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국내이주 1).jpg

호주 통계청(ABS) 집계 결과 올해 3월까지 지난 12개월 사이 호주인의 국내이주는 퀸즐랜드(Queensland) 및 빅토리아(Victoria) 주 이동이 가장 많았으며 NSW 주는 해외유입자 수가 많았으나 국내 유출은 더 높은 수를 보였다. 사진은 멜번(Melbourne) 도심.

 

On the move... 국내이주로 인구 성장 혜택 받는 지역은 어디?

호주 통계청 자료, QLD-VIC 인구 유입 늘고 NSW 주 가장 많이 유출

 

시드니는 연간 10만 명에 이르는 해외 유입 이민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도시이다. 이로 인한 NSW 주는 인구 증가 또한 다른 도시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국내이주로 유출되는 비율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최근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자료에 따르면 빅토리아(Victoria) 주는 2018년 3월부터 1년 동안 13만3,500명의 인구 증가로 높은 이주자 유입을 기록했다. 그런 반면 빅토리아 주에서 다른 주(interstate)로 이동한 수는 1만2,800명으로 가장 적었다.

호주와 영국 주요 도시를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구매 에이전트 ‘AllenWargent’의 시드니 지역 주거용 부동산 구매 고문인 피트 워전트(Pete Wargent)씨는 “빅토리아 주의 경우 최근 수년간의 경제 호황과 일자리로 퍼스(Perth, WA)와 애들레이드(Adelaide, SA) 거주민들을 끌어들이고 있다”며 “시드니에 비해 저렴한 주택을 찾아 멜번으로 이주하는 이들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빅토리아 주는 현재 일자리가 많이 줄어 빛을 잃고 있지만 인구 증가 속도는 여전히 다른 주를 압도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빅토리아 주보다 많은 인구 유입을 기록한 곳은 퀸즐랜드(Queensland)였다. QLD는 ‘Sunshine State’라는 이름에 걸맞게 은퇴한 이들의 이주 비율이 높은 곳으로, 올 3월까지 지난 12개월 사이 QLD로 이주한 국내이주자 수는 2만3천 명이 넘었다. 타스마니아(Tasmania) 주 또한 국내이주로 얻은 인구 증가 수는 2천200명 이상이었다.

반면 NSW는 이 기간, 거의 2만2천 명이 빠져나가 가장 큰 인구 손실을 보았으며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8천 명, 북부 호주(Northern Territory) 4천300명, 남부 호주(South Australia)가 4천 명의 인구손실을 기록했다.

 

종합(국내이주 2).jpg

은퇴한 이들이 많이 이주하는 퀸즐랜드는 광산업 경기 회복에 힘입어 지난 1년 사이 가장 많은 국내이주 유입 수치를 기록했다. 사진은 지난 12개월 사이, 8천여 명의 인구 유출을 비록한 서부 호주 퍼스(Perth, WA) 도심.

 

인구 관련 민간연구소인 ‘McCrindle Research’의 인구학자 마크 맥크린들(Mark McCrindle) 연구원은 주택 가격이 가장 높은 NSW 주의 인구 유출이 입증하듯 국내이주가 높은 가장 큰 요인은 “주택 구입에 대한 경제적 압박”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맥크린들 연구원은 “빅토리아 주의 경우 국내이주 유입이 많은지에 대해 궁금해 하겠지만 사실 빅토리아 주의 중간 주택 가격은 비교적 낮은 편”이라며 “하지만 시드니 거주자 입장에서는 빅토리아 주로 이주해 여유 있는 생활을 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으며, 오히려 퀸즐랜드를 선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에 따르면 퀸즐랜드는 다른 주의 인구를 끌어당길 만큼 호전된 경제 상황, 보다 나은 라이프스타일 기반, 주거비 또한 아직은 저렴한 편이다.

맥크린들 연구원은 이어 국내이주의 흐름이 광산경기로 인해 변화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서부 호주의 광산업 경기가 침체를 이어가는 가운데 퀸즐랜드 남동부 원자재 산업이 활기를 보이고 일자리가 생성됨에 따라 QLD로의 이주가 크게 증가했다는 것이다.

퀸즐랜드로의 인구 유입이 많은 배경에는 저렴한 주택 가격과 다른 지역에 비해 나은 라이프스타일을 즐길 수 있는 이점도 작용한다. 시드니 동부에 거주하는 헬렌 타일러와 레베카 아처(Helen Taylor and Rebecca Archer)씨는 최근 골드코스트로 이주를 결심했다. 시드니의 2개 침실 아파트를 처분하고 골드코스트의 머메이드 비치(Mermaid Beach, Gold Coast)에 건축 중인 아파트를 계약했다.

이들은 골드코스트로 이주하게 된 배경에 대해 “멋진 라이프스타일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곳에서 매입한 아파트를 통해 향후 좋은 가치를 기대할 수도 있다는 답변이었다. 이들이 계약한 ‘Mahala Mermaid Beach’는 지금보다 넓은 내부 공간에 바다 전망을 갖고 있다. 구매 비용 또한 시드니 동부의 2개 침실 아파트보다 크게 저렴하다.

이 아프트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건축회사 ‘Pindan’ 측은 “최근 수개월 사이 시드니와 멜번에서의 구입 문의가 크게 늘어났다”면서 이들이 골드코스트로 이주하려는 것은 적정한 기후와 낮은 주택 가격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Pindan’ 측은 이어 “많은 이들이 골드코스트의 기후 조건을 선호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에 못지 않게 주택 가격 현황을 감안하는 경향이 있다”며 “최근 주택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시드니 및 멜번에 비해 저렴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연간 국내이주

(주/테러토리 : 2019년 3월까지 1년 사이 / 2018년 3월까지 1년 사이. 명)

-New South Wales : -21,995 / -20,506

-Victoria : 12,780 / 15,099

-Queensland : 23,269 / 24,004

-South Australia : -4,035 / -5,679

-West Australia : -8,025 / -12,040

-Tasmania : 2,254 / 2,196

-ACT : 8 / 489

-Northern Territory : -4,256 / -3,563

* 2019년 및 2018년 3월까지 이전 12개월 사이의 주간(interstate) 이주 인구만을 집계한 것임.

(Source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국내이주 1).jpg (File Size:70.1KB/Download:20)
  2. 종합(국내이주 2).jpg (File Size:74.8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37 호주 소득지원 받아온 십대 부모 4년새 13% 감소 호주한국신문 17.11.23.
3436 호주 호주달러, 2019년 미화 1달러 당 65센트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3435 호주 배저리스 크릭 신공항 인근 주택 3만채 건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3434 호주 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 전차 퀸슬랜드 박물관에 전시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3433 호주 2001년 이후 전국적으로 16만4천 채 주택 과잉공급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3432 호주 26일부터 시드니 열차운행 스케줄 대폭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3431 호주 “북한 사람들은 그저 재미있고 평범한 사람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3430 호주 한 여름 시드니 도심서 크리스마스 즐기는 방법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3429 호주 <속보> 젯스타와 버진, 오늘 발리 운항편 모두 취소 호주한국신문 17.11.27.
3428 호주 호주 부동산 소유자 절반은 가격 상승 희망…24%는 하락 원해 호주한국신문 17.11.30.
3427 호주 코알라 “감소 위기” vs “너무 많았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3426 호주 AEMO “올 여름 정전 걱정 ‘뚝’…추가 전력공급으로 충분” 장담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3425 호주 “소득 절반 렌트비로 지출…아이 교육 등 감안해 이사 못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3424 호주 ‘2018년 호주의 날’에 노래하는 앤서니 칼리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3423 호주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 ‘시민모금운동’에 호주서도 열띤 동참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3422 호주 멜번서 대규모 총격 테러 계획한 이십대 남성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3421 호주 호주 한인 변호사, 교통 벌금 고지서 이름 위조 혐의로 ‘제명’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3420 호주 “학생 4명 중 1명 중증정신질환 우려…저학년으로 점차 내려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3419 호주 호주 최대 육가공업체 ‘토마스 푸드’, 이민자 착취 이익 극대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3418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한국전 호주 참전용사 초청 오찬행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