 도시는 $500,967이다. 다만 대도시와 지방 중심 도시의 평균 출퇴근 거리는 거의 17km로 동일했다.

멜번 또한 시드니와 유사한 패턴이다. 멜번 외곽 지역 노동자들의 평균 임금은 연간 $75,067로, 빅토리아(Victoria) 주 지방도시 근로자들의 평균 소득인 $59,396와 비교해 현격한 차이는 아니다. 반면 주택 가격은 절반 이상 차이가 난다. 멜번 외곽의 중간 주택 가격은 현재 $776,276에 달하지만 빅토리아 주 지방 중심 도시의 중간 가격은 $344,365이다. 출퇴근 거리도 지방도시의 경우 멜번 거주자에 비해 1.3km가 줄어든다.

휴턴 박사는 “주택담보 대출금 상환 비용이 많고 직장까지 오가는 시간이 너무 길다면 지방 이주를 고려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호주 국내 거주지 이주 상황을 보면 이런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수년간 시드니로 이주하는 이들에 비해 시드니를 벗어나는 이들이 더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지방도시2).jpg

사진은 시드니 도심 (Pixabay)

 

인구학자인 사이먼 쿠스테마커(Simon Kuestenmacher)씨 또한 의견을 같이 한다. 각 주 주요 도시의 인구 흐름이 이런 전환점(tipping point)을 지났다는 말이다.

그는 “지방 중심 도시로 이주하는 이들은 대도시에 비해 더 나은 삶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며 “비록 평균 소득은 줄어들겠지만 주택 모기지 상환 비용과 짧은 출퇴근 시간은 이를 충분히 상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쿠스테마커씨는 이어 “각 지방도시의 인구 증가를 장려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는 이미 노동력 부족을 겪고 있는 이 도시들의 일자리를 더욱 성장시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휴턴 박사는 “지방 도시들도 교육, 보건, 문화 활동의 다양성 등에서 거주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주를 고려하는 대도시 거주자들을 망설이게 하는 것은 이런 ‘문화적 혜택이 미흡할 것’이라는 인식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많은 이들이 지방 지역에 대한 이 같은 부정적 인식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비록 가뭄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지역도 있지만 영향을 받지 않는 다른 지역들도 많다”면서 “지방 지역에는 노동력 부족으로 많은 일자리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서부 호주(WA) 퍼스(Perth) 거주자들 또한 서부 호주의 지방 도시에서 훨씬 저렴한 주거지를 마련할 수 있다. 현재 퍼스 거주민의 평균 소득은 $76,727이다. 이는 지방 도시 노동자들의 연평균 소득 $68,723에 비해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주택 가격은 현격한 차이가 있다. 퍼스 교외 지역 중간 주택가격은 $524,895인 반면 지방 도시 중간가격은 $378,319이다. 다만 출퇴근 거리는 지방 도시 노동자들이 퍼스 외곽 사람들에 비해 1.8km가 긴 것으로 집계됐다.

그런 한편 브리즈번(Brisbane)은 상황이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브리즈번 외곽 거주자들의 평균 한해 임금이 $68,912인데 비해 퀸즐랜드(Queensland) 주 지방도시 노동자들의 평균 소득은 $69,799로 약간 더 높았다. 주택 가격 또한 지방 도시가 높아 브리즈번의 경우 중간 가격은 $415,142이지만 지방 도시의 경우 $468,171에 달했다.

 

부동산(지방도시3).jpg

사진은 킹스 파크에서 내려다 보이는 퍼스 시내 (Pixabay)

 

시드니-NSW 주 지방도시의 주요 경제 지표

(2016년 기준. 지역 : 인구 / 수입-$ / 실업률-% / 주택 가치-$ / 출퇴근 거리)

-Inner city : 1,087,300 / 101,918 / 5.03 / 1,844,645 / 8

-Outer suburbs : 3,594,500 / 80,808 / 6.26 / 1,006,105 / 16.6

-Included regional centres : 1,499,497 / 71,281 / 6.36 / 500,967 / 16.8

Source: ABS Census, Regional Australia Institute

 

멜번-빅토리아 주 지방도시의 주요 경제 지표

-Inner city : 1,156,602 / 85,016 / 6.69 / 1,154,287 / 9.5

-Outer suburbs : 3,402,091 / 75,067 / 6.79 / 776,276 / 17.6

-Included regional centres : 709,924 / 59,396 / 6.79 / 344,365 / 15.9

Source: ABS Census, Regional Australia Institute

 

퍼스-서부 호주 주 지방도시의 주요 경제 지표)

-Inner city : 596,730 / 82,611 / 7.37 / 755,042 / 9.9

-Outer suburbs : 1,390,530 / 76,727 / 8.28 / 524,895 / 17

-Included regional centres : 380,490 / 68,723 / 8.15 / 378,319 / 18.8

Source: ABS Census, Regional Australia Institute

 

브리즈번-퀸즐랜드 주 지방 도시의 주요 경제 지표

-Inner city : 1,176,807 / 83,720 / 6.8 / 638,500 / 11.5

-Outer suburbs : 1,091,742 / 69,799 / 8.02 / 415,142 / 19.4

-Included regional centres : 1,863,324 / 68,912 / 7.64 / 468,171 / 16.9

 

(2016년 기준. 지역 : 인구 / 수입-$ / 실업률-% / 주택 가치-$ / 출퇴근 거리)

Source: ABS Census, Regional Australia Institute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지방도시).jpg (File Size:73.2KB/Download:18)
  2. 부동산(지방도시2).jpg (File Size:84.4KB/Download:16)
  3. 부동산(지방도시3).jpg (File Size:87.9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117 호주 GET OUT, STAY OUT and CALL TRIPLE ZERO(000) file 호주한국신문 19.08.15.
2116 호주 소득 격차 따른 연간 복지비용, 전년 대비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8.15.
2115 호주 “어린 학생들에게 스포츠 참여 강요하면 평생 운동 못하게 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08.15.
2114 호주 NSW 초등학교 어린이들, 학교에서 무료 덴탈 체크업 받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8.15.
2113 호주 호주 이민부, 글로벌 우수 인재 5천명에게 영주권 부여 톱뉴스 19.08.20.
2112 호주 RBA 로우 총재 “실업수당 인상으로 경기부양하라” 톱뉴스 19.08.20.
2111 호주 골드만 "호주달러 환율 전망 하향…3개월 뒤 0.68달러" 톱뉴스 19.08.20.
2110 호주 ‘산고’ 끝 통과 NSW낙태 허용법, 베레지클리안 주총리에 ‘진통’ 톱뉴스 19.08.20.
2109 호주 공룡 미디어 그룹 ‘나인 엔터테인먼트’, 맥콰리 미디어 완전 인수 톱뉴스 19.08.20.
210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젊은 투자자들 “지금이 주택 구매의 적기...”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2.
2107 호주 Sydney Auction Report... 7월 경매 낙찰률 높아진 통계수치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2.
2106 호주 인구는 늘고 집값은 치솟고...“출퇴근 시간 너무 오래 걸려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2.
2105 호주 “원주민 시각에서 우리의 영웅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2.
2104 호주 “야생 캥거루 조심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2.
2103 호주 홍콩시위... 호주 대학 내 중국계 학생들간 폭력 충돌 위험성 고조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2.
2102 호주 호주, 신형 방사포 시험사격 북한 규탄 톱뉴스 19.08.27.
210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사는 사람 맘대로? NO, 파는 사람 맘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
2100 호주 부동산 시장 ‘반등’ 징후... 전체 시장 회복세 이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
» 호주 지방 중심지 거주자들 대도시 비해 출퇴근 시간-모기지 ‘절약’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
2098 호주 호주 운전자 1천100만 명, 운전 도중 위험한 행동 저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19.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