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캔버라 의회 1).png

캔버라 소재 국회의사당(Australian Parliament House)이 COVID-19 위험에 따라 다시 한 번 봉쇄 조치(8월 2일부터 9월 3일까지)를 시행한다. 이로써 일반인 출입은 불허되며 상-하원 회의에 참석하는 의원 수도 제한한다는 방침이다. 사진 : Parliament of Australia

 

8월 2일부터 9월 3일까지 정치인-직원들, 새 제한 규정 따라야

 

캔버라 국회의사당(Australian Parliament House. APH)이 또 한 번 봉쇄 조치에 들어간다. 이는 COVID-19의 감염 위험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인은 출입이 허용되지 않으며 정치인 및 직원들은 새로운 봉쇄 규정을 따라야 한다. APH의 이번 조치는 오는 8월 2일부터 시행, 9월 3일까지 이어진다.

APH는 지난 7월 26일(월) 오전 상하원 의장 공동성명을 통해 이 같이 발표하며 “새로운 제한 규정은 ‘가능한 엄격하게’ 적용하며, 지난해 전염병이 시작되었을 당시 도입된 사항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상-하원 의장은 “회의에 참석하는 의원 수는 상당히 줄어들 것이며, 상원 및 하원 회의에 누가 참석할 것인지는 당 원내총무들이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결정에 따라 각 의원들에게는 국회의사당 방문시 꼭 필요한 직원만 동행하도록 요청했다. 여기에는 집권 여당의 각 부처 장관, 야당 내각 장관, 당 대변인 및

당 원내총무실 직원으로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성명에 따르면 의사당 내에서 물리적 거리두기가 다시 시행되며 캔버라 전역의 각 장소에 로그인 할 수 있는 ‘Check In CBR 앱’ 사용이 의사당 내 모든 식음료 매장까지 포함된다. 의사당 봉쇄 기간 동안 내부의 피트니스 센터, 수영장, 기타 스포츠 공간도 잠정 폐쇄된다.

캔버라 의사당이 COVID-19로 인한 엄격한 제한 조치를 다시 시행한 것은 ACT가 광역시드니에 근접해 있음에도 현재까지는 감염자 사례가 발생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이다. 캔버라의 경우 바이러스 관련 제한 조치는 어느 정도 완화되어 있는 상태로, 가령 안면 마스크 착용도 선택사항으로 두고 있다. 하지만 광역시드니처럼 언제 감염자가 속출할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ACT에는 12만3천 회 이상의 백신이 접종되었으며, 대상자는 캔버라 및 NSW 경계 지역 거주민들이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캔버라 의회 1).png (File Size:503.0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37 호주 시드니 올림픽 파크 주민 99.9%, 아파트 혹은 유닛 거주 톱뉴스 17.07.23.
3936 호주 동물원에서 즐기는 수제 맥주 향연 톱뉴스 17.07.23.
3935 호주 19세기 파이프 오르간의 매력 속으로 톱뉴스 17.07.23.
3934 호주 제 8회 호주한국영화제, 내달 17일 개막 톱뉴스 17.07.23.
3933 호주 호주 중립 금리 3.5% 설 파장…RBA 부총재 긴급진화 나서 톱뉴스 17.07.25.
3932 호주 <뉴스폴> 턴불 가치관 및 리더십, 전임자 압도 톱뉴스 17.07.25.
3931 호주 조지 펠 추기경 출석 멜버른 치안법원 앞 북새통 톱뉴스 17.07.27.
3930 호주 보복 운전 시비 21살 여성 안면 가격 40대 남성 기소 톱뉴스 17.07.27.
3929 호주 ‘노스 본다이 유닛’ ‘세계 건축 페스티발 상’ 주택 부문 최종 후보 선정 톱뉴스 17.07.27.
3928 호주 4주 연속 낙찰률 상승, 주춤했던 주택거래 ‘회복세’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3927 호주 4인 가족 식비 주 40달러... “대형 슈퍼 이용 말라”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3926 호주 “호주 성별 임금격차, 향후 50년 이어질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3925 호주 필립 로우 RBA 총재, “해외 금리인상에 신경 안 써”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3924 호주 처방 진통제 ‘오피오이드’로 인한 사망자 수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3923 호주 “무종교 학생들 윤리수업 시간, 학과공부 허용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3922 호주 주 정부, 이너웨스트 일대 7만 가구 주택 건설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3921 호주 멜번 소재 대학에 ‘중국학생 출입 금지’ 전단지 붙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3920 호주 Don't break down here! 내륙 오지의 황량한 도로들(2)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3919 호주 NSW대학교 제인 맥아담 교수, 호주 최초 ‘국제인권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
3918 호주 ‘이 시대 최고의 목소리’... 원주민 가수 ‘G 유누핑구’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