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록다운 전망 1).jpg

연방정부의 COVID-19 극복 4단계 전략을 뒷받침하는 모델링을 연구한 ‘도허티연구소’(The Peter Doherty Institute for Infection and Immunity)의 면역학자가 현 NSW 주의 델타 변이 감염자 발생에 대해 “조만간 나아질 것”으로 진단했다. 사진은 봉쇄 조치로 인해 폐쇄된 뉴잉턴(Newington) 소재 ‘Blaxland Riverside Park’의 어린이 놀이 공간.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도허티연구소’ 연구원, ‘높은 백신접종률-지역사회 감염 사례 감소’ 필수

 

“록다운이 해제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낮은 감염 사례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COVID-19 극복을 목표로 한 연방정부의 4단계 전략을 위해 모델링 작업을 진행했던 ‘도허티연구소’(The Peter Doherty Institute for Infection and Immunity)의 한 전문가는 현재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NSW 주의 바이러스 환자 수가 감소해야 이 4단계 전략에 명시된 높은 백신접종률을 실현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도허티연구소’ 연구원이자 멜번대학교(University of Melbourne) 전염병학자인 제임스 맥코(ames McCaw) 교수는 “호주 인구의 70%, 80%가 COVID-19 예방접종을 받는다는 목표를 정리한 이 전략을 추진하려면 여러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면서 “그 로드맵은 현재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를 관리할 수 있을 때, 우리가 모든 것을 개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중심으로 구축됐다”고 말했다.

이어 맥코 교수는 “봉쇄 조치를 취하지 않고서도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높은 백신접종률이 필요하고, 지역사회에서의 감염 사례가 많지 않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NSW-Victoria 주,

감염 사례 반응 대조적

 

광역시드니 및 인근 지방정부 구역에 대한 봉쇄 조치 시행 후 8주가 지난 가운데서도 하루 감염자가 수백 명에 이르며 빅토리아 주 또한 여섯 번째 록다운을 시행했으나 수명 대의 감염자는 다시 수십 명 대로로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NSW 주와 빅토리아 주 총리는 제각각 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증가한 감염자 발생에 대해 두 주 총리 모두 도허티연구소의 모델링을 언급하면서도 베리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NSW 주 총리는 “현재 NSW 주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와 함께 사는 길을 배우고 있다”고 말했다.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는 “우리가 겪고 있는 상황이 힘겨운 것은 인정하지만 호주의 모든 주(State)가 일정 수준의 접종률을 보이고 개방을 하면 델타 변이도 심하게 확산되지 않을 것임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며 “우리는 이 변이 바이러스가 호주 전역에서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종합(록다운 전망 2).jpg

멜번대학교(University of Melbourne) 면역학자이자 도허티연구소 연구원인 제임스 맥코(James McCaw. 사진) 교수. 사진 : 멜번대학교

 

이어 주 총리는 도허티연구소의 보고서를 인용, “2회 백신접종률이 80%에 달하면 모든 이들이 델타 변이와 함께 살아가는 길을 배워야 할 것”이라며 “지금 NSW 주는 다른 이들보다 먼저 이를 배우고 있다”고 말했다.

베리지클리안 주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달리 보면 지난 6월 말 감염자가 발생하면서 보다 빠르게 대처하지 못한 채 시드니 전역으로 확산된, 2차 파동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처럼 들리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반해 다니엘 앤드류스(Daniel Andrews) 빅토리아 주 총리는 록다운과 규제를 완화하는 유일한 길은 ‘감염자 발생을 억제하고 백신접종을 받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앤드류스 주 총리는 “빅토리아 주의 감염자 발생이 다시 ‘제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며 “도허티연구소의 (연방정부 전략을 뒷받침하는) 모델은 아주 적은 수의 사례를 전제로 한다”고 말했다.

 

감염자 늘면 추적 효과 줄어

 

맥코 교수는 감염자 수치가 낮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 “감염검사, 추적, 격리, 검역은 환자 발생이 적을 때 효과가 높지만 감염자가 늘어나면 그렇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빅토리아 주 앤드류스 주 총리의 발언에 대해서도 “맞는 설명이지만 그렇다고 감염자가 0명일 필요는 없다”면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높은 백신접종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기 전에 NSW와 빅토리아 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행병 증가와 이의 부담을 줄여야 하며, 그것이 봉쇄조치는 물론 관련 규정을 완화하게 해 준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맥코 교수는 NSW 주의 현 감염 상황에 대해 이전 몇 달 동안 더 잘 관리될 수도 있었을 것이지만 더 나쁜 상황이 될 수도 있었다며 보건당국의 대처는 잘 진행돼 왔다고 평가했다. 또한 NSW 주가 현재 COVID-19 예방접종을 확대하고 있음을 언급하면서 앞으로 몇 주, 몇 달 내 바이러스 확산을 차단하거나 감염 속도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진단했다.

그는 “조만간 NSW의 감염자 발생은 정점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고 점차 감소할 것으로 본다”며 “그렇다면 우리가 가진 로드맵(정부의 4단계 전략)과 일치하는 수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맥코 교수는 연방정부의 COVID-19 극복을 위한 각 단계 로드맵에 대해 “늘 지역의 감염에 대응해야 하고 각 주 및 테러토리의 정책 설정을 감안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각 주와 테러토리 상황을 ‘복잡한 생태계’(a complicated ecosystem)로 묘사한 맥코 교수는 “이는 우리 사회가 관리해야 할 엄청난 도전이지만 어떻게 대응하고 계획을 마련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은 많다”고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록다운 전망 1).jpg (File Size:91.2KB/Download:36)
  2. 종합(록다운 전망 2).jpg (File Size:51.0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57 호주 NSW State Election... 무소속 후보 ‘약진’ 속, 양대 정당 힘겨운 접전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6 호주 여성 작가 대상의 ‘스텔라 문학상’, 호주인의 독서 습관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5 호주 Housing affordability crisis... 임대 스트레스 벗어나려면 얼마를 벌어야 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4 호주 시간당 10달러? 광역시드니의 노상주차 비용이 가장 비싼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3 호주 “물가지수 정점 불구하고 내년 말까지는 실질임금 혜택 얻지 못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2 호주 QLD의 Bundaberg-Fraser Coast, 지난해 ‘new kids on the block’으로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1 호주 주택담보대출 상환금 증가율, 임금상승 크게 앞서... 가계 재정 압박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0 호주 ‘tree-sea change’ 바람으로 호황 누렸던 지방 지역 주택가격, 큰 폭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49 호주 Bankstown Arts Centre, 차세대 아티스트 육성 프로그램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48 호주 2022년 연방 선거 이어 2023 NSW 주 선거에서도 ‘Teals’ 바람, 이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7 호주 Cost-of-living crisis... 10대 청소년들을 취업 전선으로 내몬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6 호주 NSW 주 선거... 유권자들의 ‘표심’을 지배하는 한 가지는 ‘생활비 부담’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5 호주 2022년 호주 사망 인구, 예상보다 거의 2만 명 늘어... 절반이 COVID 원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4 호주 long COVID 증상, 지속적 보고... 백신 접종한 이들에게도 흔하게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3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임금, 남성 동료에 비해 연간 약 13,200달러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2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3.6%로 11년 만에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1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매물 공급 감소-경매 낙찰률 상승으로 가격 하락 ‘주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0 호주 예술을 통한 고통의 치유... 행동주의 작가가 선보이는 ‘Devotion’ 메시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39 호주 3월 넷째 주말의 NSW 주 선거... “추측도 없고 기대감도 커지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4738 호주 Sydneysiders, 은퇴 연령 on th up... 1970년대 이후 가장 오래 일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