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임대료 1).jpg

시드니와 멜번의 주택 임대료 상승으로 매 주 수입의 3분 1가량 또는 그 이상이 임대료로 지출되는 상황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시드니-멜번 세입자, 소득의 3분의 1가량 임대료로 지출

 

호주인들 사이에 “주택가격이 미쳤다”는 하소연은 허튼 소리가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근래 지나치게 상승한 주택가격으로, 임대료 또한 덩달아 오른 탓에 특히 시드니 및 멜번의 경우 세입자들이 임대료로 지출하는 비용은 소득의 3분 1에 달한다는 새로운 분석이 나왔다.

최근 부동산 정보회사인 ‘Finder.com.au’의 집계 결과 시드니와 멜번의 주택 임대료는 각각 주 수입의 37.9% 및 30.7%에 이를 만큼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리즈번(Brisbane) 또한 세입자가 임대료로 지출하는 비용은 수입의 28.4%로 높은 편이었다.

이번 자료를 집계한 ‘Finder.com.au’의 베시 핫산(Bessie Hassan)씨는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주거비 문제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주요 도시 가운데 임대료 부분에서 가장 합리적 가격을 보인 곳은 호바트(Hobart)로, 세입자들이 임대료로 지출하는 부분은 주 수입의 25.2%였다. 이는 호주 전체 평균과 일치하는 수치이다.

빅토리아 주 민간단체인 ‘임대자 연합’(Tenants Union of Victoria)의 정책 담당자 옐 카스피(Yaelle Caspi)씨는 “멜번의 각 가정이 임대료 지급을 위해 분투하고 있다”고 직설적으로 토로했다.

카스피씨는 “임대료는 각 가정의 지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저소득 가정이 겪는 고통은 엄청나다”고 덧붙였다.

부동산 분석회사인 ‘도메인 그룹’(Domain Group) 자료에 따르면 현재 멜번의 임대료 중간가격은 지난 해 12월 분기보다 10달러 상승했으며 유닛 임대료 또한 지속적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시드니의 아파트 임대료는 주당(weekly) 510달러에서 500달러로 떨어졌지만 단독주택 임대료는 여전히 상승 추세이다. 특히 시드니의 경우 임대료 지출은 평균 37.9%이지만 그 이상을 지출하는 가정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리힐(Surry Hills)에 거주하는 뮤지션 패니 럼스든(Fanny Lumsden)씨는 매주 240달러를 쉐어 임대료로 지출하고 있다. 이는 그녀의 주 수입 가운데 절반에 해당하는 비용이다. 음악활동 외에 다른 경력이 없기에 그녀의 주 수입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그런 상황에서 주택 임대료는 그녀에게 있어 너무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결국 그녀는 음악활동 외에 임대료를 감당하기 위해 다른 두 가지 파트타임 일자리를 가져야 했다.

‘Finder.com.au’가 분석한 이번 자료는 지난 달 코어로직(CoreLogic) 데이터와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이 내놓은 가장 최근의 주별(weekly) 임금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됐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임대료 1).jpg (File Size:37.6KB/Download:4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7 호주 광역시드니 각 지역의 성적 우수 학교들, 등록 학생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6 호주 “현 기준금리 유지, 추후 이자율 인상 없으리라는 것 보장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5 호주 아웃백 캠핑 여행 증가... SA 주 당국, COVID로 중단했던 내륙 여행 허용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4 호주 만성적 주택 부족 상황... 11개월 만에 주택가격 상승... 임대료 고공 행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3 호주 시드니 경전철 이용객, ‘COVID 제한 해제’ 이후 1년 사이 두 배 이상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2 호주 ‘Work from Home’ 협상... ‘호주 사무실 문화의 미래’, 새로운 도전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1 호주 “생산성 낮은 기업들, 대개는 이주 노동자에 의존... 생활수준 위협”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0 호주 생활비 위기 속 ‘빠질 수밖에 없는 함정’... BNPL 이용자 ‘고군분투’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69 호주 ‘Science of pokies’, 도박자를 유혹하는 포커머신의 설계와 작동방식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68 호주 연방정부, 높은 인플레이션 수치 감안해 최저 소득계층 임금인상 ‘지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67 호주 농업 체험 여행자 증가... TAS 농장-식품업체들, 방문객 유치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6 호주 Class warfare... NSW 각 학교에서의 폭력 행위, 지난 10년 사이 50%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5 호주 호주 일자리 호황 속 ‘안정적 실업률’ 이어져... RBA의 이자율 인상 ‘압력’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4 호주 호주인들, 지난 한해 갖가지 사기 행각 피해로 총 31억 달러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3 호주 시드니의 불평등 심화... NSW 거주민 100만 명 ‘빈곤’ 상태서 생활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2 호주 상위 10% 계층이 전체 경제성장 이익의 93% 차지... 호주, 경제 불평등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1 호주 자유당 지지자들, 당 지도부 ‘반대’ 불구, ‘Voice’ 관련 ‘Yes 캠페인’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0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 ‘Time’ 지의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59 호주 멜번, ‘세부기술 측면에서’ 시드니 제치고 호주 최대인구 도시로 발돋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58 호주 Cancer Council, 상당수 호주인 건강에 영향 미치는 희귀암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