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1=-호주 외교·국방장관 " 긴장고조 중단·대화재개 촉구"
정경두 국방부 장관(맨 오른쪽)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오른쪽에서 2번째), 호주의 마리스 페인 외교장관(오른쪽에서 3번째), 린다 레이놀즈 국방장관(맨 왼쪽)이 2+2회의에 앞서 사진 촬영에 응하고 있다. 2019.12.10

'2+2 회의시드니서 개최외교·안보  협력방안 담은 공동성명 채택

 

호주와 한국은 10일 시드니에서 외교·국방(2+2) 장관회의를 열고 외교·안보와 한반도 문제 등에 대한 협력방안 등을 논의했다.

호주의 매리스 패인 외교장관과 린다 레이놀즈 국방장관, 그리고 한국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이날 열린  '제4차 2+2 장관회의'에서 외교·안보와 국방, 한반도 문제, 개발, 경제, 에너지·자원, 과학기술, 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 방안을 담은 32개 항의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양국 장관들은 두 나라가 역내 전략적 이해를 공유하는 최적의 협력 파트너로 발전해 왔음을 평가하고, 앞으로 양자 차원에서는 물론 지역 및 국제무대로 협력의 지평을 더욱 넓혀 나가자는데 뜻을 함께했다.

양측은 특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유일한 방법으로서 남북 간, 북미 간 대화가 지속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또 북한의 한반도 내 군사적 긴장을 고조할 수 있는 행위의 중단 및 남북 간, 북미 간 대화 재개를 촉구했다.

이와 관련,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회의 뒤 열린 공동기자회견에서 "북한의 지속되는 탄도미사일 발사와 북한 서해 동창리 지역에서의 엔진 시험 활동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어 "양국 국방장관은 북한이 한미동맹과 국제사회의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 노력에 부응하면서 군사적 긴장 고조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한·호주) 양측은 평화 프로세스에 도움이 되지 않는 최근 북한의 행동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면서 "어렵게 마련된 대화의 모멘텀이 북미 대화의 조속한 재개를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의 실질적 진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긴밀한 협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양측은 또 외교·안보, 경제, 개발 등 분야에서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호주의 인도-태평양 전략간 접점 모색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강경화 장관은 페인 호주 외교장관과 별도 양자회담을 갖고 경제와 인적교류, 개발 등 분야에서의 실질협력 방안과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의 협력 강화 방안 등을 협의했다.

 양국 외교장관은 또 개발협력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양국은 앞으로 격년으로 개발협력정책협의회를 열고 인도적 지원 등에 대한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도 레이놀즈 호주 국방장관과 별도 양자회담에서 양국 군간 연합훈련을 비롯한 국방 협력방안과 방산분야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아울러 최근 호주 측이 보병전투장갑차 사업후보자로 한국 업체를 선정한 데 대해 감사의 뜻을 표했다.

 양국 국방장관은 또 '한국전 실종자 관련 협력 양해각서(MOU)'도 체결, 6·25전쟁 호주군 참전용사의 유해 발굴 및 송환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양국 외교·국방장관은 이날 회의에 앞서 시드니 모어파크에 있는 한국전 참전 기념비를 찾아 헌화하고 호주 참전용사들의 넋을 기렸다.

사진 2=-호주 외교국방 2+2 장관회의
(서울=연합뉴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10일(현지시간)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제4차 한-호주 외교·국방(2+2) 장관회의'에 참석해 호주 마리스 페인(Marise Payne) 외교 장관, 린다 레이놀즈(Linda Reynolds) 국방 장관과 양국 간 안보·국방 협력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2019.12.10

©연합뉴스/TOP Digital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17 호주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법안 연방상원 표결 통과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3416 호주 호주, 북한 미사일 발사 ‘가장 강력하게’ 규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3415 호주 “백호주의 시대보다 영어요건 더 어렵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3414 호주 <12.16 베넬롱 전투> 턴불 총리, 이스트우드 “연쇄 출격”…$1억 규모 버스 환승 센터 공약 톱뉴스 17.12.03.
3413 호주 PM 중산층 소득세 인하 방침 ‘거센 후폭풍’ 톱뉴스 17.12.03.
3412 호주 해외 출생 대졸자 풀타임 취업률 45%...호주 출생자에 뒤쳐져 톱뉴스 17.12.03.
3411 호주 중국기업체 유착 의혹 샘 다스티야리 상원의원, 당직 사퇴 톱뉴스 17.12.03.
3410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대약진” 톱뉴스 17.12.03.
3409 호주 ‘내우외환’ 자유당 연립, 시중은행 로열커미션 조사 전격 수용 톱뉴스 17.12.03.
3408 호주 연방정부, 비자 서류 규정 강화…허위 정보 적시자 10년간 호주 재입국 보류 톱뉴스 17.12.03.
3407 호주 바나비 조이스, 보궐선거 “압승” 확정적 톱뉴스 17.12.03.
3406 호주 거리 곳곳에 크리스마스가! 톱뉴스 17.12.03.
3405 호주 2018 월드컵 조추첨…호주, 프랑스 페루 덴마크와 한 조 톱뉴스 17.12.03.
3404 호주 [현장스케치] 민주평통호주협의회, 황일도 교수초빙 한반도 대북강연회 톱뉴스 17.12.03.
3403 호주 센스있는 크리스마스 인테리어 소품 만들기 톱뉴스 17.12.03.
3402 호주 치솟는 원화가치…한국 자동차·조선 영업이익 4%p 감소 톱뉴스 17.12.03.
3401 호주 은행 임원 신뢰 제고 제도 시행 연기될 듯… 톱뉴스 17.12.03.
3400 호주 “호주인 가정집 면적이 좁아진다” 톱뉴스 17.12.03.
3399 호주 부동산 시장 화제- ‘Kingsway’ 주택, 올해 퀸비언 지역 경매 최고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3398 호주 도심 경전철 주변 주택가격 상승, 주 정부 교통정책 성공 척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