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대학생들, 호주포함 국제사회에 ‘해결책’ 호소

홍콩 캐리 람 행정장관의 송환법 철회 발표 조치에도 불구하고 홍콩 대학생들은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호주를 비롯한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완전한 해법’을 찾겠다며 전방위 공공외교 활동에 나섰다.  

이를 위해  홍콩 시위대 대표단은 호주를 방문해 외무부를 비롯 연방의회 고위 지도급 인사들을 만나 협조를 호소했다.

이들 대표단은 홍콩 시위에 대한 호주 정부의 지지와 격려에 감사를 전하며, 호주 등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지지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한 관계자는 “중국 정부는 홍콩 시위대를 두려워하지 않지만, 국제 사회는 두려워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들 대표단은 “홍콩 내 상황이 계속 악화되고 있다”면서 “호주 내 홍콩계 학생들에 대한 보호 비자가 필요할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녹색당은 “홍콩 출신 유학생들에 대한 정부 차원의 보호 대책이 필요하다”며 1989년 천안문 사태 당시 봅 호크 노동당 정부가 취한 특별조치를 상기시켰다.

녹색당은 홍콩 사태와 관련해 “과거 천안문 사태 직후와 마찬가지로 홍콩 출신자들에게 영구적인 보호 대책 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한 것.  

녹색당의 리차드 디 나탈레이 당수는 “경찰과 홍콩 시위대의 충돌이 격화되는 등 사태가 악화되고 있는 만큼 호주에 체류중인 홍콩 주민들에게 호주 내의 영구적 보호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난 1989년 천안문 사태 직후 호주의 봅 호크 당시 연방총리(노동당)는 당시 호주에 유학중이던 4만여 명의 중국 학생들에게 모두 난민지위를 부여해 영주권을 허용한 바 있다.

호주에는 현재 홍콩 주민이 약 1만 9000명 가량 체류중이다.

나탈레이 당수는 “평화적 시위를 무력적으로 진압하는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으며, 호주는 홍콩 주민들과 연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천안문 사태 직후 봅 호크 총리가 보여준 인도주의적 결단력을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도 이어갈 기회가 주어진 것”이라며 “비극적 상황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된 모든 이들에게 관대함과 자비로움을 베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는 “아직 그런 문제를 고려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일축했다.

 

사진 (AAP Image/James Ross)  반 중국, 홍콩 지지 시위를 펼치는 호주 내 홍콩 교민 및 현지인들.

©TOP Digital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97 호주 호주 경제 선두 NSW 주, 주택공급 부족으로 1위 ‘위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6 호주 비만, “사회적 전염 가능성 있다”... 미 연구진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5 호주 심리학자가 주는 ‘매일의 행복감 찾기’ 다섯 가지 조언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4 호주 신기술 혁신... 30년 이내 호주인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3 호주 신규 보육 서비스 지원 패키지... ‘보조금 제도’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2 호주 연방 정부, 세계 최고 건강 추구하는 ‘국가적 임무’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1 호주 전 세계 국가와 비교한 호주 각 주(state)의 경제 규모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0 호주 공립-사립-셀렉티브 학교,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89 호주 상속세 없는 호주, 부유층 이민자들이 몰린다 톱뉴스 18.02.02.
3188 호주 5세 이하 NSW 아동 독감 예방주사 무료 톱뉴스 18.02.02.
3187 호주 연방정부 캐비넷 문건 유출 파동 확산 톱뉴스 18.02.02.
3186 호주 타이완, 타스마니아 산 과일 수입 금지 톱뉴스 18.02.02.
3185 호주 시민권 취득자 감소세… 장기 심사 대기자는 증가 톱뉴스 18.02.02.
3184 호주 임금•물가 상승률 추월한 사립학교 학비 인상폭 톱뉴스 18.02.02.
3183 호주 시드니 남부 및 캔터베리-뱅스타운 아파트 가격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2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Youth Summit’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1 호주 NSW 주 ‘어린이 스포츠 활동비’ 1명당 연간 100달러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0 호주 중앙은행, 18개월째 최저 기준금리 1.5%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79 호주 호주 5개 주요 도시, 지난 10년 사이 실질 주택가치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78 호주 교실에서의 스마트폰, 학습 성과에 방해일까 효과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