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VIC 지방 임대료 1).jpeg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의 임대료 조사 결과(‘Domain Rent Report’) 빅토리아 주 일부 지방은 임대료가 두 자릿수 상승을 보였다. 사진은 라트로보 지역(Latrobo region), 모웰(Morwell) 중심가에 자리한 ‘Latrobe Regional Gallery’. 모웰의 주택 임대료는 1년 사이 19.7%가 높아졌다. 사진 : Visit Victoria

 

5년 사이 알파인 51.8%-바스 코스트 43.9%-왕가라타 40.7% 높아져

 

빅토리아(Victoria) 주 지방 지역의 임대료가 가파른 상승을 보이고 있다. 지난 6월 분기 전국 임대보고서(‘Domain Rent Report’)에 따르면 일부 지역의 경우 지난 12개월 사이 20% 이상 올라 ‘임대주택 위기’라는 말도 나오는 상황이다.

바이러스 대유행을 겪으면서 주도인 멜번(Melbourne)은 남부호주 애들레이드(Adelaide, South Australia)와 함께 임대료가 가장 낮은 도시가 되었지만 멜번 외곽 도시를 비롯해 일부 지방 지역은 높은 임대료로 인해 거주민들이 더 낮은 지역을 찾아 떠나는 상황이다.

특히 일부 여행지의 임대료가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주택 소유자들은 여행자 숙소를 고정 거주자들에게 임대하고 있다. 하지만 늘어나는 수요를 채우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게 부동산 관계자들의 말이다.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에 따르면 알파인(Alpine)을 비롯해 빅토리아 주 14개 지역(region) 임대료는 지난 12개월 사이 두 자릿수 이상 상승했다.

VIC에서 임대료 상승폭이 가장 컸던 곳은 대표적 여행지 중 하나인 알파인 지역으로, 지난 1년 사이 임대료는 21.4%가 올랐으며 라트로보 지역(Latrobo region)의 모웰(Morwell)과 트라랄곤(Traralgon)이 19.7% 올라 중간 임대료는 주(week) 365달러로 나타났다. 와인 산지로 알려진 왕가라타(Wangaratta)도 지난 6월까지 1년 사이 18.8%가 상승해 현재 중간 임대료는 주 380달러로 집계됐다.

지방 지역과 달리 멜번의 임대료가 저렴해지자 지방 지역 거주자들이 높은 거주비를 피하고자 대도시로 이주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으며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한 이들은 사회복지 단체인 ‘Renters and Housing Union’(RAHU)에 도움을 청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RAHU의 아이린 솔리디스 노이스(Eirene Tsolidis Noyce) 사무총장은 “도움을 청하는 이들이 너무 많아 이들의 요구를 다 수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많은 세입자들이 ‘강제 이주’를 당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알파인 지역의 유명 여행지 브라이트(Bright)에 있는 부동산 회사 ‘Dickens Real Estate Bright’의 켈리 그레이(Kellie Gray) 에이전트는 “알파인 지역의 휴가용 주택 소유자들이 높은 세입자 수요에 따라 임대주택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영구 임대 수요가 크게 늘었다”며 “우리 지역은 많은 것을 가져본 적이 없고 바뀐 것이 없지만 근래의 한 가지 변화는 이 지역으로 이주하려는 이들이 크게 늘어났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방 지역으로 이주해 임대주택을 구하는 세입자들은 아예 지방에서 오래 거주할 목적이기에 소유자에게 더 많음 임대료를 주면서까지 주택을 구하는 상황이지만 그럼에도 임대주택 공급은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레이 에이전트는 “높아진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강제로 퇴거당하는 안타까운 일도 이어진다”고 말했다.

멜번 북서쪽, 150킬로미터 거리의 금광도시 벤디고(Bendigo) 기반의 부동산 회사 ‘Tweed Sutherland First National Real Estate’의 임대주택 관리자 네이선 루드먼(Nathan Ludeman)씨는 임대주택이 부족한 상황에 대해 “지방 지역 공실률을 낮추는 세입자 수요 때문만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지방 지역 주택가격이 올 3월까지 지난 12개월 사이 17.6% 성장한 만큼 주택매매가 활기를 띠었으며, 임대주택에 거주하던 이들이 자기 소유의 주택을 마련함으로써 임대용으로 나오는 매물이 크게 감소했다.

 

부동산(VIC 지방 임대료 2).jpg

빅토리아 주의 대표적 금광도시 벤디고는 멜번에서 자동차로 약 1시간 30분 거리에 자리해 최근 수년 사이 멜번 거주민들의 이주가 증가한 도시임, 이에 따라 지난 12개월 사이 주택 임대료는 11.8%가 올랐다. 사진 : 유투브(youtube.com)

 

루드먼씨는 자기네 에이전시를 예로 들면서 “이달 둘째 주에만 최소 25채의 판매 매물이 리스트에 올랐다”며 “이 주택에서 세입자로 거주하던 이들은 다른 임대주택을 구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도메인’의 조사 분석 선임연구원 니콜라 파월(Nicola Powell) 박사는 전염병 사태 이전까지만 해도 멜번은 기록적인 임대료를 기록했지만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원격 근무를 실시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도시 거주민들의 지방 지역 이주 추세가 가속화됐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재택근무가 가능한 기반은 세입자들로 하여금 더 먼 지역으로 이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전염병 사태 이후 해외 근로자 및 유학생들의 대거 귀국은 멜번의 임대료 시장에 타격을 주었다”고 덧붙였다.

멜번에서 거주하던 루크 댐(Luke Dam)씨는 광역 멜번이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취한 네 차례의 록다운 막바지에 멜번에서 자동차로 1시간 반 거리의 벤디고로 이주했다. 그의 이주 결심은 재택근무가 가능한 때문이었다.

댐씨는 멜번 북서쪽, 선버리(Sunbury)의 집과 돈카스터(Doncaster)에 있는 사무실을 임대로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원격 근무가 가능해짐에 따라 그는 두 임대 부동산 계약을 종료하고 멜번을 떠난 것이다.

그는 “멜번에 취해진 몇 차례의 록다운 동안 우리 팀은 6개월간 사무실을 이용할 수 없었다”면서 “원격으로 작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지금은 하루 한 번 온라인에 접속해 직업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벤디고로 이주한 뒤 멜번의 바이러스 상황에 따라 다시 돌아갈 것인가에 대해 머뭇거리기도 했지만 지금은 이곳에 거주하기로 결심했다”는 댐씨는 “내가 원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즐길 수 있어 좋다”고 덧붙였다.

빅토리아 주의 많은 지방 도시, 타운들과 마찬가지로 벤디고 또한 지난 12개월 사이 임대료는 주(week) 11.8%(약 40달러)가 올라 현재 중간 임대료는 380달러에 달한다.

 

■ 임대료 두 자릿수 상승한 VIC 지역

(Regional : 중간 임대료 / 연간 상승률 / 지난 5년간 상승률)

-Alpine : $425 / 21.40% / 51.80%

-Latrobe : $365 / 19.70% / 32.70%

-Wangaratta : $380 / 18.80% / 40.70%

-South Gippsland : $355 / 18.30% / 37.60%

-Bass Coast : $410 / 17.10% / 43.90%

-Wellington : $350 / 16.70% / 27.30%

-Strathbogie : $360 / 16.10% / 34.60%

-Mount Alexander : $400 / 13.50% / 25.00%

-Corangamite : $330 / 12.80% / 32.00%

-Surf Coast : $560 / 12.00% / 24.40%

-Greater Bendigo : $380 / 11.80% / 26.70%

-Warrnamboo : $400 / 11.10% / 25.00%

-Southern Grampians : $310 / 10.70% / 24.00%

-Central Goldfields : $300 / 10.10% / 30.40%

Source: Domain Rent Report, June quarter 2021.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VIC 지방 임대료 1).jpeg (File Size:79.9KB/Download:12)
  2. 부동산(VIC 지방 임대료 2).jpg (File Size:88.8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897 호주 올 7월까지의 매물주택 수, 지난해 대비 54%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3896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호주 기준금리 1.5% 동결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3895 호주 6월 신규주택 판매, 6.9%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3894 호주 호주 여아들 ‘사춘기’, 8세로 빨라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3893 호주 올해 ‘아치볼드’, ‘아가다 고스-스네이프의 초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3892 호주 2030년 미래 직업... 필요한 기술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3891 호주 NAPLAN 예비결과 공개... “학업성취도 향상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3890 호주 광역시드니 전역, 주택소유자 비율 크게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3889 호주 ‘대학 성폭력 보고서’... LGBTI 피해자 대부분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3888 호주 대테러 전담팀, IS 조직과 연계된 테러 용의자 색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3887 호주 2017 ‘HILDA’ 보고서... “젊은이들, 더욱 힘들어져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3886 호주 호주 학생 작문 실력 저하…NSW 9학년 70%, 일부 과목 기준점수 미달 톱뉴스 17.08.04.
3885 호주 연방정부, 영주권 제도 개정 계획 톱뉴스 17.08.04.
3884 호주 시드니 올림픽 파크, 무인자율주행버스 시험 운행 톱뉴스 17.08.04.
3883 호주 <현장취재> 무법천지 ‘마틴 플레이스 홈리스 텐트촌’ 톱뉴스 17.08.04.
3882 호주 시드니 ‘타운 하우스’ 인기 급상승 톱뉴스 17.08.04.
3881 호주 전기세 대란 서민층 “강타”…시드니 68,400가구 단전 위기 톱뉴스 17.08.04.
3880 호주 호주 한부모 가정 아동빈곤 급증…‘집값은 뛰고, 월급은 제자리’ 사회 양극화 반영 톱뉴스 17.08.04.
3879 호주 호주 불개미 습격 비상… 향후 10년간 4400억원 들여 박멸 작전 시행 톱뉴스 17.08.04.
3878 호주 시드니의 새 명소…아시아 음식 천국 ‘스파이스 앨리’ 톱뉴스 17.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