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사진#1373(산불스모그).jpg

시드니 대기 오염 상태가 심각해짐에 따라 거리에 마스크를 착용한 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금주 월요일(9일) 캠시 거리 신호등에 서 있는 마스크 착용 행인들. 사진: <한국신문>

 

시드니 파란 하늘 사라졌다... 산불 스모그 심각

대기 오염 위험 수위, 곳곳에서 마스크 착용 주민들 늘어나

 

현재 NSW 주 120여 곳에서 한 달 이상 계속되고 있는 역대 최악의 산불 사태로 인한 스모그 현상이 심화되면서 시드니의 대기 오염 상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또한 산불 지역 중 50여 곳은 여전히 통제가 되지 못해 애쓰고 있는 상황이다.

NSW주 환경청의 발표에 따르면 이미 지난주(5일) 시드니의 대기 오염은 실시간 대기질 지수(AQI)가 '건강에 매우 해로운 수준'(미국 기준)으로 규정된 206을 기록했는데, 이는 공기질이 매우 나쁜 중국 상하이가 같은 시간 기록한 160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AQI 미국 기준에 따르면 '좋음'(0∼50), '보통'(51∼100), '노약자 건강에 나쁨'(101∼150), '일반인 건강에 나쁨'(151∼200), '매우 건강에 나쁨'(201∼300), '위험'(301∼500) 등 6단계가 있다 - 편집자 주]

호주 기준은 AQI가 200을 넘으면 '위험 수위'로 보는데, 지난주부터 AQI가 이미 위험 수준을 넘어섰으며 금주 들어 점점 더 나빠져 2622까지 치솟은 지역도 있었다. 지난해 산불 시즌에는 시드니 지역 AQI가 200을 넘은 날만 넘은 날은 단 하루뿐이었고, 그 전 시즌에는 이런 날이 아예 없었다. 금주 12일(목) 오전 현재 기상청의 예보에 따르면 다음 주에는 더욱 기온이 높아지고 건조한 날씨가 계속될 전망이어서 시드니 대기 오염 수준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시드니 대기 오염 상태가 심각해짐에 따라 거리에 마스크를 착용한 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공기질에 민감한 노약자들뿐만 아니라 젊은 사람들도 마스크를 착용하고 다니는 모습이 시내와 각 동네 주요 거리에 늘어나고 있다. 보건 당국에서는 시민들에게 (특히 노인, 어린이, 환자는) 외출을 가능한 삼가고 실내에 머물며 창문과 문을 닫아 외부 공기를 잘 차단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한편 올해 NSW 뿐만 아니라 퀸즐랜드 및 남부 호주 등 호주 전역에서 대규모의 산불 사태가 예년 보다 이르게 발생한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하며 연방 정부의 환경 정책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주전(2일)에는 최근 산불 화재로 집이 불에 타버린 한 여성이 캔베라 연방국회의사당 앞에서 타버린 집의 잔해와 잿더미를 쏟아버리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정부의 기후 정책에 대한 불만과 항의의 표시였던 것이다. 스콧 모리슨 총리는 연방 정부의 기후 대책이 산불 사태를 키웠다는 주장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종합(산불스모그)2.jpg

한 달 이상 계속되고 있는 역대 최악의 NSW 산불 사태로 인한 스모그 현상이 심화되면서 시드니의 대기 오염 상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사진은 지난 주말 산불 스모그에 뒤덮인 시드니 하늘 모습.

 

보건당국 권고사항 (출처: 서울대학교 건강칼럼)

•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에는 호흡기나 심혈관 질환자, 아이와 노인, 임산부는 외출을 자제해야 한다. 흡입되는 미세먼지는 활동의 강도와 기간에 비례하기 때문에 건강한 성인은 과격한 실외 활동을 최소화 것이 좋다.

• 대개 도로변이 미세먼지 농도가 더 높기 때문에 도로변에서 운동하지 않도록 한다.

• 실외 활동 시에 황사마스크를 착용하고, 불가피한 외출 후에는 코와 손을 잘 씻는 것이 좋다.

• 창문을 열어 두면 외부에서 유입된 미세먼지로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창문을 닫아야 한다. 에어필터나 공기청정기가 도움이 될 수 있다.

• 실내에서 흡연을 하거나 촛불을 켜는 것은 미세먼지 농도를 높이는 것이므로 피해야 한다.

 

이기태 기자 / francislee@koreanherald.com.au

 

  • |
  1. 표지사진#1373(산불스모그).jpg (File Size:81.2KB/Download:24)
  2. 종합(산불스모그)2.jpg (File Size:19.2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397 호주 외국인의 정치인 기부 금지 등 새 정보법안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3396 호주 지구촌 사람들이 생각하는 과거와 현재의 삶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3395 호주 “호주의 남녀 임금격차, 그 책임은 FWC에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3394 호주 호주 신생 기업들, 글로벌 ‘스마트 도시’ 재탄생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3393 호주 업계 전반의 흑자... 근로자 임금 상승 뒤따를까?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3392 호주 ANDC, ‘2017 올해의 단어’로 ‘Kwaussie’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3391 호주 호주 CEO 연봉, 일반 직장인의 78배 이상... 평균 475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3390 호주 청년층 일자리 부족... ‘일’ 찾는 것이 젊은이들의 ‘일’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3389 호주 호주인 71%, “턴불 총리, 잔여임기 마쳐야...”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3388 호주 극우 선동가 밀로 이아노폴로스 “페미니즘은 반 사회적 남성혐오운동” 톱뉴스 17.12.08.
3387 호주 이중국적 파동 불똥, 이번에는 노동당으로…상원 1명, 하원 4명 ‘곤혹’ 톱뉴스 17.12.08.
3386 호주 동성결혼 법안 상원이어 하원도 통과…동성결혼 ‘합법화’ 톱뉴스 17.12.08.
3385 호주 국세청, 현금거래 집중 사업체 단속 톱뉴스 17.12.08.
3384 호주 2018년 1월 9일부터 남성과 남성, 여성과 여성 결혼식 합법화 톱뉴스 17.12.08.
3383 호주 시드니 조지 스트릿트 새단장 개통 톱뉴스 17.12.08.
3382 호주 12월 3일 문자메시지 탄생 25주년…세상의 첫 SMS “메리 X-마스” 톱뉴스 17.12.08.
3381 호주 전력난 고심 SA, 세계 최대 규모 리튬이온 에너지 저장소 가동 톱뉴스 17.12.08.
3380 호주 미 중앙은행, “공식 디지털 화폐 검토 중"…'투기 광풍' 비트코인 1만달러대 톱뉴스 17.12.09.
3379 호주 셰어주택으로 밀려나는 저소득 세입자들 톱뉴스 17.12.09.
3378 호주 "운동만 해도 장 속 유익한 미생물들 쑥↑ 실험으로 확인돼" 톱뉴스 17.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