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jpg

지난 7월 9일(목) 연방정부가 호주에 체류 중인 홍콩 유학생 및 장기 취업비자 소지자들에게 호주 영주의 기회를 제공하는 ‘비자 패키지’ 계획을 발표한 이후 관련 문의가 크게 증가했다. 사진은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의 발표 내용을 설명하는 호주 공중파 TV ‘채널 9’ 뉴스 화면.

 

중국의 국가보안법 시행 관련... 호주 체류 홍콩인들, ‘영주’ 원해

 

중국 공산당 정부의 홍콩에 대한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호주 정부가 현재 호주에 체류 중인 홍콩인들(유학생 및 장기취업자) 및 홍콩 내 사업자들에게 호주에 영주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한 뒤 호주 ‘영주’를 원하는 홍콩인들의 비자 관련 문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 7월 22일(수)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이민에이전트 및 호주 국제교육 관련 자료를 인용, “홍콩의 정치적 혼란으로 호주 비자 문의가 이례적으로 높은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중국 공산당 정부의 높아지는 탄압을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호주교육자문센터(Advisory Centre for Australian Education)의 우슐라 응(Ursula Ng)씨는 “이달 초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가 현재 호주에 있는 홍콩 유학생들에게 5년짜리 대학원 비자와 함께 이후 호주 영주의 길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는 홍콩인 대상의 새로운 비자제도를 발표한 이후 홍콩 학생들의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지난 7월 9일(목) 모리슨 총리는 홍콩 내 반정부 활동을 처벌할 수 있는 내용을 골자로 한 홍콩 국가보안법으로 인해 홍콩인에 대한 중국 공산당 정부의 탄압이 더욱 강력해질 것을 우려, 호주 정부가 호주 체류 홍콩인 수천 명에게 영주비자 제공의 길을 마련하는 한편 홍콩과의 범죄인 인도 협정도 중단키로 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정부의 이 같은 계획은 홍콩인들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비자 패키지’로, 주요 내용은 △현재 호주에 체류 중이거나 향후 호주로 입국하는 홍콩 유학생들이 성공적으로 학업을 마무리하는 경우 이후 5년짜리 임시 대학원 비자 취득의 기회를 제공하며(이는 영주비자 신청의 길이 되어줌), △호주에서 일하는 숙련기술비자 소지자들에게도 추가로 5년 연장된 비자를 제공하고(이 또한 영주비자 취득 경로가 됨) △향후 ‘기술부족군 비자’를 소지하는 홍콩인들에게도 5년짜리 비자를 발급하겠다는 것이다.

응씨는 현재 상황에 대해 “지난 1997년 홍콩이 중국으로 이양됐을 때 홍콩을 떠나고자 했던 이들이 많았던 것처럼 이번에도 마찬가지”라면서 “이번 호주 정부의 발표는 이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5-2.jpg

애매하게 정의된 중국 공산당의 홍콩에 대한 국가보안법으로 임의 구금 위험을 경고하는 ‘채널 9’의 뉴스 화면(사진).

 

서부호주 퍼스(Perth, Western Australia) 기반의 이민 변호사인 조반 리(Jovan Lee)씨도 “중국의 국가보안법 시행이 인권 및 홍콩의 법적 자율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오면서 이민 관련 문의가 급상승했다”고 말했다.

“특히 모리슨 총리의 ‘비자 패키지’ 발표 후 홍콩에 거주하는 이들로부터 많은 비자 문의가 있었다”는 리 변호사는 “하루 2~3건이었던 이민 문의가 4건 이상 늘었다”고 덧붙였다.

호주 국제교육 산업에서 인구 750만 명의 홍콩은 호주로 오는 유학생의 주요 국가는 아니다. 2020년 7월 현재 호주에 체류 중인 중국 유학생이 17만5,888명인데 비해 홍콩 학생은 1만205명이다. 전통적으로 홍콩 학생들은 영국과 미국으로의 유학을 선호한다.

영국 정부는 영국 해외교민 지위(British national overseas status)에 있거나 자격이 있는 최대 300만 명의 홍콩인들에게 영국 정착 및 시민권 부여의 길을 제공했다. 다만 홍콩이 영국으로부터 중국이 이양된 1997년 이후 홍콩에서 태어난 이들은 이에 대한 자격이 없다.

호주 국제교육협회(Inter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of Australia)의 필 허니우드(Phil Honeywood) 회장은 모리슨 총리의 계획에 대해 무엇보다 유학생들이 관심을 보인다고 전했다.

허니우드 회장은 “홍콩 학생들을 지원하겠다는 연방정부의 발표는 홍콩 유학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면서 “이 발표가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지만 호주의 많은 대학들이 늘어난 학생비자 문의를 경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호주의 ‘비자 패키지’가 현재 홍콩에 있는 이들로부터도 관심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지환 기자 kevinscabin3@gmail.com

 

  • |
  1. 5-1.jpg (File Size:63.4KB/Download:18)
  2. 5-2.jpg (File Size:71.1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777 호주 ‘내 집’ 마련 밀레니얼 세대 40% “심한 모기지 압박감” 톱뉴스 17.08.28.
3776 호주 턴불 총리 “역사 기념물 논쟁은 스탈린주의 발상, 대다수 국민 경악” 톱뉴스 17.08.28.
3775 호주 복지수당 수급자 대상 약물 테스트 대상 지역 3곳 확정 톱뉴스 17.08.28.
3774 호주 연방정부, 호주 내 난민희망자 100명 재정지원 중단 및 출국 통보 톱뉴스 17.08.28.
3773 호주 멜버른 카운슬로 튄 쿡 선장 동상 등 역사 기념물 훼손 불똥 톱뉴스 17.08.28.
3772 호주 Ch10, 도산 위기 모면…미국 CBS 인수 확정 톱뉴스 17.08.29.
3771 호주 호주 “북한 미사일 도발, 전 세계 평화와 안보 위협”…강력 규탄 성명 잇따라 톱뉴스 17.08.29.
3770 호주 CBA ‘산 넘어 산’…AUSTRAC이어 APRA도 조사 착수 톱뉴스 17.08.30.
3769 호주 2017 NSW 카운슬 선거, 한국계 후보 6명 출사표 톱뉴스 17.08.30.
3768 호주 ‘리틀 코리아’ 스트라스필드 카운슬의 ‘진흙탕 싸움’ 톱뉴스 17.08.30.
3767 호주 지난 주 이어 낙찰률 하락... 16개월 만에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3766 호주 탈북 학생들의 꿈... “어려운 이들 위해 일하고 싶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3765 호주 ‘용의자 사살권’ 등 경찰 공권력, 시민들의 공포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3764 호주 최장기간 연구 보고서, “성공하려면 성(姓)도 잘 타고나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3763 호주 베레지클리안, 서울 명예시민 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3762 호주 우울증-불안감에 시달리는 여성 비율, ‘우려’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3761 호주 호주 초등학교 남학생 5명 중 1명, ‘정서행동장애’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3760 호주 저소득층 지역, 임대주택 보증금 환불 거부 비율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3759 호주 보수 진영 정치 인사들, 동성결혼 ‘Yes’ 캠페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3758 호주 ‘동성결혼’ 관련 우편조사 등록 마감일의 ‘해프닝’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