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정학처분).jpg

NSW 공립학교에서 정학처분을 받는 학생이 한 해 3만2천 명에 이르고 있는 가운데 학교 측의 정학 결정 방침이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진은 남부 호주(SA) 애들레이드에 있는 한 초등학교 교실.

 

교육 관련 단체들 ‘우려’... “ADHD 학생들 상황 감안해야” 목소리

 

NSW 주 공립학교에서 정착 처분을 받는 학생들의 숫자가 한 해 3만2천 명을 넘어섬에 따라 공립학교의 학생 징계 정책에 대한 재검토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교육 관련 단체들은 초등학교 학생을 포함하여, 학생들에 대한 높은 정학 비율과 그에 관련하여 통제가 어려운 장애 학생들이 너무 많다는 것에 우려를 표하며 문제 학생들과의 충분한 타협이나 상담이 부족하다는 점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주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해 NSW 공립학교에서 단기 정학(short-term suspensions) 처분을 받은 학생들은 3만2,300명이었다. 이는 주 전체 공립학교 학생의 4%에 달하는 수치이다. 이 가운데 초등학교 학생은 9천 명이 넘었으며, 이 학생들에게 내려진 단기 정학은 4일에서 20일 사이였다.

공립학교의 학생 정학 징계 문제는 지난 9월4일(수) 열린 주 의회 청문회에서 제기된 것으로, 이날 사라 미첼(Sarah Mitchell) 주 교육부 장관은 교육부의 학생 징계 정책을 전면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 장관실에 따르면 이 검토는 학생들의 그릇된 행동과 그에 따른 징계조치에 초점을 두고 올해 말까지 진행된다는 방침이다. 장관실 대변인은 “2020년 상반기, 새로운 징계절차가 시행되며 학생들의 행동 관리와 함께 도움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을 위한 학교 지원 방침 또한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 마크 스콧(Mark Scott) 차관은 “각 학교가 조치한 정학처분 건수와 함께 이 비율이 낮은 학교들의 비결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면서 “책임감이 있는 학생들, 이들의 올바른 행동, 그리고 잘 훈련된 교사 등 모범적인 학교들이 있다... 교육부는 징계 정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정학조치 건수를 확인함은 물론 정학 비율이 낮은 성공적인 학교들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해 장애자 옹호자들은 정학을 당한 학생들이 행동지침 참고 사항을 전혀 알지 못했으며 징계 학생들이 자신의 입장을 설명할 기회조차 없었다고 지적한다. ‘주의력결핍 과잉 활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지원 단체인 ‘Parents for ADHD Advocacy’가 올해 초 ADHD 장애를 가진 학생 부모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4명 중 1명이 ‘자녀가 정학을 당했다’고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차례 거듭 정학 처분을 받은 학생들도 있었으며 이 학생들 4명 중 1명은 초등학교 입학 3년 이내에 받은 것이었다.

‘Parents for ADHD Advocacy’의 루이스 쿠첼(Louise Kuchel) 대변인은 “정학을 당하는 학생 수가 감소되기를 바란다”면서 “정학 처분을 내리기 전 ‘장애’가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뉴카슬 대학교 교육학부 데이빗 로이(David Roy) 교수는 “자제력 부족이라는 의학적 문제를 가진 학생들에게 똑같은 행동관리 방침을 적용하는 것은 우려할 문제”라면서 “정학 처분을 결정할 때, 잣대의 유연한 적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행 교육제도에서는 정학 처분이 내려지면 학생의 가족과 학교는 해당 학생이 향후 규정에 위배된 행동을 거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전략을 함께 개발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초등학교 교장협의회(Primary Principals Association)의 필 시모어(Phil Seymour) 회장은 “실제 상황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고 지적한다. 정학 처분을 받은 학생들이 학교에 가지 못하고 집에서 머물게 되지만, 실제로 가정은 학생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하며, 그런 점에서 다른 기관이나 시설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시모어 회장은 “정학을 당한 학생들이 학교 대신 갈 수 있고, 그곳의 행동전문 전문가들로 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정학처분).jpg (File Size:72.0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37 호주 "미니 주택단지가 뜬다" 톱뉴스 18.01.19.
3236 호주 새해맞이 풍수인테리어, 현관 꾸미기 톱뉴스 18.01.19.
3235 호주 방탄소년단 읽기, 낮은울타리 신상언 선교사 톱뉴스 18.01.19.
3234 호주 심심한 방학, 관심에 따라 만끽하는 재미가 달라요 톱뉴스 18.01.19.
3233 호주 26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맞아 페리톤 행사 열려 톱뉴스 18.01.19.
3232 호주 센트럴코스트 임대료 상승, 시드니 외곽 지역 중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3231 호주 ‘퍼스 민트’, 금으로 보증되는 암호 화폐 발행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3230 호주 호주 ‘수중분만’ 증가... 분만 시간 단축, 고통 3배 절감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3229 호주 ‘트립어드바이저’ 주관, 여행자가 뽑은 ‘Top 10’ 호텔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3228 호주 퀸즐랜드 내륙 오지의 고스트타운 ‘베투타’, 다시 살아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3227 호주 시드니 부동산 가격 ‘세계 ‘2위... 가계소득 대비 20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3226 호주 시드니 등 호주 주요 도시 ‘Living costs’, 빠르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3225 호주 ‘Australia Day’를 기해 알아보는 공식 ‘Commonwealth Flag’ 사용 규약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3224 호주 ‘Census 2016’- 시드니 각 지역별 ‘특정 직종’ 거주 현황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3223 호주 NSW 주 ‘포커머신’ 최다 지출 지역은 페어필드(Fairfield)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3222 호주 호주 빈부격차 확대... 억만장자들의 부, 더욱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3221 호주 [동영상 뉴스] 韓 최초 메이저 대회 4강 이룬 정현 "응원해주신 한국 팬들 감사합니다" 톱뉴스 18.01.26.
3220 호주 [동영상 뉴스] 4강 진출 정현 미디어 인터뷰 풀영상 톱뉴스 18.01.26.
3219 호주 의사가 가장 많이 몰려 사는 동네 ‘스트라스필드’ 톱뉴스 18.01.26.
3218 호주 연방정부 ‘법인세 인하 카드’ 재거론할 듯 톱뉴스 18.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