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정보통신).jpg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매년 평가하는 올해 국가별 디지털 경쟁력 순위에서 호주는 14위로 다른 국가에 밀리고 있다. 이 조사가 처음 시작된 2015년 18위였던 한국은 올해 처음 10위권에 진입했다.

 

63개 국가 대상 ‘디지털 경쟁력’... 호주 14위로 순위 하락

IMD 평가... 아-태 지역에서도 밀려, 한국은 지난해 첫 10위권 진입

 

경제와 직업의 미래가 디지털 기술에 의해 가름되는 신기술 시대에서 2019년 집계된 호주의 디지털 경쟁력은 전 세계 63개 국가들 가운데 14위를 기록하여 더욱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국가별 디지털 경쟁력 순위는 스위스의 국제경영개발대학원(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IMD)이 매년 평가하는 것으로, IMD는 신기술을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능력(지식), 새로운 디지털 혁신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저력(기술), 향후 디지털 신기술 대비(미래 준비) 등 세 가지 항목에 대한 수준을 평가하여 국가별 순위를 정하고 있다.

IMD가 처음 디지털 경쟁력 순위를 집계한 지난 2015년 당시 9위에 랭크됐던 호주는 올해 평가에서는 14위로 하락했으며, 비슷한 인구 규모를 가진 국가와의 비교에서는 3위에서 5위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에서는 2위에서 5위로 떨어졌다. 전반적으로 호주의 디지털 경쟁력이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지난해 9월 ABC 방송사 인터뷰에서 디지털 전략가 로웨나 마틴(Rowena Martin)씨는 호주의 순위 하락에 대해 “놀라운 일은 아니다”며 “중력만큼이나 예측 가능했던 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배경으로 “호주는 디지털 문맹 퇴치를 위한 교육이 없었으며, 연방 정부의 대학에 대한 지원 또한 삭감됐다”고 지적했다.

특히 마틴 전략가는 “가장 중요한 것은 디지털 기술사용 능력이 뒤처지면서 전체 호주 기업들의 수익성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 호주의 디지털 경쟁력 하락은 이에 대한 기업의 적응력, 기술력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낮은 평가에 따른 것이다.

이번 조사 결과 호주의 통신기술 순위는 조사대상 63개 국가 가운데 54위에 머물렀다. 인터넷 대역폭(bandwidth. 인터넷이 특정 시간 내에 보낼 수 있는 정보량. 초당 비트로 측정된다) 및 속도에서는 38번째이다.

호주 경제개발위원회(Committee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Australia. CEDA)의 멜린다 실렌토(Melinda Cilento) CEO 역시 IMD의 이 같은 결과를 언급하면서 “호주가 디지털 경쟁력에서 이웃 국가들에 뒤처지지 않으려면 기업과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있어야 한다”면서 그 ‘투자’에 대해 “디지털 기술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고 방송은 전했다.

 

종합(정보통신)2.jpg

사진: Pixabay

 

한편 첫해(2015년) 18위에서 이듬해 17위, 2017년 19위로 하락했던 한국(10위)은 2018년에는 14위로 올라섰으며 지난해 집계에서는 10위권에 진입했다. 홍콩(8위) 또한 처음으로 10위권 이내에 들었으며 2018년 30위였던 중국은 22위로 순위가 크게 상승했다. 대만 또한 2018년 16위에서 호주를 제치고 13위로 뛰어올랐다.

IMD의 이번 집계 결과는 호주 기업들이 일반적인 기업 홍보보다 기술 투자 및 연구개발(R&D)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는 최근의 CEDA 조사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실렌토 CEO는 “기업의 경우 기술에 투자하고 또 이를 진실로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호주사회는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흥미롭게도 호주의 디지털 경쟁력 약화는 호주국민들의 부족한 관심 때문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호주 전체적으로 태블릿과 스마트폰 보급은 전 세계 국가 비교에서 각 3위와 9위를 차지한다.

호주는 해외 유학생 유치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일반인을 교육하는 부문에서는 44위, 과학 분야 졸업자의 재교육에서는 암울하게도 53위에 있다.

한편 올해 조사에서 최상위 국가는 미국이 차지한 가운데 싱가포르, 스웨덴, 덴마크, 스위스가 뒤를 이었다.

 

IMD의 세계 디지털 경쟁력 순위

▲ 전체

1. USA

2. Singapore

3. Sweden

4. Denmark10 한국, 14 호주,

5. Switzerland

6. Netherlands

7. Finland

8. Hong Kong

9. Norway

10. Korea(South)

11. Canada

12. UAE

13. Taiwan

14. Australia

15. United Kingdom

16. Israel

17. Germany

18. New Zealand

19. Ireland

20. Austria

 

인구 2천만 명 이상 국가 대상

1. USA

2. Korea(South)

3. Canada

4. Taiwan

5. Australia

6. United Kingdom

7. Germany

8. China

9. Japan

10. France

 

인구 2천만 명 이하 국가 대상

1. Singapore

2. Sweden

3. Denmark

4. Switzerland

5. Netherlands

6. Finland

7. Hong Kong

8. Norway

9. UAE

10. Israel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

1. Singapore

2. Hong Kong

3. Korea(South)

4. Taiwan

5. Australia

6. New Zealand

7. China

8. Japan

9. Malaysia

10. Thailand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정보통신).jpg (File Size:60.2KB/Download:18)
  2. 종합(정보통신)2.jpg (File Size:222.6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57 호주 호주 여행 작가의 Tips and advice on travel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3456 호주 이네웨스트 일부 구간, 향후 5년간 교통 혼잡 감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3455 호주 시드니 일자리 ‘붐’... “교통 및 주택 가격에 압박 가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3454 호주 “사람답게 살고자 탈북을 결심했고, 현재 자유를 만끽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345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거래 둔화 속 낙찰 가격 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52 호주 NSW 주 정부, 지역사회 언어학교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51 호주 ‘Sydney Modern’ 새 프로젝트, 최종 디자인 나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50 호주 전 세계 100대 ‘스마트 도시’에 호주 4개 도시 랭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9 호주 호주, 중국의 ‘해외 부동산 투자 국가’ 부동의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8 호주 호주 비즈니스 여건, “지난 20년 이래 ‘최상’의 상황...”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7 호주 호주 저명 학자, “중국 정부로부터 침묵 강요당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6 호주 시드니 도심 ‘마틴 플레이스’, ‘실리콘 플레이스’로 변모?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5 호주 ‘Cash-poor’ 백만장자들의 소비 경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4 호주 호주 ‘사커루’, 지역-대륙간 PO 끝에 러시아 행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3 호주 시드니 문화예술 공간 대규모 보수공사... 각 단체들 ‘이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2 호주 ‘베넬롱’ 선거구 보궐선거에 케닐리 전 NSW 주 총리 도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1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찬성’ 61.6%... ‘압도적’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0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법안 승인까지의 단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39 호주 케닐리 6년만의 컴백…‘케’다르크 일까? ‘레드 버블’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3438 호주 주말마다 호주성인 270만 명 자외선에 피부 노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