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브레이크뉴스=서지원 기자>

 

▲ 우한 현지 병언에서 확지자를 돌보고 있는 의사 모습. PBS HOUR 캡처  © 호주브레이크뉴스

 

세계보건기구(WHO) 팀이 논란에 휩싸였다. 중국에 조사팀이 파견됐지만 정작 후베이성은 방문하지 않기로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조사하러 중국에 간 세계보건기구(WHO) 팀이 정작 발병 근원지인 후베이성을 방문하지 않기로 했다. 코로나19가 처음으로 발생한 우한이 있는 후베이성을 제외하고 다른 지역만 방문하는 것이 실효성이 있느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외교부가 17일 WHO 국제 조사팀이 베이징, 광둥성, 쓰촨성을 방문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중국 당국의 노력 등을 평가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WHO에 따르면 이번에 중국에 파견된 국제조사팀은 총 12명으로, 이들은 중국 전문가 12명과 함께 활동하게 된다. 코로나19 대응을 놓고 중국과 갈등을 빚는 미국 전문가들도 참여했다. 선발대는 이미 일주일 전 베이징에 도착해 활동을 시작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WHO 국제조사팀은 중국 전문가팀과 협력해 바이러스 전염 과정과 대응 조치의 효율성,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향후 대책 등을 연구하고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WHO 팀이 정작 후베이성을 방문하지 않기로 해 논란이 예상된다. 후베이성은 발병 근원지기이도 하지만 중국 내 확진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이기도 하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전날까지 중국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7만548명이며, 사망자는 1770명이다. 이 중 후베이성의 누적 확진자와 사망자가 각각 5만8182명과 1696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호주 시드니대학의 보건 전문가 애덤 캄라트-스콧은 “이러한 일정은 중국이 코로나19 발병의 진실을 숨기려고 한다는 인상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 것”이라며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주장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다른 국가들이 중국을 믿지 못하고 여행 금지령 등을 계속 유지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며 “중국은 국제사회와의 관계를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그간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발병에 대해 상세한 내용을 알고 있어 감명 받았다” “중국의 조처가 해외 확산을 막았다”면서 코로나19 사태 관련 중국 측 입장을 두둔해 수차례 논란을 일으켰다. 이번 WHO 팀의 일정도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news2020@aubreaknews.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17 호주 호주 유엔인권이사국 진출… “북한인권 유린 실태 부각시킬 것” 톱뉴스 17.10.19.
3516 호주 Ch9 ‘투데이’ 진행자 리사 윌킨슨 ‘하차’…Ch10 ‘더 프로젝트’로 톱뉴스 17.10.19.
3515 호주 메디케어 정보 접속 규정 강화 움직임 톱뉴스 17.10.19.
3514 호주 퍼스 출발 ‘에어 아시아’ 급강하 소동 속 회항…승객들 공포, 분노 톱뉴스 17.10.19.
3513 호주 <연방정부> 청정 에너지 정책, ‘에너지 안정 대책’으로 대체 톱뉴스 17.10.19.
3512 호주 사커루즈 사령탑 포스테코글루 감독 ‘중국 행…?’ 톱뉴스 17.10.19.
3511 호주 호주 부동산, 지상 최고의 투자 톱뉴스 17.10.19.
3510 호주 2017 민영 라디오 시상식 ‘싹쓸이’ 2GB 청취율도 석권 톱뉴스 17.10.22.
350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9월 이후 둔화세, 다소 회복...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8 호주 채스우드 투신소동 남성, 전 여자친구 살해 혐의 기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7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되면, 동성커플 웨딩 장소 제공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6 호주 호주의 ‘국민차’ 브랜드, ‘홀든 자동차’ 생산 막 내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5 호주 이성과의 관계를 넘어 ‘자유와 독립’을 선택하는 여성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4 호주 시드니의 미래... 무인자동차-말하는 쓰레기통-자기부상열차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3 호주 NSW 주 정부, 광역시드니 ‘3개 도심’ 개발안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2 호주 “연방 경찰, 대테러 집중... 마약밀매 단속에는 소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1 호주 ‘센서스 2016’- 각 도시 및 지역별 인구 이동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500 호주 ‘센서스 2016’- 직종 변화... ‘뷰티’ 부문 일자리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3499 호주 NSW-VIC 주의회 ‘안락사’ 허용 법안 검토 본궤도 톱뉴스 17.10.30.
3498 호주 호주-한국, 외교 국방 2+2 13일 서울에서 개최 톱뉴스 17.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