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관광업 타격 1).jpg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우려, 호주 정부가 중국인 여행자 입국 금지를 결정함에 따라 호주 관광업계의 타격이 상당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사진은 빅토리아 주 그레이트 오션 로드(Great Ocean Road)를 방문한 소그룹 단체여행자들. 사진 : Great Ocean Road & Beyond

 

중국여행자 입국 금지로 호주 관광산업 타격, 월 10억 달러

호텔-레스토랑-여행지 사업자들 ‘울상’... 업계, 정부 ‘지원 패키지’ 요청

 

지난해 9월 시작돼 호주 전역으로 확산돼 5개월이 넘게 지속된 산불사태로 엄청난 손실을 입은 호주 관광업계가 이번에는 중국 우한(Wuhan)에서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중국인 입국 금지로 또 한 번 타격을 받고 있다.

최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중국여행자 입국 금지로 호텔, 레스토랑, 여행지의 관광사업체가 감수해야 할 손실은 매월 1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업계는 정부에 관광산업 보호를 ‘지원 패키지’를 요청했다.

 

호주 정부는 2월 1일 부터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중국으로부터 오는 모든 외국인 여행객들의 입국을 금지했으며, ‘오직 호주 시민과 거주자, 식구, 법정후견인 또는 배우자들만’ 중국으로부터 호주로 입국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귀국하는 사람들도 14일 동안 자가 격리에 들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외무부는 중국에 대한 여행경보를 4단계로 올려 국민들에게 ‘중국으로 여행가지 말 것’을 권고했고, 이에 따라 호주 콴타스 항공은 금주 9일부터 3월 29일까지 베이징과 상하이 등 중국을 오가는 2개 직항노선의 운항을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호주 관광업계에 따르면 연초 시즌은 중국 여행자를 대상으로 한 호주 관련 업체들의 관광 성수기이다. 하지만 중국 당국이 호주로의 자국민 단체여행을 금지한 데 이어 호주 정부도 중국 여행자 입국 금지를 결정함으로써 가장 수익성 높은 시기의 여행자 예약이 줄줄이 취소되고 있다.

연방 관광부 사이먼 버밍엄(Simon Birmingham) 장관은 최근 호주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호주 관광산업계가 ‘믿기지 않을 정도의 회복력’(incredibly resilient)을 가지고 있다”며 “이번 여름 시즌의 산불사태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영향을 금세 회복할 것”이라고 강변했지만 호주 요식업 단체인 ‘Restaurant & Catering Association’의 웨스 램버트(Wes Lambert) 대표는 “관련 업계에 닥친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한 조치가 매우 필요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램버트 대표는 “한 회원사는 ‘한순간 수십 만 달러 규모의 예약이 취소되었다’고 하소연 했다”면서 “우리(협회)는 정부가 산불 피해와 같은 재정적 지원 패키지를 고려해 줄 것을 적극 요청한다”고 밝혔다.

현재 호주를 방문하는 단기 여행자 8명 중 1명은 중국 관광객이다. 최근의 호주 통계청(ABS) 자료를 보면 지난 2018년 12월에서 2019년 11월까지 12개월 동안 호주를 방문한 중국인 여행자는 145만8,500명에 달한다.

 

종합(관광업 타격 2).jpg

이번 여름 시즌, 산불로 손실을 입은 관광업계 지원을 위해 7천600만 달러의 정부 지원 패키지를 밝힌 바 있는 사이먼 버밍엄(Simon Birmingham) 연방 관광부 장관(사진)은 이 지원 계획에 코로나 바이러스 피해를 고려해 지원 범위를 확대할 것임을 밝혔다. 사진 : 유투브

 

호주를 방문하는 해외여행자 수는 매년 큰 변동이 없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호주 관광업계가 이들로부터 거둬들이는 수입은 연간 120억 달러에 이른다.

이번에 호주 정부가 중국인 여행자 입국 금지를 결정한 것은 바이러스 질병 감염을 막기 위해 미국이 발표한 제한조치를 따른 것이다.

해외여행자 운송사업체를 대변하는 ‘Tourism and Transport Forum’의 마지 오스먼드(Margy Osmond) 대표는 “산불과 함께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중국인 여행자 입국 금지는 호주 관광산업을 휩쓴 완벽한 폭풍”이라고 표현했다. 그만큼 타격이 크다는 것이다.

숙박업계의 피해 또한 마찬가지이다. 관련 협회인 ‘Tourism Accommodation Australia’의 마이클 존슨(Michael Johnson) 대표는 “각 지방 관광지 호텔의 빈 객실이 늘어나고, 이로 인해 교대근무 직원이 줄어들었으며, 신규 고용도 없다”면서 “이 같은 업계 영향이 도시 지역으로도 확대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산불로) 긴 시간 혼란을 겪고 있다”며 “(산불에 이어) 이번 일(중국 여행자 입국 금지)로 업계는 최악의 한 해를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멜번(Melbourne)을 기반으로 남쪽 필립 아일랜드(Phillip Island)를 여행하는 페리 및 버스 투어 여행사 ‘Go West’의 테리 스밋(Terry Smit) 대표는 13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그는 “우리 사업체의 경우는 ‘중국 여행자 입국 금지’ 조치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겠지만 중국 단체여행자에 크게 의존하는 (소규모) 여행사들 가운데는 문을 닫아야 하는 곳도 생겨날 것”이라며 관광업계의 타격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했다.

 

종합(관광업 타격 3).jpg

지난해 9월 시작돼 호주 전역으로 확산돼 5개월이 넘게 지속된 산불사태는 각 지역 경제는 물론 국내 관광업계에도 엄청난 손실을 입히고 있다. 사진은 시드니 북부 고스퍼 마운틴(Gospers Mountain, 시드니에서 60km 지점)의 지난해 12월 산불 현장. (인스타그램 / RFS)

 

버밍엄 장관은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정부의 결정이 국내 관광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연방 정부는 이번 여름 시즌, 산불로 타격을 입은 국내 관광업계에 7천600만 달러의 재정 지원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버밍엄 장관은 “여기에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예상 피해를 감안해 이 지원 금액을 재조정 할 것”임을 덧붙였다. 지원 규모의 추가 확대를 검토한다는 설명이다.

이어 장관은 “현 상황에서 이번 코라나 바이러스 사태의 향후 방향을 단정할 수 없으며, 이 때문에 당장 호주 관광업계의 손실 규모를 예측하기도 어렵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관광업 타격 1).jpg (File Size:71.4KB/Download:14)
  2. 종합(관광업 타격 2).jpg (File Size:56.8KB/Download:13)
  3. 종합(관광업 타격 3).jpg (File Size:55.6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497 호주 호주 유권자 2/3 동성결혼 우편투표 참여 톱뉴스 17.10.30.
3496 호주 북한, 호주연방의회에 공개서한 발송…PM “트럼프 비방 서한” 톱뉴스 17.10.30.
3495 호주 뉴질랜드 노동당 자신다 아던 총리 등극…'자신다마니아' 연립정부 구성 견인 톱뉴스 17.10.30.
3494 호주 크레이그 론디 의원, 스트라떠나 헌터스 힐로 전출….데일리 텔레그라프 ‘맹비난’ 톱뉴스 17.10.30.
3493 호주 호주동계올림픽선수들 "평창 기대돼요" 한 목소리 톱뉴스 17.10.30.
3492 호주 여권 파워 1위 ‘싱가포르’…호주와 한국은? 톱뉴스 17.10.30.
3491 호주 파퀴아노 꺾은 제프 혼, 영국의 개리 코코런과 첫 방어전 톱뉴스 17.10.30.
349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0월 4주 낙찰률 65% 이하, ‘시장 판세’ 변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3489 호주 ‘웨스트커넥스’로 이너웨스트 일부 지역 주택가격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3488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호주인 4분의 3 이상 참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3487 호주 시드니 등 호주 주요 도시 교통망, 전 세계 순위서 크게 밀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3486 호주 봄을 알리는 보라색 물결, 시드니 자카란다 감상 포인트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3485 호주 남성 퇴직연금, 여성이 비해 2배... 격차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3484 호주 올 들어 두드러진 일자리 증가, 임금상승 기대감 높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3483 호주 캔버라, ‘Best in Travel 2018’ 도시 부문서 중 세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3482 호주 웨딩 이벤트 업체들, ‘동성커플 결혼식 특수’ 노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3481 호주 대법원, ‘이중국적’ 논란 7명 의원 판결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3480 호주 ‘센서스 2016’- 시드니 ‘워커홀릭’ 거주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2.
3479 호주 시드니이어 멜버른에도 합법적 헤로인 주사실 가동…2년간 시험 운용 톱뉴스 17.11.04.
3478 호주 PNG 마누스섬 난민수용소 폐쇄… 난민희망자 600명 퇴거 거부 ‘농성’ 톱뉴스 17.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