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셀피 1).jpg

위험한 장소에서 셀피(selfie)를 찍다가 끔찍한 사고가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시드니 동부 해안 절벽 산책로에 자리한 다이아몬드 베이(Daimond Bay)의 한 바위에서 사진을 촬영하던 20대 여성이 30미터 아래로 추락해 사망했다. 사진은 사고가 발생한 바위.

 

지역 당국 ‘위험 경고’ 불구, ‘다이아몬드 베이 리저브’ 해안 절벽에서

 

매년 수백 만 명의 해외여행자가 방문하는 호주의 매력은 빼어난 자연경관이다. 하지만 위험한 장소임을 알면서도 색다른 모습을 담아내고자 셀피(selfie)를 찍는 행동이 끔찍한 사고로 이어지기는 일이 연속 발생, 경각심을 주고 있다.

 

지난해 5월, 한 20대 남성이 서부 호주(Western Austalia) 알바니(Albany) 인근의 악명 높은 절벽 ‘The Gap’에서 사진을 찍으려다 추락해 사망한 일이 있었으며, 8월에는 미국인 10대 여행자가 시드니 남부 커넬(Kurnell)에 있는 ‘케이프 솔랜더’(Cape Solander)에서 셀피를 찍다가 미끄러지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시드니 거주민들이 즐겨 찾는 로얄 내셔널 파크(Royal National Park) 안에 자리한 ‘웨딩케이크 바위’(Wedding Cake Rock)에서도 소셜미디어(SNS)에 올릴 사진을 찍으려는 여행객들의 부주의한 행동으로 사고가 종종 발생하자 NSW 주 국립공원 및 야생서비스(National Parks and Wildlife Service. NPWS)는 지난해 8월 NSW 주 경찰에 협조를 요청, 이 지역 안전을 위한 노력에 착수하고 위험한 행동을 자제해 달라고 지역주민들과 관광객들에게 특별 홍보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종합(셀피 2).jpg

다이아몬드 베이 리저브(Daimond Bay Reserve) 관리 당국은 안전 표지판 및 레일을 설치, 방문객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고 밝히며 방문객 스스로 안전의식을 가질 것을 당부했다.

 

그런데 최근, 멋진 풍경을 가진 반면 위험성이 높은 지역에서의 셀피를 자제하는 당국의 당부에도 불구, 시드니 동부의 한 해안 절벽에서 유사한 사고가 또 발생했다.

지난 8월17일(토) 오전 11시20분경, 27세의 여성이 버클루즈(Vaucluse)의 다이아몬드 베이(Diamond Bay) 해안 절벽에서 30미터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이 여성은 추락하기 전 이곳에서 사진을 촬영하고 있었고, 피해자는 시드니에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가 접수된 후 경찰은 응급서비스 및 경찰청 헬기 구조대(PolAir)를 동원, 구조작업을 벌여 여성을 찾아내고 심폐소생 등을 시도했으나 결국 사망했다.

시드니 동부 지역(region)에는 해안 절벽을 따라 여러 산책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멋진 풍광으로 시드니 거주민은 물론 해외여행자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이번에 사고가 난 다이아몬드 베이의 바위 절벽 또한 동부 지역의 잘 알려진 ‘셀피 스폿’(selfie spot) 중 하나이다.

 

이런 장소에서의 사고 위험성이 높아지자 버클루즈를 관할하는 웨이벌리 카운슬(Waverley Council)은 올해 초 다이아몬드 베이 리저브(Diamond Bay Reserve)의 해안 절벽길에서 셀피를 찍는 행위를 규제할 방안을 고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사고가 난 이 절벽은 과거 한때 압세일링(abseiling. 암벽 등에서 줄을 타고 오르내리는 스포츠의 한 종류) 장소로 이용된 바 있는데 지난 2001년 웨이벌리 카운슬은 이 절벽의 위험성과 안전을 이유로 이를 금지했었다.

닉(Nic)이라고만 밝힌 이 지역 거주자는 이날 사고가 발생한 장소에 대해 “젊은 커플들의 웨딩 촬영 장소로 인가가 많았다. 그러나 바람이 조금만 세게 불어도 상당히 위험하다”며 “그럼에도 당국은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1년 사이 이곳을 찾아 웨딩사진 또는 셀피를 찍는 이들이 늘어났다”며 “이 같은 비극이 더 일찍 발생되지 않은 게 이상할 정도다. 이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이들 또한 같은 생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고 당시 상황을 지켜봤다는 닉씨는 웨딩촬영을 하던 이들이 안전을 위해 설치한 레일을 넘어 가장자리로 갔다고 경찰에 증언했다.

웨이벌리 카운슬은 다이아몬드 베이 리저브의 순찰을 강화, 방문객들의 안전을 도모해 왔다. 카운슬 대변인은 “주요 해안 구역과 공원에 안전 표지판을 설치하고, 안전 레일을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면서 “우리 구역을 찾는 모든 이들 스스로가 위험 행동을 자제하고 자신의 안전을 우선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셀피 1).jpg (File Size:101.8KB/Download:36)
  2. 종합(셀피 2).jpg (File Size:92.7KB/Download:4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97 호주 호주 경제 선두 NSW 주, 주택공급 부족으로 1위 ‘위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6 호주 비만, “사회적 전염 가능성 있다”... 미 연구진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5 호주 심리학자가 주는 ‘매일의 행복감 찾기’ 다섯 가지 조언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4 호주 신기술 혁신... 30년 이내 호주인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3 호주 신규 보육 서비스 지원 패키지... ‘보조금 제도’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2 호주 연방 정부, 세계 최고 건강 추구하는 ‘국가적 임무’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1 호주 전 세계 국가와 비교한 호주 각 주(state)의 경제 규모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0 호주 공립-사립-셀렉티브 학교,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89 호주 상속세 없는 호주, 부유층 이민자들이 몰린다 톱뉴스 18.02.02.
3188 호주 5세 이하 NSW 아동 독감 예방주사 무료 톱뉴스 18.02.02.
3187 호주 연방정부 캐비넷 문건 유출 파동 확산 톱뉴스 18.02.02.
3186 호주 타이완, 타스마니아 산 과일 수입 금지 톱뉴스 18.02.02.
3185 호주 시민권 취득자 감소세… 장기 심사 대기자는 증가 톱뉴스 18.02.02.
3184 호주 임금•물가 상승률 추월한 사립학교 학비 인상폭 톱뉴스 18.02.02.
3183 호주 시드니 남부 및 캔터베리-뱅스타운 아파트 가격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2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Youth Summit’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1 호주 NSW 주 ‘어린이 스포츠 활동비’ 1명당 연간 100달러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0 호주 중앙은행, 18개월째 최저 기준금리 1.5%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79 호주 호주 5개 주요 도시, 지난 10년 사이 실질 주택가치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78 호주 교실에서의 스마트폰, 학습 성과에 방해일까 효과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