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pink lake 1).jpg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미드 웨스트’ 지역(Mid West region)의 포트 그레고리(Port Gregory)에 자리한 핑크 빛깔의 소금 호수 ‘헛 라군’(Hutt Lagoon)이 중국인들에게 알려지면서 본토는 물론 홍콩에서 온 관광객들로 넘쳐나고 있다. 호수를 배경으로 사진 담기에 여념이 없는 중국 관광객들(사진).

 

소셜 미디어의 힘... WA의 핑크빛 호수, 중국 관광객 넘쳐나

부족한 관광 인프라로 ‘몸살’... 지역 당국, 뒤늦게 개발 계획 착수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퍼스(Perth) 북쪽으로 약 510킬로미터 거리의 포트 그레고리(Port Gregory)는 WA 중서부의 작은 항구 타운이다. 헛 강(Hutt River) 입구에 위치한 곳으로, 거주민은 약 50명에 불과한 이곳이 호주 일반인들에게 알려진 것은 핑크 빛의 소금호수 ‘헛 라군’(Hutt Lagoon) 때문이다.

이 호수가 짙은 분홍 색깔을 띠는 것은 식품 착색물질이자 비타민 A 공급원인 베타카로틴이 만들어내는 조류 두날리엘라 살리나(algae Dunaliella salina)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헛 라군은 패션 촬영 장소로도 명성을 얻고 있다. ‘Life is Beautiful’를 주제로 한 세계적 화장품 브랜드 랑콤의 상품 광고, 또 ‘마이어’(Myer) 백화점이 유명 모델 제니퍼 호킨스(Jennifer Hawkins)를 등장시켜 한 여름 컬렉션 제품을 촬영한 곳이기도 하다.

 

이 핑크빛 소금 호수가 중국 여행자들에게 알려지면서 중국 본토는 물론 최근까지 홍콩에서 온 이들로 북적이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들 여행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romantic’이라는 말을 만들어내면서 서부 호주 중부의 새로운 여행지로 부상한 것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헛 라군은 서부 호주 중부 지역민들에게 호기심을 주는 장소였지만 이제는 호수를 따라 난 도로 위를 자동차, 캐러밴, 캠퍼 밴(campervan)들이 가득 메우고 있다. 심지어 핑크빛 호수를 찾은 중국인들은 주변의 덤불을 제치고 호수 가장 자리로 들어가는 길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종합(pink lake 2).jpg

‘헛 라군’이 짙은 분홍색깔을 띠는 것은 식품 착색물질이자 비타민 A 공급원인 베타 카로틴이 만들어내는 조류 두날리엘라 살리나(algae Dunaliella salina)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합(pink lake 3).jpg

헛 라군으로 가는 도로를 가득 메운 중국 관광객 차량들. 이들은 도로 위에 무단으로 주차하거나 차량 위에 올라 사진을 찍는 등 위험 행동도 마다하지 않는다.

 

최근 ABC 방송에 따르면 그야 말로 ‘어느 날부터’인가 갑자기 몰려들기 시작한 중국인 관광객들로 인해 이 지역이 몸살을 앓고 있으며, 포크 그레고리가 있는 서부 호주 ‘미드 웨스트’ 지역(Mid West region) 당국은 핑크 호수의 관광 인프라 개선을 위한 마스터플랜까지 추진하고 있다.

이 플랜을 주도하는 ‘미드웨스트 개발위원회’(Mid West Development Commission)의 개빈 트레져(Gavin Treasure) 위원장은 몰려든 여행자들의 안전 유지에 중점을 두겠다는 방침이다.

그는 “지나치게 많은 이들이 몰려옴으로써 무척 혼잡스럽다”며 “미드 웨스트 지역은 관광지로 설정되지 않았던 곳이지만 일단은 좋은 현상”이라고 평했다.

 

핑크 호수 옆에서 주유소(Lynton Station)를 운영하는 제니 포에트(Jenny Poett)씨는 늘어난 방문객 숫자에 반가움을 표하면서 이들의 지나친 행동은 개선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동영상을 담고자 하는 이들, 웨딩드레스 입은 여성을 찍기 위해 도로를 막아버리는가 하면 차량 지붕에 올라가 사진을 찍는 위험한 행동도 서슴지 않는다”는 게 그녀의 말이다.

이처럼 무질서한 행동에 대해 중국 여행사 측은 “중국 관광객들이 이곳의 사진을 찍어 소셜 미디어에 올리면 더 많은 여행자들이 이곳을 찾을 것이라고 주장한다”는 게 포에트씨의 말이다.

포에트씨는 관광객들의 무단 행동을 방지하기 위해 차라리 호수 위로 제티(jetty)를 만들어 놓은 것이 좋을 것이라는 의견도 덧붙였다.

중국 방문객들을 이곳으로 데리고 오는 여행가이드 에밀리 장(Emily Zhang)씨는 “중국인들은 친구나 가족, 소셜 미디어 팔로워들에게 핑크 호수 풍경을 보여주고자 더 나은 사진을 찍고 싶어 한다”고 말한다. 장씨에 따르면 이곳의 헛 라군은 이제 중국인들에게 호주 여행에서 꼭 가봐야 할 ‘명소 중 하나’가 되었다.

 

종합(pink lake 4).jpg

햇살을 받아 더욱 진한 핑크 색깔을 보여주는 헛 라군. 사진 : 인스타그램 / abcaustralia

 

서부 호주 중서부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경비행기 회사인 ‘Geraldton Air Charters’의 공동 설립자이자 항공기 조종사인 웬디 만(Wendy Mann)씨는 자기네 회사가 이 호수를 중국 및 홍콩인들에게 알리는 데 일조했다고 자부하고 있다.

그녀는 지난 2014년 처음으로 14명의 중국인 관광객을 태우고 호수 위를 비행했다. 그 후 지난해에만 그녀는 4천 명의 중국계 여행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다는 만씨는 “중국인 방문자들은 우리 사업의 큰 고객”이라고 덧붙였다.

그녀는 이어 핑크 호수를 찾는 이들이 늘어남에 따라 호수 주변의 관광 인프라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호수를 조망할 수 있는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그녀는 특히 자동차 주차 공간이 10대 정도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pink lake 1).jpg (File Size:48.2KB/Download:46)
  2. 종합(pink lake 2).jpg (File Size:66.2KB/Download:16)
  3. 종합(pink lake 3).jpg (File Size:45.3KB/Download:23)
  4. 종합(pink lake 4).jpg (File Size:45.3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57 호주 호주 여행 작가의 Tips and advice on travel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3456 호주 이네웨스트 일부 구간, 향후 5년간 교통 혼잡 감수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3455 호주 시드니 일자리 ‘붐’... “교통 및 주택 가격에 압박 가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3454 호주 “사람답게 살고자 탈북을 결심했고, 현재 자유를 만끽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345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거래 둔화 속 낙찰 가격 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52 호주 NSW 주 정부, 지역사회 언어학교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51 호주 ‘Sydney Modern’ 새 프로젝트, 최종 디자인 나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50 호주 전 세계 100대 ‘스마트 도시’에 호주 4개 도시 랭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9 호주 호주, 중국의 ‘해외 부동산 투자 국가’ 부동의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8 호주 호주 비즈니스 여건, “지난 20년 이래 ‘최상’의 상황...”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7 호주 호주 저명 학자, “중국 정부로부터 침묵 강요당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6 호주 시드니 도심 ‘마틴 플레이스’, ‘실리콘 플레이스’로 변모?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5 호주 ‘Cash-poor’ 백만장자들의 소비 경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4 호주 호주 ‘사커루’, 지역-대륙간 PO 끝에 러시아 행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3 호주 시드니 문화예술 공간 대규모 보수공사... 각 단체들 ‘이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2 호주 ‘베넬롱’ 선거구 보궐선거에 케닐리 전 NSW 주 총리 도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1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찬성’ 61.6%... ‘압도적’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40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법안 승인까지의 단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3439 호주 케닐리 6년만의 컴백…‘케’다르크 일까? ‘레드 버블’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3438 호주 주말마다 호주성인 270만 명 자외선에 피부 노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