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사망가능성 1).jpg

코로나 바이러스에 취약한 이들은 고령층 및 만성질환자들로 알려져 있지만 30~50대 연령에서도 이 질병으로 사망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사진은 호주의 코로나 바이러스 사망 관련 뉴스를 전하는 호주 Skynews 방송 화면.

 

세계보건기구, 젊은층 사망자 증가... 미디어 브리핑서 ‘경고’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감염 및 사망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현재까지 전문가들은 고령자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이들이 특히 위험하다고 지적해 왔다.

이런 가운데 비단 이들만이 아니라 젊은층에서 감염자가 늘어나고 사망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경고했다.

WHO의 질병 전문가들은 최근 제네바에서 전 세계 미디어를 대상으로 브리핑을 갖고 30~50대 사이 연령층에서 바이러스로 사망한 중국, 이탈리아 및 유럽 지역 사례를 지적했다.

WHO의 전염병 학자인 마리아 반 케르코프(Maria van Kerkhove) 박사는 “우리(WHO)는 이 심각한 질병에 감염된 젊은이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면서 “COVID-19에 감염돼 중환자실에 입원하고 집중 치료가 필요한 이들은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지만 일부 국가에서 우리가 확인하고 있는 것은 30대에서 50대 사이 환자들이 중환자실에서 사망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반 케르코프 박사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 증상을 보인 젊은이들 중 일부는 기존에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이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례가 많다.

그녀는 “우리가 좀더 확인해야 하는 것은, ‘왜 완화된 증상에서 심각한 상태로 발전하는지, 반면 어떤 사람들은 심각한 상태에서 증상이 완화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WHO의 긴급대응팀장인 마이클 라이언(Michael Ryan) 박사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젊은 계층에는 심각하지 않다’라는 것은 젊은이들이 스스로를 안심시키려는 한 가지 방법일 것”이라며 “하지만 COVID-19에 감염된 젊은이들에게서 경미한 증상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는 하지만 이 연령층에서도 사망에 이르는 분명한 증가가 있다”고 우려했다.

 

종합(사망가능성 2).jpg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및 사망자를 발표하면서 괴로운 표정을 보인 NSW 주 보건부 최고 의료책임자 케리 찬트(Kerry Chant) 박사. 사진 : 7 News 방송 화면 캡쳐

 

라이언 박사는“코로나 바이러스를 잘 통제하고 있는 한국에서도 사망자 6명 가운데 1명은 60세 미만이었다”며 “이탈리아의 경우에는 최근 5~6주 사이에 집중치료를 받은 환자 가운데 최소 10~15%가 50세 미만 연령이었다”고 덧붙였다.

라이언 박사는 이어 “젊은층에게도 이 바이러스가 결코 경미한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 아니라는 사실은, 감염을 피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이며, 이들로 인해 더 취약한 사람들에게 전염시킬 위험이 크다”고 강조했다.

WHO의 이 같은 경고는 호주에도 해당된다. NSW 주 보건부 최고 의료책임자인 케리 찬트(Kerry Chant) 박사에 따르면 이달 초까지 집중치료 병실(Intensive care unit)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를 받고 있는 41명의 환자 가운데 30대 감염자는 4명에 이른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사망가능성 1).jpg (File Size:75.3KB/Download:12)
  2. 종합(사망가능성 2).jpg (File Size:68.0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97 호주 동성결혼 지지층 대규모 연대 집회 톱뉴스 17.09.13.
3696 호주 턴불 총리, 문재인 대통령과 전화 통화…북핵 대응방안 논의 톱뉴스 17.09.13.
3695 호주 연방정부 “석탄화력발전 보전에 소매 걷고 나섰다” 톱뉴스 17.09.13.
369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최근 이어진 낙찰률 하락서 ‘반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93 호주 NSW 주 정부, 전기요금 부담 경감 대책안 내놔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92 호주 유나이티드 항공, ‘시드니-휴스턴’ 17.5시간 노선 취항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91 호주 미네소타 주 당국, ‘총격 사망’ 호주 여성 사건 조사 완료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90 호주 미 서부 개척 당시로의 여행, 사막의 별빛 아래 펼쳐지는 라이브 공연은 덤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9 호주 ‘호주산 양고기 광고’ 관련, 인도 정부 공식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8 호주 호주판 ‘스티브 잡스’ 기대... 호주 10대 청소년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7 호주 오지의 목장을 아웃백 캠프로... 새 여행상품 시도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6 호주 작가 조세핀 윌슨, 올해 ‘마일즈 프랭클린 문학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5 호주 “주류업계가 알코올 유해성 왜곡, 음주 부추킨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4 호주 한반도 유사시 한국 내 호주 시민들 대처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3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관련 페어팩스 미디어-입소스 여론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2 호주 석탄화력발전소를 둘러싼 여여 중진의 “충돌” 톱뉴스 17.09.15.
3681 호주 노동당, "동성결혼 과열 논쟁, 성소수자 정신건강에 악영향" 톱뉴스 17.09.15.
3680 호주 위기의 빌 쇼튼 노동당 당수…지지 의원 이탈 가속화? 톱뉴스 17.09.15.
3679 호주 연방하원 지역구 재조정에 자유당 연립 긴장 톱뉴스 17.09.15.
3678 호주 하워드, 애벗 전 총리 “동성결혼 반대 캠페인 지지한다”…턴불 “yes’ 입장 표명 톱뉴스 17.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