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jpg

퀸즐랜드 해변의 아름다움은 모래가 침식되지 않고 늘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연안표류’(longshore drift) 때문이다. 하지만 무분별한인 지역개발은 이를 막았고 인위적인 시설로 모래의 이동을 만들었지만 장기적인 해결책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사진은 저녁 무렵의 골드코스트 비치(Gold Coast Beach). 사진 : City of Gold Coast

 

개발로 막힌 ‘연안표류’, “인위적 시설은 장기 해결방안 아니다”

 

지리학 용어 가운데 ‘Longshore drift’(연안표류)라는 것은 파도가 해안에 비스듬히 부딪쳐 생기는 모래 등의 움직임을 가리킨다. 해안선을 따라 퇴적물이 연안을 이동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해안선에 비스듬하게 사빈(sand beach. 모래가 많이 퇴적된 해안지형)을 올라가는 쇄파(breaker. 사빈해안의 근처나 암석 등에서 부서지는 파도) 또는 육지를 향해 부는 바람에 의해 해안에 평행하게 흐르는 연안류가 발생하는데, 이 연안류에 의해 침전물의 연안표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 ‘해안표류’는 NSW 주의 퇴적물을 퀸즐랜드로 운반해 이 지역의 아름다운 백사장과 모래섬을 만들고 있다. 퀸즐랜드 해변이 NSW 주의 비치들에 비해 아름답게 보이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2-2.png

호주 동부 해안은 남동쪽으로 강한 파도 상태를 보인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것이 북쪽으로 모래 퇴적물을 밀어낸다. 그림 : ABC 방송

 

전 세계 여행자들의 인스타그램 사진 스폿이기도 한 퀸즐랜드 해변들은 이를 만들어내는 퇴적물, 퇴적물을 운반하는 날씨 패턴 모두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역사는 이 미묘한 균형을 깨뜨리는 것이 얼마나 쉬운 것인지를 보여준다.

퀸즐랜드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 지리학 전문가인 다니엘 해리스(Daniel Harris) 박사는 연안표류에 대해 “파도가 해안과 비스듬히 도착할 때 발생한다”고 설명하면서 “호주 동부에서는 남동쪽으로 강한 파도상태를 보이며 이것이 북쪽으로 퇴적물을 밀어낸다”고 덧붙였다.

 

2-3.png

‘연안표류’(longshore drift)로 인해 호주 동부 해안의 모래를 쓸어내고 다시 쓸어 모은다. 그림 : ABC 방송

 

남쪽으로 향한 파도는 지구 대기 순환의 결과인 남동풍이 퀸즐랜드 해안 쪽으로 공기를 밀어올린다.

해리스 박사는 이런 현상으로 인해 매년 50만 세제곱 미터의 모래가 NSW 주와 킌즐랜드 경계 지점의 ‘Snapper Rocks’를 지나 북쪽으로 쓸려갈 것으로 보고 있다. 그에 따르면 대부분은 NSW 주와 동부 해안의 남단에서 쓸려오는 것이다.

 

해변의 모래를 희게 만드는 것은?

 

하와이 또는 지중해를 여행했던 이들은 호주의 많은 해변이 상당히 밝은 색을 띠고 있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해리스 박사는 “밝은색의 모래는 일반적으로 그 구성인자와 역사의 조합”이라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해안의 모래는 주로 규산질이다. 즉 대부분 투명하거나 흰 광물인 실리카 모래 또는 석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안의 모든 모래는 암석의 침식과 풍화작용에서 나온 것으로, 이것이 그 구성의 원천”이라는 설명이다.

 

2-4.jpg

퀸즐랜드 해변의 아름다움을 지속시키려면 모래가 쓸려나간 뒤 다시 보충되어야 한다. 사진 : Visit Brisbane

 

반면 검은 해변은 보통 인근의 화산과 연관되어 있다. 이 화산들은 밝은 모래 해변에 비해 신선하고 미네랄이 풍부한 퇴적물을 제공한다.

해리스 박사는 “모래가 가장 희게 보이는 곳에서는 담수가 밝은 백사장으로 침수돼 오랜 시간 색이 제거되는 모래언덕에서 오랜 시간을 보냈을 것”이라고 말했다.

 

모래를 구하기 위한 노력

 

이 복잡한 자연적 과정은 1960년대, NSW-QLD 경계 인근의 트위드 강(Tweed River)에 보트가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훈련용 벽을 380미터가량 확장하면서 중단됐다. 이로 인해 퀸즐랜드 남부 해안으로의 모래 공급이 끊겨졌다.

 

2-5.png

NSW 주와 QLD 주 경계 지점에 있는 트위드 강(Tweed River) 하류에 보트가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만든 ‘Training walls’는 연안표류 현상을 막아버렸다. 그림 : ABC 방송

 

해변은 폭풍, 시간의 흐름과 함께 자연스럽게 썰물처럼 흐르지만 1970년대부터는 트위드 강의 훈련용 벽 북쪽에 있는 키라(Kirra)의 맑은 해변(Kirra Beach)이 어려움에 처했다. 폭풍으로 씻겨간 해변의 모래가 더 이상 자연적으로 퇴적되지 않은 것이다.

당국은 해안의 침식을 막기 위한 제방(groyne)을 설치하는 등 주 경계 북쪽에 있는 해변의 모래를 유지시키고자 여러 노력을 기울였지만 해안의 침식은 계속됐다.

NSW 환경부에 따르면 1980년대 후반 NSW와 QLD 주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트위드 강에 훈련용 벽이 만들어진 후 40여 년이 지난 2001년 ‘우회퇴적물’(sand bypassing)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2-6.png

지난 2001년 시작된 ‘Tweed River Sediment Bypassing Program’에 따라 만들어진 450미터 길이의 제트(jetty). 이 아래 10개의 분사 펌프(jet pump)를 설치해 인위적으로 모래가 북쪽으로 쓸려가도록 했다. 사진 : Gold Coast Waterways Authority

 

NSW 환경부에 따르면 영구적으로 설치한 모래 퇴적물을 위한 제티(jetty)는 450미터 길이로, 해저에 10개의 수중 분사 펌프(jet pump)를 설치해 모래를 이동시킨다. 이는 펌프는 해저 또는 트위드 강 외부로 모래를 내보내지 않고 ‘해안표류’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모래가 해변에 운반되도록 하는 인위적 장치인 셈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래가 흩어지지 않고 제티(jetty)를 따라 트위드 강 하류 및 퀸즐랜드 주 해변으로 쓸려가는 것이다.

해리스 박사는 “주목해야 할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이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인력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퇴적물의 자연적인 흐름을 방해한 인위적 개발이 제거되지 않는 한 해변의 모래를 유지하는 데에는 이 같은 펌핑 작업이 지속되어야 한다”면서 “이는 자연환경의 모든 부분에서 장기적 해결책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2-1.jpg (File Size:86.6KB/Download:29)
  2. 2-2.png (File Size:404.0KB/Download:25)
  3. 2-3.png (File Size:359.8KB/Download:34)
  4. 2-4.jpg (File Size:81.8KB/Download:15)
  5. 2-5.png (File Size:565.5KB/Download:28)
  6. 2-6.png (File Size:422.5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737 호주 사커루즈, 일본에 0-2 완패...러시아 행 ‘불투명’, 일본은 ‘확정’ 톱뉴스 17.09.04.
3736 호주 “동성결혼이 세계적 대세…?” 톱뉴스 17.09.04.
3735 호주 호주, ‘살인 감기’에 깊은 시름…감기 환자 급증 톱뉴스 17.09.05.
3734 호주 이중국적 파상공세 노동당에 토니 애벗 일격 톱뉴스 17.09.05.
3733 호주 쇼튼, 영국 국적 취소 문건 공개… 조이스 부총리 이중국적 파상공세 가중 톱뉴스 17.09.05.
3732 호주 RBA 기준금리 1.5% 13개월째 동결…달러화도 하락세 톱뉴스 17.09.05.
3731 호주 호주 2분기 경상적자 95.6억 달러 기록…예상 앞질러 톱뉴스 17.09.05.
3730 호주 주택시장, 2012년 이래 가장 저조한 봄 시즌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3729 호주 스트라스필드 공원, ‘Adventure Playground’ 개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3728 호주 노스 시드니 해군 잠수함 기지, 150년 만에 개방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3727 호주 RBA, 경기 회복세 불구하고 기준금리 동결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3726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시드니 둔화 속 호바트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3725 호주 동부 및 남부 지역, 올 여름 산불 위험성 크게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3724 호주 시드니의 높은 주택 가격... ‘모기지’에 필요한 수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3723 호주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지지-반대 계층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3722 호주 취업시장의 ‘호주인 우선’? 일부 기업 ‘400 비자’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3721 호주 ‘센서스 2016’- 시드니 외곽, 해외 출생 거주민 없는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3720 호주 NSW 주 연립 정부, 집권 후 91억 달러의 자산 매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3719 호주 ‘THE’ 대학평가, 호주 6개 대학 100위권 내 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3718 호주 사커루즈, 조 3위로 험난한 PO 직면…사우디는 본선핼 톱뉴스 17.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