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지방도시 1).jpeg

RMIT대학교 ‘도시연구센터’(Centre for Urban Reseach)가 지난 8년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살기 좋은 지방 도시’를 분석한 결과 빅토리아(Victoria) 주 발라랏(Ballarat)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사진은 발라랏 중심가. 사진 : Visit Melbourne

 

RMIT의 ‘Centre for Urban Reseach’ 분석... NSW 주 울릉공도 ‘상위’에

 

대도시의 번잡함을 피해 지방 도시로의 이주를 생각한다면, 지난 18일(수) 멜번 소재 RMIT(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대학교의 ‘도시연구센터’(Centre for Urban Reseach)가 분석한 ‘Australia’s most liveable regional cities’ 자료를 참고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사회적 인프라, 대중교통 및 기타 편의시설 접근성, 거주민을 위한 공공장소, 고용, 주택가격 적합성 등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빅토리아(Victoria) 주 발라랏(Ballarat)이 ‘가장 살기 좋은 지방 도시’로 평가됐다.

멜번(Melbourne) 북서부, 센트럴 하일랜드 지역(Central Highlands region)에 자리한 발라랏은 인구 약 10만5천 명의 도시로, 1851년 금이 발견되면서 번창했던 지역이다.

빅토리아 주의 지방 도시 가운데는 발라랏과 비슷한 시기, 금광개발로 빅토리아 주에 부를 안겼던 멜번 북부 벤디고(Bendigo), 인구 약 25만 명의 멜번 남서부 도시 질롱(Geelong)도 상위 5개 도시에 포함됐다.

이번 분석을 진행한 RMIT 도시연구센터의 선임연구원 루시 건(Lucy Gunn) 박사는 “호주의 골드러시 시기에 형성된 이곳들이 ‘살기 좋은 도시’로 높은 순위를 차지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며 “오래된 도시로 주요 평가 기준에서 높은 점수를 얻을 만큼 거주민을 위한 서비스도 훌륭하다”고 설명했다.

발라랏 등 빅토리아 주의 지방 도시들이 높은 평가를 받은 데에는 거주민들이 직장과 매우 가깝다는 것도 하나의 요인이 됐다. 건 박사는 “발라랏과 벤디고는 이번 분석의 평가 기준 각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대중교통 편의성 및 거주민을 위한 공공 공간이 많아 건강을 위한 복지 기반이 잘 되어 있다”고 말했다.

빅토리아 주의 도시들과 함께 ‘살기 좋은 지방 도시’로 상위에 오른 곳은 울릉공(Wollongong, NSW), 투움바(Toowoomba, Queensland), 론세스톤(Launceston, Tasmania)이 꼽혔다. 이들 도시는 비교적 인구가 많은 곳으로, 거주민을 위한 서비스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건 박사는 이번 분석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도시들에 대해 “살기 좋은 도시임에는 분명하지만 각 주 대도시와 같은 실수를 비켜가야 한다”는 점을 덧붙였다.

그녀는 “발라랏, 벤디고 및 이와 비슷한 인구 규모의 도시들이 점차 한계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면서 “우리가 확인한 도시 반경과 자료를 보면 보다 큰 도시로 비약될 조짐이 보인다”고 말했다.

시드니와 멜번 등 호주 최대 도시의 경우 매년 빠르게 늘어나는 인구에 비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는 인프라로 높은 주택가격, 교통 혼잡이 주요 사안으로 부상했고, 이에 따라 대도시를 피해 인근 지방 도시로의 이주가 최근 수년 사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빗댄 것이다.

건 박사는 “주요 도시에서 알 수 있듯 늘어난 인구와 도시 확대로 외곽 거주자의 경우 갖가지 사회적 서비스 접근이 어렵고, 이는 복지 불평등과도 관련이 있다”며 “도시 외곽으로 새로운 주거지가 개발되는 경우 신중한 인프라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전제 사항이 필요함에도 주택 구매자들, 특히 첫 주택 구입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택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발라랏을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회사 ‘Biggin & Scott Ballarat’의 프란체스카 니콜(Francesca Nicol)씨는 주택개발 회사들이 발라랏 외곽 개발을 위해 주택 부지를 구입하고 있다고 전했다.

 

종합(지방도시 2).jpeg

시드니 남부, 울릉공(Wollongong)은 이번 분석 결과 사회기반 시설, 대중교통 편의성, 주택가격 적합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사진은 울릉공 해안 지역에 조성된 자전거 도로. 사진 : NSW 관광청

 

니콜씨에 따르면 발라랏 또한 거주민들의 도심 지역 선호가 높은 편으로, 이에 따라 이 도시의 이너시티(inner city) 지역 주택 가격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부동산 컨설팅 사인 ‘도메인’(Domain)이 집계한 지난해 12월 분기 발라랏 도심 지역의 중간 주택가격은 50만5천 달러이다.

니콜씨는 “근래 발라랏 주택구입자 가운데는 멜번뿐 아니라 빅토리아 주 워남불(Warrnambool), 시드니에서도 이주하려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건 박사는 이번 분석과 관련, “지난 8년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고 설명한 뒤 “지방 도시의 거주 적합성에 대해 상세한 조사가 이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 같은 거주 적합성을 보면 각 도시의 기능과 함께 개선이 가능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 각 부문별 평가 상위 지방도시

▲ 사회기반 시설

1. Wollongong

2. Geelong

3. Albury-Wodonga

4. Ballarat

5. Toowoomba

 

▲ 대중교통 편의성

1. Ballarat

2. Geelong

3. Bendigo

4. Wollongong

5. Newcastle-Maitland

 

▲ 슈퍼마켓 접근성

1. Launceston

2. Geelong

3. Sunshine Coast

4. Ballarat

5. Wollongong

 

▲ 음주 환경

(Distance from Alcohol)

1. Toowoomba

2. Townsville

3. Bendigo

4. Sunshine Coast

5. Gold Coast-Tweed Heads

 

▲ 공공 공간

1. Ballarat

2. Newcastle-Maitland

3. Gold Coast-Tweed Heads

4. Mackay

5. Sunshine Coast

 

▲ 고용

1. Townsville

2. Toowoomba

3. Mackay

4. Ballarat

5. Bendigo

 

▲ 주택가격 적합성

1. Launceston

2. Wollongong

3. Geelong

4. Bendigo

5. Ballarat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지방도시 1).jpeg (File Size:73.1KB/Download:19)
  2. 종합(지방도시 2).jpeg (File Size:115.9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57 호주 임금 상승 정체로 연금저축액도 감소... 정부 1천억 달러 공백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1.
3656 호주 ‘Year 1’ 학생에게도 ‘읽기-수리능력 평가’ 도입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1.
3655 호주 인공지능 로봇 등장 불구, 미래 보장받는 직업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1.
3654 호주 “호주, 아시아발 금융위기 대비해야...” 전문가 의견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1.
3653 호주 호주 4대 메이저 은행, 불법 자금세탁에 ‘취약’ 지적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1.
3652 호주 ‘Working Sydney’... 파트타임 일자리만 늘어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1.
3651 호주 부는 늘어났지만... 시드니 지역에만 40만 명 과다채무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1.
3650 호주 UN 총회 참석 줄리 비숍 장관, 대북 제재 중요성 강조 톱뉴스 17.09.22.
3649 호주 ‘태권 소녀’ 로지 앤더슨, 호주의 살인 독감으로 목숨 잃어 톱뉴스 17.09.22.
3648 호주 호주 10달러 신권 발행…20일부터 유통 톱뉴스 17.09.22.
3647 호주 시드니 부동산 가격 안정세…올해 상승폭 1.9% 톱뉴스 17.09.22.
3646 호주 호주에서 가장 비싼 자동차가 될 거라는 이 차는? 톱뉴스 17.09.22.
3645 호주 호주산 분유 싹쓸이족 ‘다이고’(daigou)를 아시나요? 톱뉴스 17.09.22.
3644 호주 “주택난, 노인 학대 촉발” 톱뉴스 17.09.22.
3643 호주 미 CBS, Ch 10 네트워크 인수 확정 톱뉴스 17.09.22.
3642 호주 부동산 경매 ‘울렁증’ 극복 전략 톱뉴스 17.09.22.
3641 호주 영화관엔 봄방학이! 톱뉴스 17.09.22.
3640 호주 호주 4대 은행, 타 은행 ATM 인출 수수료 전격 폐지 톱뉴스 17.09.26.
3639 호주 [9.23 NZ 총선] 한국계 멜리사 리 당선확정…4선 성공 톱뉴스 17.09.26.
3638 호주 연방정부, 초등학교 1학년 대상 기초학력테스트 도입 검토 톱뉴스 17.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