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jpg

3월 첫 주말 경매가 진행된 7일(토), 시드니 전역에서는 675채 주택이 매물로 등록됐으며 결과가 집계된 454채의 낙찰률은 80.4%로 지난해 하반기 이후 80% 이상의 높은 거래비율을 이어갔다. 사진은 지난 주말 매물로 나온 웨스트라이드(West Ryde) 소재 주택.

 

웨스트라이드 소재 주택, 9개월 만에 41만5천 달러 올라

한 투자자, 주택가격 상승으로 ‘횡재’... 3월 첫 주 낙찰률 80.5%

 

지난해 하반기부터 주택가격이 빠르게 성장하는 상승하는 가운데 지난 침체기 당시 주택을 구입했던 투자자들이 현 부동산 시장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이달 첫 주말 경매가 진행된 지난 7일(토), 웨스트라이드(West Ryde)의 한 매물이 높은 낙찰가를 기록하여 화제가 됐다.

모스 스트리트(Moss Street) 상에 자리한 3개 침실의 이 주택은 한 투자자가 지난해 6월에 130만 달러에 구매했던 주택으로, 9개월이 채 안 되어 41만5천 달러를 손에 쥔 것이다. 이 주택을 사 놓음으로써 매일 1천500달러 이상을 벌어들인 셈이다. 이 주택은 이날 시드니 전역에서 경매가 진행된 675채 매물 중 하나였으며, 이날 저녁, ‘도메인’(Domain) 사가 집계한 454채의 낙찰률은 80.5%로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종합(경매 2).jpg

웨스트라이드(West Ryde)의 모스 스트리트(Moss Street)에 자리한 이 주택은 지난해 6월, 한 투자자가 130만 달러에 구입, 새 주거지를 개발하려다 이날 경매에 내놓아 171만5천 달러에 판매했다. 9개월 사이에 41만5천 달러를 벌어들인 것이다.

 

626스퀘어미터의 넓은 부지를 가진 이 주택에는 12명의 예비 구매자가 입찰, 가격 경쟁을 펼쳤다. 145만 달러의 잠정가격이 책정된 가운데 135만 달러에서 입찰이 시작되자 예비 구매자들은 1만 달러씩 가격을 제시, 금세 150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이후 입찰가 제시 금액이 낮아진 가운데 6명의 입찰자가 끝까지 경쟁을 이어간 끝에 171만5천 달러에서 거래가 이루어졌다.

매매를 맡은 ‘Green Real Estate’ 사의 제리 디오니사토스(Jerry Dionisatos) 에이전트는 “지난해 이를 구입한 투자자는 애초 이곳에 새 주거지를 재건축하려는 계획이었지만 당시 부동산 시장이 불분명해 계획을 미루어 왔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당시 이 투자자는 웨스트라이드의 주택가격이 상당히 하락한 것을 알고 이곳에 주택을 구입해 두었던 것이다.

종합(경매 3).jpg

지난 2011년 158만5천 달러에 거래됐던 아난데일(Annandale) 소재 3개 침실 테라스 주택. 이날 경매 낙찰가는 184만 달러였다.

 

종합(경매 4).jpg

북부 크로우스네스트(Crows Nest)에 자리한 3개 침실 세미하우스 내부(사진). 2명의 예비구매자가 입찰한 이 주택은 잠정가격(230만 달러)에 약간 못 미친 288만 달러에서 거래가 이루어졌다.

 

한편 아난데일(Annandale)에 자리한 3개 침실의 테라스 주택에는 3명의 예비 구매자가 입찰, 잠정가격에서 9만 달러를 높여 놓았다.

175만 달러의 잠정가격이 책정된 가운데 165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되자 입찰자들은 5만 달러, 2만5천 달러씩 가격을 제시했으며, 이른 시간에 낙찰(184만 달러)이 이루어졌다. 이 테라스 주택이 마지막으로 거래된 것은 지난 2011년으로, 당시 매매가는 158만5천 달러였다.

 

로워노스쇼어(lower north shore)의 크로우스네스트(Crows Nest)에 있는 3개 침실 세미하우스는 두 명의 입찰자가 가격 경쟁을 벌였지만 잠정가격(230만 달러)에는 약간 못 미친 288만 달러에 거래됐다.

매매를 진행한 ‘Belle Property Neutral Bay’ 사의 매튜 스미드(Matthew Smythe) 에이전트는 “그럼에도 벤더(vendor)는 매우 만족해했다”면서 “근래 이 지역 경매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지만 이번 사례는 다소 이례적”이라고 덧붙였다.

이 주택은 지난 2002년 97만 달러에 매매됐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jpg (File Size:79.5KB/Download:17)
  2. 종합(경매 2).jpg (File Size:77.6KB/Download:15)
  3. 종합(경매 3).jpg (File Size:103.6KB/Download:17)
  4. 종합(경매 4).jpg (File Size:70.8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77 호주 옷 소매 터치로 스마트폰 조작…'스마트 재킷' 나왔다 톱뉴스 17.10.06.
3576 호주 호주에서 내 입맛에 딱 맞는 빵 찾기 톱뉴스 17.10.06.
3575 호주 미술 감상하러, 본다이 비치로 간다 톱뉴스 17.10.06.
3574 호주 [월드컵 플레이오프 1차전] 사커루즈, 복병 시리아와 1-1 톱뉴스 17.10.06.
3573 호주 SA 주의회 출마 선언 제노폰 첫 걸음부터 ‘삐걱’ 톱뉴스 17.10.10.
3572 호주 최근 3년간 호주 정착 북한 국적자15명 가량 톱뉴스 17.10.10.
3571 호주 노동당 중진 마이클 댄비, ABC와 ’휴전’..사과는 거부 톱뉴스 17.10.10.
3570 호주 비숍 외교장관, 대북 정책 설명회 - ”외교적 해법” 역설 톱뉴스 17.10.10.
3569 호주 호주인 40% 수면부족...그 결과는? 톱뉴스 17.10.10.
3568 호주 호주 태동 ‘핵무기 폐기국제운동(ICAN) 2017 노벨 평화상 수상 톱뉴스 17.10.10.
356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저조한 낙찰률, ‘포스트 붐’(post-boom) 현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66 호주 여름철 해변 즐기기... NSW 정부, ‘안전 조치’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65 호주 스몰비즈니스-고령층 대상 사이버 범죄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64 호주 NSW 주, 기한 넘긴 ‘기프트 카드’ 잔액 연간 6천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63 호주 호주인 거주 지역별, 심장건강 차이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62 호주 비숍 외교부 장관, “북핵 문제는 강력한 경제 제재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61 호주 ‘무종교’ 시드니사이더, 10년 전 대비 1.5배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60 호주 시드니 카운슬, 도심 ‘나이트 라이프’ 살리기 나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59 호주 광역시드니 거주민 66%, “주거지 개발은 이제 그만!”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3558 호주 Top 10 drives around the Northern Territory(1)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