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싱가포르 사례).jpg

NSW 주의 감염자 발생이 높은 수치를 이어가자 당국은 COVID-19 예방접종률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전 국민 접종 비율 80%를 넘어선 싱가포르는 현재의 제한 규정을 더욱 완화한다는 방침이어서 눈길을 끈다. 사진은 80% 접종률 달성을 알리는 싱가포르 보건부 옹 예 쿵 장관. 사진 : Facebook / Ong Ye Kung

 

전 국민 접종 비율 80% 넘어선 싱가포르, ‘제한 완화’ 발표할 듯

 

NSW 주의 바이러스 감염자 수치가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보건 당국은 COVID-19 예방접종 비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보다 엄격한 제한 규정을 내놓고 있지만 장기간의 봉쇄로 인한 경제적 타격을 감안할 때, 현 상황을 헤쳐나가는 가장 빠른 방안으로 폭넓은 예방접종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지난 26일(목) NSW 주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총리는 두 차례의 예방접종을 마친 이들에게 보다 많은 자유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한 ‘COVID-19 디지털 증명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전에도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는 “현재 NSW 주는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길로 가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 ‘공존’은 당국이 목표로 하는 접종 비율을 넘어서여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렇다면 다른 국가의 사례는 어떨까.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에서 COVID-19 예방접종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싱가포르이다.

지난 29일(일) 싱가포르 옹 예 쿵(Ong Ye Kung) 보건부 장관은 자신의 페이스북(Facebook)을 통해 싱가포르 인구 570만 명 중 80%가 COVID-19 예방접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인구의 80%가 2회의 완전한 요법을 받은 또 다른 이정표를 만들었다”며 “이는 싱가포르가 COVID-19에 대한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한 걸음 더 나아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호주와 마찬가지로 방역의 핵심을 ‘감염자 제로’(zero transmission) 모델에 맞추었던 싱가포르는 ‘COVID-19와 함께 살아가기’를 포함하는 출구 전략을 계획해 왔다. 그동안 싱가포르는 화이자(Pfizer)와 모더나(Moderna) 백신에 의존했다.

지난 7월 싱가포르 보건부는 교외 지역의 60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모바일 예방접종 캠페인을 발표했다.

옹 장관에 따르면 자택이 머물러 있는 4천300명 이상이 보건부의 ‘가정 백신접종팀’에게 예방접종을 받았다. “캠페인 전개 후 매일 700건 이상의 가정방문 접종 요청을 받았다”는 게 그의 말이다.

옹 장관은 “접종 요청 수요에 대응하고자 보건부는 200명 이상의 자원봉사 의사 및 간호가, 싱가포르 국군의 도움으로 11개의 ‘가정 백신접종팀’을 33개로 늘릴 수 있었다”면서 “그 결과 접종 대기시간을 8주에서 4주로 절반이나 줄였다”고 덧붙였다.

옹 장관은 이어 “가정 백신접종은 9월 말까지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80% 접종률을 넘어섬에 따라 감염 차단을 위한 제한을 더욱 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싱가포르 당국의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싱가포르에서는 총 6만7,300건 이상의 감염 사례가 발생했으며 지난 8월 29일까지 사망자는 55명이었다. 아울러 이날 하루 감염 확진 사례는 133건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싱가포르 사례).jpg (File Size:46.7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97 호주 ‘인지세 혜택 확대’, 시드니 부동산 시장 반영은 ‘아직’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3996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3995 호주 NSW 대법원장, “명예훼손 보상금 너무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3994 호주 ‘NAPLAN’ 학력평가 출제기관, 사기업에 이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3993 호주 메디케어 개인정보 유출, 불법 사이트서 거래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3992 호주 “광역시드니서 65만 달러 미만 주택 구입은 가능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3991 호주 ‘명문학군 쏠림’에 NSW 지역간 빈부격차도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3990 호주 여행지 비용... 전 세계 가장 저렴한 비치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3989 호주 ‘Best cities to visit in 2017’... 시드니, 두 번째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3988 호주 노동조합, 계약직 고용자의 ‘정규직 전환’ 법안 요청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3987 호주 호주인 가계자산, 최고 수준... ‘잘못된 부의 분배’ 경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3986 호주 턴불 총리 “호주, 미사일 방어 체계 구축할 것”…사드는 “부적합” 톱뉴스 17.07.10.
3985 호주 G20 정상회의 공동성명, 북한 관련 내용 배제 톱뉴스 17.07.10.
3984 호주 호주 유아용 조제분유서 유해물질 검출 톱뉴스 17.07.10.
3983 호주 조이스 연방부총리 “대북 군사 대응도 검토해야” 톱뉴스 17.07.10.
3982 호주 자유당 상원의원, 당론 무시 ‘동성결혼 허용개별 법안’ 상정 움직임 톱뉴스 17.07.10.
3981 호주 겨울 밤, 시드니오페라하우스에서 즐겨요! 톱뉴스 17.07.10.
3980 호주 심상치 않은 턴불 총리 지지율…당, 총리 선호도 동반 하락 톱뉴스 17.07.11.
3979 호주 5주 만에 낙찰률 70%대 회복, 구매자 활동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3978 호주 XXXX(4 엑스) 맥주회사, 노조 임금 협상 난항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