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절 연휴가 이번 코로나 팬데믹 사태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사회적 격리 조치’ 위반 사례 단속에 적극 나선 결과 이번 부활절을 전후해 신규 확진자 수가 크게 감소세를 보였다.

NSW주의 경우 부활절 연휴 동안 신규 확진자 수가 총 23명에 그쳤고, 15일 오전까지 24시간 동안에도 16명으로 집계되는 등 확진자 곡선이 크게 완만해졌다.

15일 현재 NSW 주 내의 누적 확진자 수는 2870명이며, 32명의 환자가 응급실에서 격리 치료를 받고 있다.

정부 당국은 그러나 검사자 수가 크게 감소하고, 시드니 서부 지역의 노인 요양원에서 또다시 집단 감염 상황이 발생하면서 정부 당국은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고 있다.

이와 함께 NSW 주정부는 논란의 크루즈 선 루비 프린세스호의 집단 감염 사례에 대한 경찰 조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루비 프린세스 호에서 하선한 호주인들 가운데 369명이 코로나19 확진자로 파악됐으며, 코로나 19로 인한 전체 호주인 사망자 62명의 1/3에 육박하는 18명이 숨졌다.

한편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자, 일부에서는 “‘사회적 격리 조치’를 조기에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제기했다.
그러나 보건당국은 “현시점에서 현재의 규제 조치를 완화하는 것은 대단히 시기 상조이다”라고 일축했다.

정부 당국도 “이번 조치가 6개월은 존속돼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시사했다.

더욱이 코로나19 감염의 취약 지구에서 또다시 집단 감염 사례가 발생하면서 정부 당국의 긴장감은 한층 고조되고 있다.

 

타스마니아, 종합병원 집단 감염사태병원 폐쇄

한편 타스마니아 주에 소재한 두 종합병원에서 집단 감염 사태가 발생했다.

두 병원에서 45명의 병원 종사자를 포함 60명의 확진자가 나온 것.

이에 타스마니자 주 보건당국은 병원 두 곳 모두 잠정 폐쇄하고 소독 등의 방역 작업을 펼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연방선임의료책임자 브렌던 머피 박사가 “병원 직원들이 규정을 어기고 만찬연을 열면서 집단 감염의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발언해 큰 파문을 일으켰다.

이에 타스마니자 주의 피터 구트윈 주총리는 “사실로 입증되지 않은 루머를 의료 총책임자가 무책임하게 발언한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에 머피 박사는 “규정을 어긴 만찬연이 열렸는지의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한 발짝 물러섰다.
아무튼 타스마니아 병원에서의 집단 감염으로 이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50명으로 늘어났으며, 5명의 노인이 사망했다. 사망자 가운데 4명이 이번 집단 감염이 발생한 노스웨스트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 숨졌다.

 

도로시 헨더슨 요양원 사태 시드니 서부서 ‘재연’

루비 프린세스 호와 함께 시드니의 또 다른 집단 감염의 온상지로 지목된 라이드 소재 ‘도로시 헨더슨 노인 요양원’과 유사한 사례가 이번에는 시드니 서부지역에서 재연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시드니 서부 지역에 소재한 노인 요양원의 한 근무자 여성이 코로나19에 감염된 상태에서 1주일여 동안 근무한 사실이 드러나 보건당국이 조사에 나섰고, 입주 노인 4명과 동료 직원 5명이 확진자로 드러났다.  

시드니 서부 캐든스에 소재한 앵글리케어 관할의 ‘뉴마치 하우스’ 노인 요양원의 한 여성 근무자는 코로나19 감염 증세를 보인 3월 30일부터 4월 6일 사이에 근무하면서 집단 감염을 촉발시켰다.

이 요양원에는 평균 85세의 노인 100여 명이 입주한 상태였고 현재는 모두 다른 곳으로 격리됐다.

보건 종사자 노조 측은 “앵글리케어 노인 요양원 관리체계의 붕괴”라며 “요양원의 안전 관리 체계에 대한 조사를 즉각 실시할 것”을 촉구했다.

노조 측은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은 앵글리케어 측이 근무자들의 다수를 비정규직으로 채우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 NSW 주총리는 “당국이 상황을 조사 중인 만큼 섣부른 결론을 내리지 말고 조사 결과를 기다려보자”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베레지클리안 주총리는 “하지만 코로나19는 물론이고 전염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계속 근무를 한다는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다”라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앵글리케어 측은 “문제의 확진자는 3월 30일부터 4월 6일 사이에 모두 다섯 차례 근무에 배치되는 동안 일부 언론 보도와는 달리 전혀 증세를 보이지 않았고 요양원 차원의 관리 체계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항변했다.

앵글리케어 측은 “모든 근무자에 대해 체온 측정도 실시하고 있다”고 강변했다.

©TOP Digital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97 호주 동성결혼 지지층 대규모 연대 집회 톱뉴스 17.09.13.
3696 호주 턴불 총리, 문재인 대통령과 전화 통화…북핵 대응방안 논의 톱뉴스 17.09.13.
3695 호주 연방정부 “석탄화력발전 보전에 소매 걷고 나섰다” 톱뉴스 17.09.13.
369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최근 이어진 낙찰률 하락서 ‘반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93 호주 NSW 주 정부, 전기요금 부담 경감 대책안 내놔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92 호주 유나이티드 항공, ‘시드니-휴스턴’ 17.5시간 노선 취항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91 호주 미네소타 주 당국, ‘총격 사망’ 호주 여성 사건 조사 완료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90 호주 미 서부 개척 당시로의 여행, 사막의 별빛 아래 펼쳐지는 라이브 공연은 덤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9 호주 ‘호주산 양고기 광고’ 관련, 인도 정부 공식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8 호주 호주판 ‘스티브 잡스’ 기대... 호주 10대 청소년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7 호주 오지의 목장을 아웃백 캠프로... 새 여행상품 시도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6 호주 작가 조세핀 윌슨, 올해 ‘마일즈 프랭클린 문학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5 호주 “주류업계가 알코올 유해성 왜곡, 음주 부추킨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4 호주 한반도 유사시 한국 내 호주 시민들 대처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3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관련 페어팩스 미디어-입소스 여론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7.09.14.
3682 호주 석탄화력발전소를 둘러싼 여여 중진의 “충돌” 톱뉴스 17.09.15.
3681 호주 노동당, "동성결혼 과열 논쟁, 성소수자 정신건강에 악영향" 톱뉴스 17.09.15.
3680 호주 위기의 빌 쇼튼 노동당 당수…지지 의원 이탈 가속화? 톱뉴스 17.09.15.
3679 호주 연방하원 지역구 재조정에 자유당 연립 긴장 톱뉴스 17.09.15.
3678 호주 하워드, 애벗 전 총리 “동성결혼 반대 캠페인 지지한다”…턴불 “yes’ 입장 표명 톱뉴스 17.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