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이민법 수정안 1).jpg

연방정부가 이민 신청자의 ‘성격’을 이유로 비자를 거부하거나 취소할 수 있는 권한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사진은 지역구 유권자 모임에서의 호크(Alex Hawke) 이민부 장관. 사진 : Alex Hawke 의원 사무실에서 업로드 한 유투브 동영상 캡쳐

 

호주 이민 신청자의 ‘성격’ 이유로 이민비자 발급 거부 또는 취소 재량권 모색

2019년 상원에서 부결... 현재 정부의 비자취소 권한은 ‘12개월 이상 징역형’에만

 

연방정부가 이민 신청자의 ‘성격’을 이유로 비자를 거부하거나 취소할 수 있는 권한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지난 10월 19일(화) ABC 방송 보도에 따르면 중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이들에 대해 비자발급을 거부하거나 취소할 수 있는 이민 심사에서의 인성 또는 성격 검사인 ‘character test’를 강화하는 수정 법안이 곧 상원의회에 상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민심사를 강화하는 내용의 법안은 지난 2019년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정부에서 상원의회 통과를 시도했으나 노동당 소속 상원의원들의 지지를 얻지 못해 부결된 바 있다.

수정안은 폭력 또는 성폭행 범죄와 같이 최소 2년 이상의 징역에 처할 수 있는 ‘지정된 범죄’(designated offence)로 유죄 판결을 받은 비호주시민의 경우 형량에 관계 없이 정부 재량에 따라 비자 발급을 거부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정부가 비자를 취소 또는 거부할 수 있는 권한은 ‘12개월 이상 징역형을 선고받은 경우’에만 가능하다.

정부는 이번 수정 법안과 관련해 비자가 취소되어야 하는 이들이 유죄 탄원으로 징역형을 삭감받거나 의무적인 비자 취소 기준을 피하고자 형량을 감해준 판결 등의 조치로 호주에 합법적으로 체류할 수 있었다고 보고 있다.

연방 이민부 알렉스 호크(Alex Hawke) 장관은 “현행법은 지역사회에 위협이 되는 사람에게 호주에 합법적으로 머물 수 있도록 하는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호크 장관은 2년 전 상원에서 노동당 의원들의 반대를 의식, “앤서니 알바니스 대표(Anthony Albanese. 현 호주 노동당 당대표)는 지역사회 안전을 위해 이 새로운 법안을 지지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모든 호주인들에게 (노동당이) 왜 반대하는지를 설명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종합(이민법 수정안 2).jpg

이민 심사에서 인성 검사를 강화하는 내용의 정부 이민법 수정 법안 상정에 대해 야당 내각 이민부 담당 크리스티나 케닐리(Kristina Keneally) 의원은 일부 사람들이 의도치 않게 피해를 보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은 호주 미디어들과 인터뷰 중인 크리스티나 케닐리 의원.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현재 노동당은 정부가 제안한 이 수정 법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야당(노동당) 내각의 이민부를 담당하는 크리스티나 케닐리(Kristina Keneally) 의원은 예전에 낮은 수준의 범죄를 저질렀던 이들이 의도치 않게 이 법에 의해 추방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뉴질랜드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총리도 이 법을 적용해 NZ 시민이 호주에서 추방되는 것을 중단해 달라고 촉구한 바 있다. 케닐리 의원은 (만약 수정 법안이 상원에서 승인되더라도) 이전에 저지른 범죄까지 소급해 적용하는 내용을 법안에서 삭세하고 또 뉴질랜드 시민에 대한 추가 고려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런 한편 정부는 이 법안이 통과되면, 정부 결정(비자취소나 거부 등)에 항소하는 경우 정부가 쉽게 패소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이민부 장관 또는 장관 대리인은 ‘성격’ 또는 ‘인성’을 이유로 비자를 취소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지만 해당자는 이에 항소할 수 있다.

과거, 피터 더튼(Peter Dutton) 내무부 장관은 2살 때부터 호주에서 살았던 살인범 프레드릭 체큐티(Frederick Chetcuti)를 추방하려 했으나 이 결정은 법원에서 번복된 바 있다.

더튼 전 내무부 장관은 73세 몰타 남성의 비자를 취소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하지만 해당자가 이에 반발해 항소했고, 법원은 ‘당시 장관이 이 사건을 11분 이상 검토했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정부 결정을 번복시켰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이민법 수정안 1).jpg (File Size:42.3KB/Download:13)
  2. 종합(이민법 수정안 2).jpg (File Size:36.4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57 호주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 자녀 출산 제한해야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6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주택 가격만 치솟은 게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5 호주 호주 ‘기부천사’, 암 연구 등에 4억 달러 또 쾌척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4 호주 “호주 중앙은행, 올해 기준금리 추가 인하 단행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3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PM 수치 기준, 대기오염과 거리가 먼 도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2 호주 특정 기업 겨냥한 온라인 사기 기승, 해킹보다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1 호주 호주 기후변화 영향 심각... 주요 명소 사라질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4050 호주 5월 주택 경매 낙찰률 80% 미만, 올 들어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9 호주 호주 최대 직업학교 ‘Careers Australia’ 부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8 호주 타스마니아 하늘에 펼쳐진 총천연색 오로라 절경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7 호주 시드니 도심에 호주 최초 ‘캡슐 호텔’ 문 열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6 호주 불법 마약복용 운전자 적발, 지난 해 300%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5 호주 발리 마약사범 샤펠 코비, 13년 만에 호주 귀국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4 호주 마리화나 소지, 샤펠 코비 사건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3 호주 세계경제포럼, 호주 등 전 세계 ‘연금 폭탄’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2 호주 시드니 도심, 근사한 바(bar)에서 즐기는 ‘Vivid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1 호주 NSW 주 기업들, “5만4천개 일자리 기술인력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4040 호주 ‘6월’ 주말경매 매물 주택, 올해 첫 주 789채 ‘등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4039 호주 “나이가 많다고? 나는 정직한 노동자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4038 호주 호주 청량음료, 높은 포도당 수치로 당뇨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