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중국유학생1).jpg

지난 2012년 이후 시드니대학교 중국 유학생 수는 거의 두 배로 증가했다. 현재 전체 유학생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각 학생단체 간부들의 숫자도 크게 늘어나면서 ‘캠퍼스 정치 이념’이 중국 학생들 위주로 변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사진은 시드니 대학교 캠퍼스내 학생들.

 

전체 유학생의 3분의 1... 학생 단체 중심의 ‘캠퍼스 정치 노선’ 변화

 

시드니대학교(University of Sydney)는 고프 위틀럼(Gough Whitlam), 토니 애보트(Tony Abbott),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전 총리를 비롯한 호주 주요 정치인을 배출한 요람이었다. 이들은 대학 재학 중 학생회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며 또한 각 정당 당원으로 일찌감치 정치 역량을 키워 온 이들이었다. 대학은 이들 정치인들을 키워낸 ‘8할의 바람’은 아닐지라도 그 꿈을 키웠냈던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지금, 그 ‘요람’에 대한 ‘지배력’을 중국 유학생들이 키워가고 있다는 진단이 최근 나와서 주목된다.

 

최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현 시드니대학교 학생단체 활동을 소개하면서 이들의 커진 목소리를 전해 눈길을 끌었다. 신문에 따르면 현재 동 대학교 학생대표자협의회(Student Representative Council. SRC) 및 시드니대학교 대학원 대표협의회(Sydney University Postgraduate Representative Association. SUPRA) 대표단 가운데는 중국 유학생연합(Chinese international student blocs)에서 선출된 이들이 각 단체 직책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

 

중국 공산당 정부의 호주에 대한 영향력 논란, 홍콩에서의 반중국 시위가 지속되는 가운데 시드니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계 학생 단체 지도자들 사이에는 중국 학생들이 얼마나 진보적인지 보수적인지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2015년까지만 해도 중국 유학생들은 캠퍼스 정치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듬해 이판 공(Yifan ‘Koko’ Kong)이라는 학생이 중국 유학생 가운데는 처음으로 학생회 간부로 선출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이전까지 국내 학생들이 노동당, 자유당, 녹색당 이념에 동조하며 벌이던 논쟁과 캠퍼스 정치 활동은, 중국 유학생들이 학생 단체 간부 자리를 다수 차지하면서 그 열기가 크게 꺾인 상황이라는 것이다.

지난 2012년 이후, 시드니대학교 중국 유학생 수는 거의 두 배로 증가했다. 이들은 동 대학교 유학생의 거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학교 측에 매년 수천 만 달러의 재정을 기여하고 있다. 자연히 학교 측에 대한 이들의 목소리가 확대된 것이다.

현재 동 대학교의 가장 큰 해외 유학생 그룹은 ‘판다’(Panda)라는 단체로 보수적 성향을 보이는 학생들 모임이다. 이들은 학교 측의 유학생 서비스 제공을 우선시 하며 유학생을 위한 저렴한 대중교통비 요구 등 학생 복지에 치중하는 편이다.

그러나 이들과 행동 노선을 달리하는 또 하나의 단체로 ‘Advance’가 있다. 이들은 집단행동도 불사하며 인종차별을 비난하고 낙태 권리를 위해서도 적극적이다. 또한 서구 문화와 문명의 우월성 지향이라고 오해 받는 ‘Ramsay Centre for Western Civilization’에 대해서도 분명한 반대 입장을 견지하는 단체이다.

 

종합(중국유학생2).jpg

사진은 시드니대학교 학생대표자협의회(SRC) 웹사이트의 메인 페이지.

 

시드니대학교 학생 신문인 ‘Honi Soit’에 따르면 특히 ‘Advance’와 ‘Panda’ 사이의 적대감은 상당히 큰 편이다. 이달에는 동 대학교 SRC 정례 회의가 취소되기도 했다. 이는 중국유학생이 아닌 SRC 간부들이 양 단체 사이의 관계가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동 대학교 학생회장을 지냈던 마이클 리스(Michael Rees)씨는 “이런 갈등은 유학생들의 다양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긍정적 측면이 있다”고 언급한 뒤 “반면 중국 유학생들은 ‘동질적 정치 공동체’라는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너무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학 측의 한 대변인은 해외유학생들이 학생단체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시드니대학교는 학생회 등에서 정치적 논쟁과 활동, 각 정당 지지해 온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이 전통이 유학생들 사이에서도 확대되어 학생 숫자가 늘어나는 만큼 각 대표단체들의 활동들도 다양해지도록 격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Panda’의 리더이며 SRC 회장으로 있는 중국계 학생 재키 헤(Jacky He)는 자신이 속한 ‘Panda’와 보다 진보적인 ‘Advance’ 사이의 대립에 대해 “마치 노동당 내 의원들 간의 노선 충돌과 비슷하다”고 표현했다.

“노동당 내 좌파와 우파가 실제로는 서로 함께 할 수 없을 것처럼 보인다”는 그는 “같은 노동당 소속이면서도 왜 그들이 서로를 못 견뎌하는지 알 수 없다”면서 “(‘Panda’와 ‘Advance’ 또한) 때론 이런 식이라고 보면 된다”고 덧붙였다.

헤 학생의 최고 적수는 바로 학생회 명예간사이자 ‘Advance’ 리더인 데청 선(Decheng Sun) 학생이다. ‘Panda’가 자유당과 제휴했을 때 선 학생은 “내가 지향하는 이념과 다르기에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현재 홍콩 시위가 호주 내 각 대학 중국계 유학생들 사이에서도 논쟁이 되고 퀸즐랜드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에서는 양측 중국계 학생 사이에 물리적 충돌까지 발생했으며,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한 본토 출신 유학생의 중국 거주 부모가 중국 당국으로부터 협박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헤와 선 학생은 이 사안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헤 학생은 “개인적으로든, ‘Panda’ 입장에서든 이 문제에 대해 거론할 수 없다”고 말했으며, 선 학생은 “‘Advance’에 속한 학생들에게는 개개인의 양식에 따라 판단하도록 한다”는 입장이다.

 

홍콩 시위 문제에 대한 다른 중국 유학생 대표들의 입장은 제각각이다. 지난 달 ‘SUPRA’ 회장직을 사퇴한 웨이홍 리앙(Weihong Liang)씨는 중국 공산당 당원이다. “공산당원이 되는 것은 중국에서 아주 흔한 일”이라는 그는 “모든 당원이 공산당 지도자 또는 정부의 대표가 아니며 단지 당에 소속되어 있음을 의미할 뿐”이라고 말했다. 그런 일이 있다 해도 일방적으로 중국 당국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중국유학생1).jpg (File Size:46.7KB/Download:26)
  2. 종합(중국유학생2).jpg (File Size:45.3KB/Download:3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17 호주 원내이션 당 신임상원의원 ‘먹튀’ 파동….내홍 ‘심화’ 톱뉴스 18.01.26.
3216 호주 ‘설상가상’ 살림 메하저 철장행 …범죄 공모죄 톱뉴스 18.01.26.
3215 호주 시드니 전철노조 29일 파업 계획 취소…불씨는 여전 톱뉴스 18.01.26.
3214 호주 테니스 역사를 뜯어고친 대한민국 청년 정현 톱뉴스 18.01.26.
3213 호주 <2018 올해의 호주인> 물리학자 미셸 시몬스 교수 수상 톱뉴스 18.01.26.
3212 호주 G’Day, Australia Day..호주 최대의 국경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톱뉴스 18.01.26.
3211 호주 NSW 전체 땅 값 ‘$1조7천억 톱뉴스 18.01.26.
3210 호주 수 만 명의 관객이 주목하다, 테너 사이먼 김 톱뉴스 18.01.26.
3209 호주 2018년 자신감의 ‘종결자’는 외모 -외모의 기본은 헤어스타일과 패션 톱뉴스 18.01.26.
3208 호주 책으로 인테리어를, 이렇게 멋질수가! 톱뉴스 18.01.26.
3207 호주 ‘마음을 나눠요’ 캄보디아 뉴스브리핑 정인솔 편집장 톱뉴스 18.01.26.
3206 호주 정현 발바닥 부상 투혼…"물집 속의 물집" 톱뉴스 18.01.29.
3205 호주 보즈니아키, 첫 메이저 대회 우승...할렙 '분루' 톱뉴스 18.01.29.
3204 호주 페더러, 호주오픈 패권…사상 첫 메이저 대회 20회 우승 '금자탑' 톱뉴스 18.01.29.
3203 호주 시드니 명문 사립학교 수업료 3만7천 달러 돌파 톱뉴스 18.01.29.
3202 호주 호주로 몰리는 부유층 이민자…그 이유는? 톱뉴스 18.01.30.
3201 호주 작년 12월 분기, 호주 물가상승 1.8%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200 호주 크라운 그룹, 이스트레이크에 새 도심 휴양지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9 호주 NSW 주 정부, 5세 이하 어린이에 무료 독감예방 주사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3198 호주 은퇴한 ‘베이비부머’ 등의 이주로 지방 도시 주택가격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