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지방 이벤트 1).jpg

NSW 주 정부의 코로나 바이러스 제한 규정 완화 계획에 따라 ‘호주 부시맨 캠프 드래프트-로데오 협회’(Australian Bushmen's, Campdraft and Rodeo Association. ACBRA)는 백신접종률이 높은 NSW 주에서 올해 남은 기간, 캠프 드래프트 및 로데오 경기를 진행할 계획을 밝혔다. 사진 : ABC 방송 화면 캡쳐

 

‘제한 완화’ 로드맵 따라… ACBRA 계획에 각 지역 클럽, 대회 준비

 

NSW 주 정부가 현재의 공공보건 명령 완화를 위한 3단계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이 일정에 따라 NSW 지방 지역의 최대 이벤트 중 하나인 ‘캠프 드래프트 및 로데오’ 경기가 11월부터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들어 거의 대회가 개최되지 못했지만 주 정부의 제한 완화 계획에 따라 ‘호주 부시맨 캠프 드래프트-로데오 협회’(Australian Bushmen's, Campdraft and Rodeo Association. ACBRA)는 COVID-19 예방접종 비율이 80%에 도달하는 11월(예상)부터 각 지역별로 대회 개최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내륙의 목장 지대에서 펼쳐지는 ‘캠프 그래프트’(Campdraft)는 말을 타고 여러 마리의 가축을 몰아 가축 우리에 들어가도록 하는 것을 뜻하며 ‘로데오’(Rodeo) 경기는 소나 말 등에 타고 오래 버티는 시합으로 호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애호가들이 즐기는 이벤트이다.

ABCRA의 크레이그 영(Craig Young) 회장은 “COVID-19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아직 많은 조치가 필요하지만 대회 관계자들이나 각 지역 클럽들에게는 좋은 소식이 될 것”이라며 “우리는 정부의 방역 방침을 따르며, 대회 재개 계획 중 일부는 아직 불투명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영 회장은 “대략적으로 10월 말에 시작, 11월과 12월 연이어 이벤트를 진행하는 것으로 각 지역 대회 위원회와 연락을 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BCRA은 매년 호주 전역에서 500개 이상의 캠프 드래프트 및 로데오 경기를 진행하고 있다.

 

종합(지방 이벤트 2).jpg

사진은 NSW의 대표적 양 목장지대인 central-western plains의 쿠남불(Coonamble)에서 펼쳐지는 '쿠남불 로데오'의 한 장면. 사진 : NSW 주 관광청(Visit NSW)

   

선수들 경기 포인트,

내년 7월까지 연장

 

ABCRA은 올해 각 지역 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이 얻은 포인트를 내년 7월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이 점수는 전국대회 출전을 보장하는 것으로, 바이러스 상황으로 인해 대회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기에 내년도 전국대회 결승 진출 여부에 감안하겠다는 것이다.

영 회장은 “지금부터 내년 7월 31일까지 전국 결승대회와 연말 챔피언십 어워드를 위해 최소 12개월의 포인트 자격 기간이 보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지방 지역,

캠프 드래프트 대회 준비

 

ABCRA의 이 같은 방침에 따라 NSW 주 북서부 내륙, 뉴잉글랜드 지역(New England region)의 ‘바라바 포니 클럽’(the Barraba Pony Club)은 지역 대회 개최를 준비하고 있다.

동 클럽은 먼저 오는 11월 6일과 7일(토-일요일) ‘봄 시즌 기금마련 드래프트 대회’를 연다는 계획이다. 이 클럽의 재러드 하나포드(Jarrod Hannaford) 회장은 “우리 지역사회 전체는 물론 기수들이 바라던 것이었다”며 “올해 그 어떤 이벤트도 마련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청소년 기수들이 조랑말 안장에 다시 앉을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지방 이벤트 1).jpg (File Size:88.9KB/Download:20)
  2. 종합(지방 이벤트 2).jpg (File Size:106.7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57 호주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 자녀 출산 제한해야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6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주택 가격만 치솟은 게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5 호주 호주 ‘기부천사’, 암 연구 등에 4억 달러 또 쾌척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4 호주 “호주 중앙은행, 올해 기준금리 추가 인하 단행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3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PM 수치 기준, 대기오염과 거리가 먼 도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2 호주 특정 기업 겨냥한 온라인 사기 기승, 해킹보다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1 호주 호주 기후변화 영향 심각... 주요 명소 사라질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0 호주 5월 주택 경매 낙찰률 80% 미만, 올 들어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9 호주 호주 최대 직업학교 ‘Careers Australia’ 부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8 호주 타스마니아 하늘에 펼쳐진 총천연색 오로라 절경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7 호주 시드니 도심에 호주 최초 ‘캡슐 호텔’ 문 열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6 호주 불법 마약복용 운전자 적발, 지난 해 300%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5 호주 발리 마약사범 샤펠 코비, 13년 만에 호주 귀국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4 호주 마리화나 소지, 샤펠 코비 사건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3 호주 세계경제포럼, 호주 등 전 세계 ‘연금 폭탄’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2 호주 시드니 도심, 근사한 바(bar)에서 즐기는 ‘Vivid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1 호주 NSW 주 기업들, “5만4천개 일자리 기술인력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0 호주 ‘6월’ 주말경매 매물 주택, 올해 첫 주 789채 ‘등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4039 호주 “나이가 많다고? 나는 정직한 노동자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4038 호주 호주 청량음료, 높은 포도당 수치로 당뇨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