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택시장광풍 1).jpg

시드니와 멜번의 주택 가격 상승세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현재의 경제 상황을 감안할 때 지나친 시장 호황에는 역풍이 따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의 경제 전문가들을 통해 제기됐다. 사진은 현 주택 시장 상황을 설명하는 Nine Network의 로스 그린우드(Ross Greenwood) 금융 섹션 편집책임자. 사진 : ‘도메인’ 뉴스 영상 캡쳐.

 

시드니-멜번, 낮은 기준금리로 ‘부동산 광풍’ 다시 올 수도

경제학자들 경고... 2년간의 침체기 가격 하락, 12개월 만에 회복 예상

 

최근 주택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시드니와 멜번의 부동산 시장이 2017년 이전과 같은 지나친 열풍에 휩싸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사상 최저의 기준금리에 힘입어 예비 구매자들의 적극적인 구매가 호주 부동산 시장을 주도하는 두 도시의 주택 가격이 너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흐름을 감안할 때 내년 초까지는 주택 가격이 정점에 도달할 것이며 그렇게 될 경우 지난 2년여 이어진 침체 당시의 하락폭을 12개월 만에 회복할 수도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시드니와 멜번은 지난 3월 이후 6월 및 9월 분기 사이에 중간 주택 가격이 약 5% 상승했다. 이 같은 성장은 연방 총선에서 자유-국민 집권당의 재선, 호주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은행 규제기관의 담보대출 신용기준 완화가 그 배경에 자리 잡고 있다.

 

세인트 조지(St George) 은행의 수석 경제학자 베사 데다(Besa Deda) 연구원은 “낮은 금리에 판매용으로 나오는 매물이 적어서 주택 가격은 급격한 성장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이어 “매물이 적기 때문에 주택 가격은 지속적인 상승이 예상되며, 여기에 침체기 동안 주택 가격이 워낙 낮아졌던 것도 한 요인”이라면서 “RBA가 금리를 인하하고 거시 경제적 규제가 완화됨으로써 시장 성장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데다 연구원은 “다만 시드니와 멜번은 대부분의 예상보다 더 강한 성장세를 보였다”고 덧붙였다.

 

부동산 컨설팅 사인 ‘도메인’의 트렌트 윌트셔(Trent Wiltshire) 수석 경제학자는 두 도시의 주말 경매 낙찰률이 70% 이상을 유지하고 있음을 언급하면서 “극단적으로 높은 낙찰률 및 광적인 입찰과 같이 2017년 이전의 열풍 처럼은 아니지만 조만간 그런 현상이 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AMP 캐피털의 셰인 올리버 수석 연구원 또한 주택 가격 반등세가 예상보다 강하다면서 “시드니와 멜번의 연간 부동산 수익은 약 20%로 매우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구매자 활동은 지난 시장 호황의 끝자락인 2017년에 비해 약한 편”이라며 “낮은 경제성장, 낮은 임금상승과 낮은 소매 판매실적, 저조한 노동력 활용 등 호주 경제의 취약해진 상황들을 감안하면 앞으로 시장 상황이 약화될 수도 있다”고 조심스럽게 진단했다.

 

NAB은행의 알란 오스터(Alan Oster) 수석 연구원도 구매자들이 예전 호황기와 같은 구매 활동을 보일 수 있음을 언급했다. 그는 “그러지 않기를 바란다”면서 “하지만 이미 시드니와 멜번의 주택 가격은 상당히 오르고 있는 상태”라고 덧붙였다. 그는 최근의 주택 시장 강세에 대해 “호주 신용자산평가원(Australian Prudential Regulation Authority)의 주택담보 대출 완화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세인트 조지 은행의 데다(Deda) 연구원은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 주택 가격 상승도 완화될 것이라면서 “현 상황에서는 지속적인 가격 성장이 예상되지만 역풍의 조짐도 보이고 있으며, 그것이 시장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주택시장광풍 1).jpg (File Size:54.2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17 호주 폴린 핸슨, 자유당 연립에 일격…노조 정상화 법안 부결 톱뉴스 19.12.03.
1916 호주 아프간 탈레반 '3년 억류' 호주인 학자 위크스 교수 귀환 톱뉴스 19.12.03.
1915 호주 내년 1월 14일, 시드니 유흥업소 심야영업제한조치 해제…킹스 크로스 제외 톱뉴스 19.12.03.
1914 호주 말레이시아서 마약 밀반입 혐의로 사형 직면했던 호주 여성 ‘구사일생’ 톱뉴스 19.12.03.
191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봄 시즌 마지막 경매, 올 들어 최대인 888채 매물 나와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12 호주 ‘거주적합성’ 중간 순위 이상 중 평균 임대료 이하 지역 17개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11 호주 지난 한해 주택 가격 25% 이상 오른 교외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10 호주 호주의 ‘무지개 수도’는 시드니 아닌 캔버라... 동성커플 ‘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09 호주 Drive Car of the Year 2020- 올해의 자동차에 ‘Toyota RAV4 Hybrid’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08 호주 럭셔리한 고급 분위기에서 즐기는 호주 자연 속 캠핑의 맛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07 호주 정계 인사 후원금이 호주 정치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06 호주 NSW 주, “내년 1월 14일 기해 ‘Lockout Laws’ 해제”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05 호주 광역 시드니, 10년 만에 2단계 급수 제한 조치 발령 file 호주한국신문 19.12.05.
1904 호주 시드니 일대, 10일부터 제2단계 수돗물 사용제한 조치 시행 톱뉴스 19.12.10.
1903 호주 ‘최악’의 시드니 대기 오염에 마스크 착용 시드니 주민 급증 톱뉴스 19.12.10.
1902 호주 한-호주 10일 외교·국방장관 회의…신남방·태평양전략 논의 톱뉴스 19.12.10.
1901 호주 ‘난민 환자 이송법’ 폐지…'노조 정상화법' 파동 수모 만회 톱뉴스 19.12.10.
1900 호주 호주 정치권, 황화론 재연 공방 가열 톱뉴스 19.12.10.
189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 스탠모어 소재 주택 소유자, 7개월 만에 40만 달러 수익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 호주 시드니-멜번, 낮은 기준금리로 ‘부동산 광풍’ 다시 올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