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제한 완화 1).jpg

광역시드니에 대한 봉쇄 조치가 시행된 이후 감염자가 다수 발생했던 지방정부 구역에 취해졌던 보다 엄격한 제한 규정이 완화돼 광역시드니 전체 지역과 동일한 제한이 적용된다. 사진은 이를 설명하는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스트라스필드 등 12개 LGA의 추가 제한 완화… 동일한 봉쇄 규정 적용

 

광역시드니 각 지역 가운데 ‘델타’ 변이바이러스 감염자가 더 많이 발생했던 12개 지방정부 구역(Local Government Area)에 대한 보다 엄격한 제한 규정이 지난 20일(월)부터 완화됐다.

이 같은 결정에 대해 NSW 주 베레지클라인(Gladys Berejiklian) 주 총리는 “시드니의 COVID-19 핫스폿에 대해 더 강한 제한 조치를 취한 것은 ’최악의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드니 남서부 및 서부의 12개 지방정부 구역(LGA)는 광역시드니와 동일한 봉쇄 규정을 적용받는다. 이들 LGA는 Penrith, Blacktown, Fairfield, Liverpool, Campbelltown, Cumberland, Parramatta, Canterbury Bankstown, Georges River, Strathfield, Burwood, Bayside 카운슬 지역이다.

지난 6월 말 광역시드니에 대한 봉쇄 조치를 발령한 후 이를 연장하면서 NSW 주 정부는 애초 4개 LGA를 ‘감염우려 지역’으로 선포해 추가 제한을 발표했으며 이후 스트라스필드, 버우드 등을 포함했고, 야간 통행금지 등 더 엄격한 제한 규정을 적용한 바 있다.

12개 LGA에 대한 제한 완화로 이들 지역 거주자들은 이날(20일)부터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COVID-19 예방접종을 완료한 성인의 경우 최대 5명까지 야외 활동 및 모임이 가능하게 됐다.

다만 해당 지역 근로자의 경우 업무 승인을 받아야 하는 조건 및 여행허용 규정은 12개 LGA에서 그대로 시행된다.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는 20일(월) 미디어 발표에서 12개 LGA를 대상으로 결정한 보다 엄격한 제한 결정을 옹호하면서 “해당 지역 거주민들에게 부담을 주고 싶지 않았지만 주 정부의 방역 접근방식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들 지역의 제한을 완화한 것에 대해 “높은 백신접종 비율 때문”이라고 강조하면서 “이들 커뮤니티 중 일부에서 낮았던 접종률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것을 보고 있으며, 이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주 총리는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한 보다 엄격한 제한 규정이 수천 건의 발병 사례와 많은 이들의 사망을 예방했다”고 주장했다.

켄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의 칼 아스퍼(Khal Asfour) 시장은 주 정부의 결정에 환영의 뜻을 표한 뒤 “우리 커뮤니티는 시드니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공정하고 평등하게 대우받기를 원했고, 주 총리의 뜻이 우리와 같이 한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종합(제한 완화 2).jpg

특정 지방정부 구역에 대한 엄격한 제한 규정에 반대해 왔던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의 칼 아스퍼(Khal Asfour. 사진) 시장. 아스퍼 시장은 이번 NSW 주 정부 결정을 환영하면서도 보건 위기에 대한 방역 조치는 모든 지역이 동일하게 적용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 : Canterbury Bankstown Chamber of Commerce

 

아스퍼 시장은 이어 “광역시드니 내에서 봉쇄 규정이 서로 달라서는 안 되며, 이 방역을 위한 이 조치는 언제나 보건 위기에 관한 것, 모두가 함께 적용받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정부는 지난 18일(토), 12개 LGA에 대한 제한 완화를 결정하기에 앞서 해당 지방정부와 뜨거운 논쟁을 가진 바 있다. 특히 12개 LGA 가운데 감염 사례 발생이 매우 적었던 버우드 카운슬의 존 페이커(John Faker) 시장은 “당황스럽고 차별을 받았다”는 말로 강한 불만을 드러내면서 “우리 커뮤니티는 공정하게 대우받기를 원하고 다른 지역 거주민들과 같은 활동이 허용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사실 12개 LGA의 공공 수영장 등이 완전히 문을 닫아야 했던 상황에서 시드니 동부 지역 거주민들이 해변에 가는 것을 지켜봐야 했던 일부 지방정부 관계자들은 분노를 느꼈음을 토로하기도 했다.

한편 NSW 주의 모든 공공수영장은 각 시 의회가 NSW 보건 당국(NSW Health)에서 요구하는 COVID-19 안전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 이달 마지막 주 월요일(27일)부터 다시 개장할 수 있다.

 

■ 12개 LGA 제한 완화 내용

-야외에서의 운동 및 여가시간 제한 없음(기존 2시간 이내)

-COVID-19 예방접종을 완료한 경우(12세 미만 어린이 제외) 야외 모임은 5명까지, 해당 LGA 내 또는 집에서 5km 이내에서 허용(이전까지 백신접종을 완료한 가족 구성원만 야외 모임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른 가정에서의 모임은 접종을 완료한 2명까지만 허용)

-쇼핑, 운동 및 야외 레크리에이션은 집에서 5km 이내 해당 LGA 내에서 가능(이전에는 집에서 5km 이내에서만 허용)

-광역시드니 어느 지역이든 소규모 결혼식(최대 11명 이내) 하객으로 참석 가능(이전에는 해당 LGA에서만 허용)

-싱글 거주자 방문(도움 등의 목적)의 경우 광역시드니 어느 지역이든 가능(이전에는 개인 자택에서 5km 이내에서만 허용)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제한 완화 1).jpg (File Size:64.3KB/Download:18)
  2. 종합(제한 완화 2).jpg (File Size:53.5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17 호주 겨울 시즌 경매 낙찰률, 2주 연속 70% 이하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4016 호주 크라운 그룹 ‘워터폴 아파트’, 하루 만에 최다 판매액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4015 호주 온라인 쇼핑 강세 속 오프라인 소매업 전략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4014 호주 결혼 전 최적의 연애 횟수도 컴퓨터로 계산할 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4013 호주 유니세프, “호주 교육 수준 맨 뒤에서 세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4012 호주 비시민권자 자녀, 10세 되어도 시민권 자동 부여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4011 호주 호주 내 불법 체류자 6만4,600명, 한국인도 2천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4010 호주 중국계 교육-정치계 개입, 고위 정치인으로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4009 호주 Six of the best luxury South Australian stays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4008 호주 NSW budget 2017-18; ‘Winners and Losers’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4007 호주 NSW budget 2017-18; 첫 주택구입자 세계혜택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4006 호주 시드니 경매, 69.5% 집계... 3주 연속 낙찰률 70% 밑돌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4005 호주 호주 언론, “이민자 증가를 비난해서는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4004 호주 2억5천만 달러 투입, ‘피시마켓’ 새 계획안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4003 호주 세계 최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가치, 56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4002 호주 Why do Americans and Brits drive on different sides of the road?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4001 호주 아마추어 사진가가 기록한 호주의 옛 철길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4000 호주 Census 2016- 퇴색되어가는 ‘Great Australian Dream’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3999 호주 Census 2016- 시드니 지역별 라이프스타일 차이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3998 호주 Census 2016- 고령화 가속, 민족적 다양성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