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 타운홀 역이나 윈야드 역 등 CBD 인근을 거닐 경우 믿기 어렵지만 가슴이 미어지는 장면을 목격하지 않을 수 없다.

거리 곳곳에는 포장박스를 깔고 침낭에 의존해 거리에서 잠을 청하는 노숙자나, 동전을 구걸하는 걸인들, 그리고 무료 급식소 앞에 펼쳐지는 장사진.

실제로 시드니 홈리스들을 위한 임시 비상 숙소가 거의 포화상태에 도달하면서 거리의 노숙자 수가 다시 증가추세라는 경고가 제기됐다.

시드니 카운슬(시장 클로버 모어)이 최근 발표한 최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시드니 CBD 인근의 거리에서 노숙하는 홈리스 수는 현재 244명으로 2018년 8월 대비 9% 감소했지만 임시 비상 숙소 이용 홈리스 수는 592명으로 같은 기간동안 20% 상승했다.

시드니 CBD인근의 임시 비상 숙소의 총 수용인원은 전년 대비 38명을 넘어선 수치다.

시장과 시드니 시내를 지역구로 하는 주의원은 한 목소리로 “위기 상황이다”라고 경고하고 있다.

무소속의 알렉스 그린위치 주의원은 보도문을 통해 “홈리스 문제가 위기상황에 도달했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 됐다”면서 “많은 홈리스들이 숙소 시설에 대한  도움을 바라지만 공공비상 숙소는 이미 포화상태가 됐다”고 우려했다.

그는 “NSW주에서 노숙자의 악순환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홈리스들을 위한 안전하고 재정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숙소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시드니 카운슬의 클로버 모어 시장은 “임시 비상 숙소의 포화상태는 정부와 비영리기구들이 운영하는 노숙자 지원 서비스가 나름 성공한 면도 있다”는 점에 방점을 뒀다.

하지만 클로버 모어 시장 역시 “안정적이고 장기적이며 감당할 수 있는 공공주거시설 공급이 확충되지 않으면 노숙자 문제는 반복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홈리스들은 절박하게 도움을 찾고 있고 하룻밤을 따뜻하고 편안히 보낼 수 있고 무료 급식을 받을 수 있는 임시비상숙소 시설을 알고 있는 상태임이 드러났지만, 이 같은 구조적 위기 상황에 임시처방으로 막고 있을 뿐임이 재확인됐다”고 주장했다.

모어 시장은 한발짝 더 나아가 “시드니가 부유층의 전유물이 될 수 없다”면서 “다양한 지역사회의 필요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주택 및 숙소 공급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변했다.

노숙자를 포함 적절한 주거 공간이 없는 무주택자를 가리키는 ‘홈리스’는 호주 전국적으로 11만6천명인 것으로 2016 인구조사에서 집계됐다. 

하지만 호주홈리스협회는 최소 28만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즉, 정부의 통계는 차에서 숙식을 해결하는 경우, 집단 숙소, 사회 공공기관 운용의 보호소나 쉼터 등에서 기거하는 사람들만 홈리스로 분류했지만, 홈리스 단체들은 “열악하거나 부적절한 공간에 기거하는 사람들, 주거 공간 사용에 자율권이 없는 경우” 등  광의의 의미를 적용하고 있다.

이같은 홈리스 가운데 7% 가량은 길거리에서 잠을 자는 노숙자들로 파악됐다.

더욱 큰 문제는 이들 노숙자를 포함한 홈리스의 수가 매년 증가 추세라는 점이다.

실제로 2016년 인구조사에 드러난 홈리스 수는 5년전 조사 대비 14% 증가한 수치다.

홈리스의 남여 성구성비는 58대 52 정도이며, 해외출생자도 15% 가량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홈리스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주택 문제가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가정폭력  ▶가정파탄  ▶재정파탄 ▶도박 ▶마약 혹은 알코올 중독 ▶정신질환 등의 이유로 홈리스가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뿐만 아니라 홈리스 문제는 바로 대도시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과 직결된다는 것이 사회학자들의 공통된 우려다.

©TOP Digital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97 호주 호주 경제 선두 NSW 주, 주택공급 부족으로 1위 ‘위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6 호주 비만, “사회적 전염 가능성 있다”... 미 연구진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5 호주 심리학자가 주는 ‘매일의 행복감 찾기’ 다섯 가지 조언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4 호주 신기술 혁신... 30년 이내 호주인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3 호주 신규 보육 서비스 지원 패키지... ‘보조금 제도’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2 호주 연방 정부, 세계 최고 건강 추구하는 ‘국가적 임무’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1 호주 전 세계 국가와 비교한 호주 각 주(state)의 경제 규모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0 호주 공립-사립-셀렉티브 학교,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89 호주 상속세 없는 호주, 부유층 이민자들이 몰린다 톱뉴스 18.02.02.
3188 호주 5세 이하 NSW 아동 독감 예방주사 무료 톱뉴스 18.02.02.
3187 호주 연방정부 캐비넷 문건 유출 파동 확산 톱뉴스 18.02.02.
3186 호주 타이완, 타스마니아 산 과일 수입 금지 톱뉴스 18.02.02.
3185 호주 시민권 취득자 감소세… 장기 심사 대기자는 증가 톱뉴스 18.02.02.
3184 호주 임금•물가 상승률 추월한 사립학교 학비 인상폭 톱뉴스 18.02.02.
3183 호주 시드니 남부 및 캔터베리-뱅스타운 아파트 가격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2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Youth Summit’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1 호주 NSW 주 ‘어린이 스포츠 활동비’ 1명당 연간 100달러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80 호주 중앙은행, 18개월째 최저 기준금리 1.5%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79 호주 호주 5개 주요 도시, 지난 10년 사이 실질 주택가치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
3178 호주 교실에서의 스마트폰, 학습 성과에 방해일까 효과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