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해외호주인 1).jpg

지난해 세계적 전염병이 선포된 이후 해외에서 체류 중 호주로 귀국하지 못한 채 COVID-19에 감염돼 사망한 호주 시민이 54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 : Pixabay / JESHOOTS-com

 

27개 국가에서 사망자 발생... 약 4만 명의 해외체류자, 귀국 대기 중

 

지난해 초 바이러스 대유행이 선포된 이후 해외에 체류 중이던 호주인 가운데 54명이 COVID-19에 감염돼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8월 6일(목) 호주 공영 ABC 방송 보도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로 상당한 타격을 입은 국가들을 포함해 전 세계 모든 대륙에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호주 시민 사망자가 발생했다.

호주 법 학회(Australian Academy of Law) 회원이자 캔버라대학교(University of Canberra) 시민법 전문가 킴 루벤스타인(Kim Rubenstein) 교수는 이 같은 수치에 대해 “정부가 해외 거주 호주 시민들을 귀국시키기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에서 COVID-19 감염으로 사망한 이 수치는 ABC 방송 시사 프로그램 ‘7.30’가 정보자유법에 따라 연방 외교부(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DFAT)를 통해 입수한 자료를 통해 알려진 것으로, 이 수치는 지난 5월 중순까지의 집계이다.

방송이 확보한 자료에는 사망자 가운데 3명은 귀국을 원했지만 끝내 돌아오지 못한 채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돼 목숨을 잃은 것으로 되어 있다.

COVID-19 감염으로 인한 호주 시민 사망은 인도네시아, 인도, 레바논, 네달란드, 프랑스, 영국, 미국, 페루 등 27개 국에서 발생했다.

멜번(Melbourne) 기반의 의학연구기관 ‘버넷연구소’(Burnet Institute)의 전염병 학자 마이크 툴(Mike Toole) 교수는 “영국과 미국의 경우, 가장 많은 호주인이 체류하기에 사망자 국가 목록에 포함된 것 같다”며 “이외 호주 시민 사망자 발생 국가는 코로나 바이러스 발병률이 아주 높았던 곳이었다”고 말했다.

바이러스 대유행이 선포된 이후 국경을 폐쇄한 호주는 해외에서 돌아오는 이들을 대상으로 엄격한 검역을 시행했으며 호텔 등에 2주간 격리하는 조치를 시행했으나 시설 부족으로 현재까지 매주 3천여 명으로 제한하고 있다.

툴 교수는 해외에 있는 호주 시민을 귀국시키기 위해서는 특수 목적의 검역시설이 더 많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사실 귀국하는 이들에 의해 바이러스가 호주내 각 지역사회에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호텔 검역 수용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종합(해외호주인 2).jpg

멜번(Melbourne) 기반의 의학연구기관 ‘버넷연구소’(Burnet Institute)의 전염병 학자 마이크 툴(Mike Toole) 교수는 해외에 거주하다 돌아오는 호주 시민 대상의 검역 시설을 늘려 매주 3천 명으로 한정되어 있는 귀국자 수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은 ABC 방송 ‘7.30’ 프로그램에서 화상으로 인터뷰를 하고 있는 마이크 툴 교수. 사진 : ABC방송 화면 캡쳐

 

그는 ABC 방송의 ‘7.30’ 프로그램에서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평균 9일에 한 번씩 호텔 검역소에서 바이러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며 “현재 시행하는 호텔 검역 시스템을 수정하려면 환기, 마스크 착용, 일선 직원에 대한 적절한 감독과 교육이 되어 있는지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개선사항만 적용된다 해도 호텔검역 시설에 10명이 있든 50명이 있든 이곳에서 바이러스가 누출되는 위험은 훨씬 낮아질 것”이라는 툴 교수는 “바로 이런 개선을 통해 해외 체류 중인 호주 시민 귀국자를 늘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DFAT, “취약 지역의

호주 시민 귀국 우선...”

 

전염병 사태가 발생한 지 1년 반이 넘는 현재, 아직도 귀국하지 못한 해외체류 호주 시민은 약 4만 명이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 DFAT 대변인은 ‘7.30’에 보내온 성명에서 “외교부의 최우선 과제는 해외에 체류 중인 취약한 상황의 호주 시민을 돕는 것”이라 밝혔다. 이어 대변인은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정부는 158편의 항공기를 운용하여 해외에 체류 중이던 2만3,800명의 시민이 귀국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ABC 방송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이후 해외체류자로 DFAT에 신고되어 있는 약 10만 명의 시민을 포함해 65만 명 이상의 시민이 귀국했다. 다만 이 자료에는 사망한 54명의 시민 가운데 장기 거주자가 몇 명인지는 언급되어 있지 않았다.

 

■ COVID-19 감염으로

호주 시민이 사망한 국가

Cameroon

Chile

Croatia

Dominican Republic

Egypt

El Salvador

France

Greece

Iceland

India

Indonesia

Jordan

Kenya

Lebanon

Malta

Mexico

Netherlands

Papua New Guinea

Peru

Philippines

Serbia

Thailand

Turkey

United Arab Emirates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of America

Zimbabwe

-27개 국가 54명.

-2021년 5월 19일 기준, DFAT에 보고된 해외체류 중 COVID-19 감염으로 인한 호주인 사망자.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해외호주인 1).jpg (File Size:73.9KB/Download:8)
  2. 종합(해외호주인 2).jpg (File Size:47.4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57 호주 최선의 학습 비결은 교사의 피드백 톱뉴스 17.07.15.
3956 호주 겨울 중반 시즌, 시드니 경매 시장 ‘위축’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3955 호주 MHAHS, ‘B형 간염 테스트’ 새 캠페인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3954 호주 시드니, 공유 자전거 시대... ‘레디고’ 사업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3953 호주 턴불 정부, 호주 국내 테러 상황에 군 특수부대 투입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3952 호주 미 경찰 또 총기 발사... 호주 여성, 현장에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3951 호주 “호주 주택시장, 가격 상승 더디지만 하락은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3950 호주 페이스북-구글 등 대상으로 ‘대테러 협조 강제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3949 호주 ‘센서스 2016’ 분석- If Sydney was a city of 100 homes...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3948 호주 Don't break down here! 내륙 오지의 황량한 도로들(1)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3947 호주 ‘여성 기업인 성장 역량’서 호주 도시들, ‘상위권’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3946 호주 ‘베이붐 세대’ 은퇴자들, 시드니 지역 비즈니스 판도 바꾼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3945 호주 호주 노부부 안타까운 죽음…경찰 "페북 끄고 이웃에 관심을" 톱뉴스 17.07.23.
3944 호주 신고자 겨눈 미 경찰의 마구잡이 총격에 호주 여성 횡사 톱뉴스 17.07.23.
3943 호주 호주 내각에 신설되는 ‘막강’…안보 첩보 부처 총괄 톱뉴스 17.07.23.
3942 호주 <NSW 노조연합> “해외 근로자 임금착취 관례화” 톱뉴스 17.07.23.
3941 호주 주택 절도, 최선의 예방법은? 톱뉴스 17.07.23.
3940 호주 호주 주택 시가 총액 6조 달러…증권 거래소 및 퇴직연금 적립액 2배 톱뉴스 17.07.23.
3939 호주 호주 관광 내수 ‘초호황’ 숙박 및 관광 수익 ‘역대급’ 기록 톱뉴스 17.07.23.
3938 호주 ‘파라마타 라이트 레일’ 구간 변경되나 톱뉴스 17.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