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메인).jpg

시드니 하버(Sydney Harbour)에는 총 13개의 섬이 있다. 이 가운데 일반인들에게 크게 알려지지 않은 섬은 어디가 있을까? 호주 국영 ABC 방송의 ‘라디오 702’는 Australia Day를 기해 식민지 초기 시절의 역사를 담고 있는 5개의 섬을 소개, 눈길을 끌었다. 사진은 공중에서 바라본 시드니 하버 일대.

 

 

ABC ‘라디오 702’, 총 13개의 섬 가운데 생소한 이름의 5개의 섬 소개

 

“시드니 하버(Sydney Harbour)에 총 13개의 섬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이 섬들 가운데 해군 기지로 이용된 가든 아일랜드(Garden Island), 감옥이었다가 선박 관련 시설로 활용된 코카투 아일랜드(Cockatoo Island) 등은 잘 알려진 섬이다.

또한 ‘포트 데니슨’(Fort Denison)으로 불리는 록 아일랜드(Rock Island)도 많은 이들이 잘 알고 있는 섬 중 하나이다.

시드니 역사학자인 니콜 카마(Nicole Carma)씨는 특히 록 아일랜드를 좋아한다면서 “이 섬들이 좋아 매번 페리를 타고 하버 지역의 섬들을 둘러보는 것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나폴레옹 전쟁 시기, 요새(fort) 건설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해안 방어용 원형 포탑을 찾아내는 것은 매력적인 일”이라면서 “이는 또한 백인 정착 초기, 영국에서 추방된 범죄자 유형지임을 일깨워준다”고 설명했다.

호주 대륙에 700여명의 죄수, 1천300여명의 군인 및 관리들이 시드니 하버에 첫 발을 디딘 날을 호주 건국으로 삼아 대대적인 기념행사를 벌이는 Australia Day를 기해 국영 ABC 방송의 ‘라디오 702’는 식민지 초기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시드니 하버 일대의 섬들 가운데 일반인들에게 크게 알려지지 않은 5개의 섬을 소개, 눈길을 끌었다.

 

 

■ Snapper Island

시드니 하버 일대에 있는 섬들 가운데 가장 작은 섬(총 면적 1.65헥타르)으로 파라마타 강(Parramatta River) 어귀에 있다.

1921년부터 해군 생도들의 훈련장으로 활용되었던 섬으로, 당시 그리 좋은 평판을 받지 못했기에 ‘모기 섬’(Mosquito Island)이라는 다소 불명예스런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역사학자 카마씨가 감수한 시드니 용어사전(Dictionary of Sydney)에 따르면 실제로 ‘스내퍼 아일랜드’는 여전히 ‘크게 쓸모 없는 섬’으로 알려져 있다.

매거진(스내퍼 아일랜드 1).jpg

파라마타 강 어귀에 있는 가장 작은 섬 스내퍼 아일랜드(Snapper Island)는 지난 1921년부터 해군 훈련장으로 활용되어 왔다. 사진은 1938년 촬영된 스내퍼 아일랜드의 해군 장비창고.

 

 

■ Spectacle Island

섬 이름 그대로 안경 모양으로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파라마타 강과 시드니 하버가 만나는 지점에 있는 섬으로, 1884년부터 식민 정부의 화약창고가 지어졌으며 1893년부터 해군 군수품 저장창고로 활용됐다.

매거진(스펙터클 아일랜드 1).jpg

발메인(Balmain)에서 바라본 스펙터클 아일랜드(사진 가운데 부분의 길게 이어진 섬). 초기 식민정부의 화약 창고로 이용되다가 이후 해군 군수품 보관 창고 역할을 했다.

 

 

■ Rodd Island

아이온 코브(Iron Cove)의 중심 부분에 위치한 이 섬은 스내퍼, 스펙터클 아일랜드보다는 좀더 알려져 있으며 ‘Rabbit’, ‘Snake’, ‘Jack and Rhode Island’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1880년대 호주 전역에 야생 토끼가 크게 번성하고 농작물을 파괴하자 식민지 정부는 이 섬에 갖가지 해충을 관리, 통제하기 위한 생물학 실험실을 세우기도 했다.

오늘날 시드니 하버 국립공원(Sydney Harbour National Park) 안에 포함되어 있는 로드 아일랜드는 피크닉 장소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매거진(로드 아일랜드 1).jpg

아이언 코브(Iron Cove) 중심부에 위치한 로드 아일랜드는 식민지 시절, 해충방역 실험실이 세워졌던 곳이다. 사진은 이 섬에서 소풍을 즐기는 아이들로, 1948년 촬영된 것이다.

 

 

■ Bennelong Island

오늘날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가 있는 것으로, 본래는 이곳 또한 섬이었다.

백인들이 들어오기 전, 이 일대는 호주 원주민 가운데 카디걸 부족(Cadigal people)이 거주하던 곳으로, 베넬롱 아일랜드는 카디걸 부족 여성들이 굴(oyster)을 채취하던 장소였다.

식민지 시절, 정부는 이 섬에 있는 수많은 굴 껍데기를 불에 태운 뒤 식민 초기 건축물을 위한 석회로 만들었는데, 그 역할은 여성 죄수들의 몫이었다.

매거진(베넬롱 아일랜드 1).jpg

현재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가 있는 자리는 애초 섬이었다. 사진은 식민 초기 베넬롱 아일랜드 지역을 그림 스케치. 호주 국립도서관(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소장.

 

 

■ Glebe Island

글리브 아일랜드(Glebe Island)와 이 섬이 위치한 와이트 베이 지구(White Bay precinct)는 오늘날 선박 물류의 중요한 장소가 되어 있다.

화물선이 드나드는 부두로 활용되기 전, 1850년대 중반부터 가축 도살장이 들어섰으며, 1882년까지 50만 마리 이상의 양, 7만 마리의 소, 3만1,269마리의 돼지, 8,348마리의 송아지가 도살됐다.

이 섬의 도살장은 지난 1912년 폐쇄됐다.

매거진(글리브 아일랜드 1).jpg

오늘날 선박 부두로 활용되는 글리브 아일랜드. 한때 이곳은 도살장으로 수많은 가축이 식용을 위해 도살된 것이었다. 사진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과의 전투를 위해 출항을 준비하는 호주 왕립해군 ‘HMAS Manoora’ 호.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매거진(메인).jpg (File Size:67.8KB/Download:39)
  2. 매거진(스내퍼 아일랜드 1).jpg (File Size:61.2KB/Download:27)
  3. 매거진(스펙터클 아일랜드 1).jpg (File Size:71.1KB/Download:36)
  4. 매거진(로드 아일랜드 1).jpg (File Size:83.6KB/Download:33)
  5. 매거진(베넬롱 아일랜드 1).jpg (File Size:51.0KB/Download:35)
  6. 매거진(글리브 아일랜드 1).jpg (File Size:60.4KB/Download:3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7 호주 Under God... 크리스 민스 47대 주 총리 취임, “충성-직무 충실” 선서 file 호주한국신문 23.03.30.
496 호주 “RBA의 공격적 금리 인상으로 건축 및 주택대출 승인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95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새로운 내용의 ‘Strathfield Festival’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94 호주 “QLD 거주민, 지난해 최소 한 차례는 COVID-19에 감염되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93 호주 뱅스타운 ‘브라이언 브라운 극장’, 각 장르의 수준 높은 공연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92 호주 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주택가격 상승했지만... “향후 상황, 확신 못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91 호주 올해 Term 4부터 NSW 주 공립 하이스쿨서 휴대전화 사용 ‘금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90 호주 “독감 심각”, “예측 불가능”... 겨울시즌 앞두고 독감 백신 접종률 저조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89 호주 지난해의 부동산 시장 침체기, 가격 하락폭 컸던 시드니 주택 규모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88 호주 호주 중앙은행, “하락하는 물가 수치 지켜보겠다”... 이달 금리 인상 ‘보류’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87 호주 금 탐사자, VIC주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서 2.6kg 금덩어리 ‘횡재’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86 호주 정부, 의약품 보조 계획의 COVID-19 항바이러스 치료제 ‘자격 기준’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85 호주 “호주 여자 축구팀 성원과 우리 사회의 다양성에 동참해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84 호주 ‘Indigenous Voice to Parliament’, 헌법 명시 위한 국민투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83 호주 시드니 일부 유명 사립학교, 허용된 학생 정원보다 수백 명 이상 추가 수용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82 호주 연방 자유당 피터 더튼 대표, ‘아스턴’ 보궐선거 패배 책임 ‘인정’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81 호주 100인 이상 고용 기업, 내년 초부터 성별 임금격차 공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80 호주 Female firsts... NSW 크리스 민스 정부 내각 확정... 절반이 여성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
479 호주 멜번 교외지역 거리에서 맹견 공격으로 60대 여성, 치명적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8 호주 시드니 주택소유자들, 20년 전 비해 보유 기간 길어... ‘코어로직’ 데이터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