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부자지역).jpg

광역 시드니 각 지역(suburb)에서 연간 소득이 가장 높은 곳으로는 모스만(Mosman)이 꼽혔다. 호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이 지역민들이 연간 거두어들인 총수입은 27억1천만 달러에 달했다. 사진은 모스만의 한 주택.

 

27억1천만 달러의 모스만, 더블베이-벨뷰힐 뒤 이어

지역별 소득격차 3분의 1까지... 호주 전역서 소득불균형 가장 심각

 

투자나 개인사업, 또는 주급 등 전체 수입이 연간 10억 달러 이상의 수퍼 리치(super-rich)들이 거주하는 시드니 지역(suburb)은 어디일까.

최근 집계 결과 시드니의 경우 이 같은 억만장자 지역은 무려 41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드니 로워노스쇼어(lower north shore) 지역에 있는 모스만(Mosman)은 전체 소득이 가장 높은 곳으로, 지난 2012-13 회계연도 이 지역민들이 거두어들인 총 수입은 27억1천만 달러에 달했다. 모스만에 이어 더블베이-벨뷰힐(Double Bay-Bellevue Hill)이 24억6천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포트 잭슨(Port Jackson) 또한 억만장자 지역 중 하나로 부상하면서, 시드니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으로 꼽히는 하버 사이드(harbour-side) 주변 지역만이 ‘수퍼 리치’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억만장자 지역에는 시드니 동부(eastern suburb), 노스 쇼어(north shore) 및 노던 비치(northern beaches)뿐 아니라 남부 크로눌라(Cronulla), 카링바(Caringbah), 릴리필리(Lilli Pilli) 등도 이 대열에 올라 있다.

이너 웨스트(inner west)에서는 라이카트-아난데일(Leichhardt-Annandale), 발메인(Balmain) 및 한인 동포들이 많이 거주하는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가 연 1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거두는 지역에 포함됐다. 근래 빠른 성장을 보인 노스 웨스트(north-west)의 세 지역, 카슬힐(Castle Hill)과 켈리빌(Kellyville), 파클리아-켈리빌 릿지(Parklea-Kellyville Ridge) 또한 10억 달러 클럽에 들어 있다.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은 최근 2012-13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소규모 지역별 개인소득 추정치인 ‘Statistical Area Level 2’를 발표했다. 이 통계는 각 서버브(suburb) 또는 인구 및 사회-경제적 연관성이 있는 2~3개 지역을 하나의 통계지역으로 묶어 집계한 것으로, ABS는 다양한 인구구성이지만 평균 1만명의 수입을 기준으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2012-13년, 10억 달러 이상의 총소득을 가진 지역이 호주 전역에 걸쳐 64개에 이르며 이중 3분의 2 가까이가 광역 시드니 지역이었다.

이번 통계는 광역 시드니 내 각 지역(suburb)별로 엄청난 소득격차가 있음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시드니 남서부 페어필드-카브라마타(Fairfield-Cabramatta)의 경우 모스만 지역 거주민들이 한 해 거두어들인 총수입의 3분 1에 불과했다. 리버풀(Liverpool) 인근 버스비-밀러-보니릭(Busby-Miller-Bonnyrigg) 지역도 비슷한 수치로, 같은 기간(2012-13 회계연도) 이 지역 1만7,877명의 주민이 거둔 총수익은 8억6,870만 달러로, 모스만 지역민이 올린 총수익 27억1천만 달러와 크게 비교됐다.

ABS의 소규모 지역별 추정소득 통계는 또한 시드니의 경우 상위 1%의 부자들이 전체 시드니 지역 소득의 11.5%를 독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호주 전역에서 소득 불균형이 가장 심한 도시임을 드러냈다. 뿐 아니라 상위 10%의 부자들이 차지하는 소득도 36.2%로 호주 전체적으로 상위 10%가 차지하는 소득 33.7%보다 높았다.

개인별 연간소득에서도 시드니 하버 사이드 지역인 로즈베이-버클루즈-왓슨베이(Rose Bay-Vaucluse-Watsons Bay)의 경우 15만9,092달러를 기록, 광역 시드니 전체 평균인 9만5천 달러보다 훨씬 높았다. 연간 개인소득은 이 지역에 이어 더블베이-벨뷰힐(Double Bay-Bellevue Hill)이 14만4,356달러에 달했으며, 부동산 분석회사인 ‘도메인 그룹’(Domain Group)에 따르면 이 지역의 주택 중간가격은 410만 달러에 이르고 있다.

광역 시드니 전체적으로 평균 연간 소득은 4만7,281달러로 집계됐으며, 이는 호주 전체 평균인 4만4,940달러보다 높았다.

ABS가 내놓은 이번 소규모 지역별 개인소득 추정치에는 비과세 소득(tax-free income)과 개인연금, 정부 연금과 갖가지 복지수당은 포함되지 않았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부자지역).jpg (File Size:50.2KB/Download:3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17 호주 멜번 경매 시장, 올해에도 호황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4816 호주 강풍에 지붕 날아간 아파트... 황당, 분통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4815 호주 스트라스필드 횡단보도서 젊은 대학생 숨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4814 호주 패리 오키든, 드러나지 않았던 호주 최고의 부자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4813 호주 ‘Lockout Laws’, 시드니 도심, ‘고스트 타운’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4812 호주 NSW 베어드 주 수상, GST 관련 새 제안 내놔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4811 호주 호주인 정서, “아직은 군주제 지지 우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4810 호주 시드니, 주요 도시 중 소득 불평등 가장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4809 호주 Best experiences in Australia: The things we do better than anywhere else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4808 호주 시드니 경매 낙찰률, 지난해 봄 시즌 이후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4807 호주 NSW 주 상어위험 대처 프로그램, 실효성 ‘의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4806 호주 알 카에다에 납치, 조설린 엘리엇 여사 풀려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4805 호주 경기회복 조짐? 지난 1월 구직광고 1%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4804 호주 늦은 밤 호텔에 또 무장 강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4803 호주 NSW 의회, “원주민 ‘잃어버린 세대’에 보상 이뤄져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4802 호주 “높은 주택 임대료, 심한 ‘스트레스’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4801 호주 정부의 세제개혁, 어디로 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4800 호주 “교육 부문에서 우리 사회는 결코 평등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4799 호주 “시드니 야간경제 몰락, ‘새 음주법’ 때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 호주 시드니 억만장자(super-rich)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