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입국자 검역 1).jpg

오는 11월 1일부터 NSW 주로 입국하는 국제 여행자 또는 호주로 귀국하는 시민(영주비자 소지자 포함)들에 대한 검역 과정이 폐지된다. 사진은 주 정부의 이 계획을 발표하는 도미닉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주 총리.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비행 전 바이러스 검사에서 ‘음성’ 확인 전제... NSW 주로 입국시 격리 면제

광역시드니에서 지방 지역으로의 휴가 여행 허용은 11월 1일로 다시 연기돼

 

오는 11월 1일부터 NSW 주는 해외에서의 입국자를 대상으로 어떤 형태의 검역 절차도 적용하지 않는다. 지난 10월 15일(금) ABC 방송 보도에 따르면, 다만 이 조치는 항공기 탑승 전 COVID-19 여부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로써 예방접종을 완료하고 감염 검사에서도 음성임이 확인된 국제 여행자 또는 귀국하는 호주 시민(영주비자 소지자 포함)은 NSW로 입국하는 경우 현재 시행되는 2주간의 호텔 검역을 피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도미닉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NSW 주 총리는 “우리(NSW 주)는 11월 1일부터 시드니와 NSW 주를 전 세계에 개방할 것”이라며 “전 세계 사람들과 다시 만나게 될 때 모든 이들을 (코로나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연방정부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NSW 주의 이 같은 계획 발표는 제한 조치 완화 1단계 계획을 적용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염자가 줄어드는 가운데서 나온 것이다. 특히 심각한 상태의 환자 발생도 감소하고 있다. 주 정부가 ‘검역 폐지’를 발표하던 날, NSW 주 전역의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는 이들은 677명이며 이 가운데 145명이 중환자실에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NSW 주 보건부는 팬데믹 모델링을 통해 “10월은 COVID-19 감염자 입원 및 집중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 수에서 최악의 한 달이 될 것”으로 우려한 바 있다. 하지만 10월 1일 이후 이날(10월 15일)까지 NSW 전역의 병원에 입원한 COVID-19 감염 환자는 1,055명에서 677명으로 감소했다. 또한 중환자실 입원 환자도 이달 초 210명에서 145명으로 줄었다.

 

 종합(입국자 검역 2).jpg

광역시드니와 NSW 지방 지역간 휴가 여행은 11월 11일부터 허용되는 것으로 다시 변경됐다. 사진은 지난 10월 7일, NSW 주 정부의 지방 여행 허가 계획을 번복하는 폴 툴(Paul Toole) 부총리, 사진 : 7 News 방송 화면 캡쳐

   

하지만 NSW 주의 제한 규정 완화 1단계기 시작된 지난 10월 11일(월)을 ‘Freedom Day’로 표현했던 페로테트 주 총리는 “공공보건 명령 완화로 예상되는 감염자 급증 사례가 최대 2주 동안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제한이 완화되면서 다시 거리로 나오거나 각 업소에 모이는 이들 사이에서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이 2주 후에 실질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이다.

한편 최근 광역시드니와 NSW 주 지방 지역 여행을 허용한다고 했다가 다음 날 이를 번복했던 폴 툴(Paul Toole) 주 부총리는 오는 11월 1일부터 여행을 재개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0월 7일 툴 부총리는 지방 지역으로의 여행을 COVID-19 예방접종률 80% 도달시 허용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이 계획은 일부 지방지역의 낮은 백신접종 비율로 인해 바이러스 전파에 대한 강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지연됐다.

현재 NSW 주 지방 LGA(Local Government Area) 가운데는 2회 접종을 완료한 비율이 40% 대에 불과한 곳들이 있다. NSW 주의 대표적 휴양지 중 하나인 바이런 베이(Byron Bay) LGA는 백신접종 적합 인구의 약 47%만이 2회 접종을 받은 상태이며 헌터 지역(Hunter region)의 세스녹(Cessnock LGA), 클레어런스 밸리(Clarence Valley LGA) 또한 각각 59% 대 및 57%대의 낮은 접종 비율을 보이고 있다.

툴 부총리는 “지방 지역으로의 휴가 여행이나 가족 상봉을 계획했던 광역시드니(Blue Mountains, Wollongong, Shellharbour, Central Coast 포함) 거주민들로서는 이번 주 정부의 결정이 당혹스러울 것임을 이해한다”면서 “쉬운 결정은 아니지만 주 정부는 지역사회의 안전을 보장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툴 부총리는 “11월 1일은 더 이상 변경 없이 NSW 주 지방 지역으로의 여행이 시작되는 확고한 날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입국자 검역 1).jpg (File Size:47.9KB/Download:13)
  2. 종합(입국자 검역 2).jpg (File Size:67.0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37 호주 NSW 주 기업들, “5만4천개 일자리 기술인력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236 호주 시드니 도심, 근사한 바(bar)에서 즐기는 ‘Vivid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235 호주 세계경제포럼, 호주 등 전 세계 ‘연금 폭탄’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234 호주 마리화나 소지, 샤펠 코비 사건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233 호주 발리 마약사범 샤펠 코비, 13년 만에 호주 귀국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232 호주 불법 마약복용 운전자 적발, 지난 해 300%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231 호주 시드니 도심에 호주 최초 ‘캡슐 호텔’ 문 열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230 호주 타스마니아 하늘에 펼쳐진 총천연색 오로라 절경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229 호주 호주 최대 직업학교 ‘Careers Australia’ 부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228 호주 5월 주택 경매 낙찰률 80% 미만, 올 들어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227 호주 호주 기후변화 영향 심각... 주요 명소 사라질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226 호주 특정 기업 겨냥한 온라인 사기 기승, 해킹보다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225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PM 수치 기준, 대기오염과 거리가 먼 도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224 호주 “호주 중앙은행, 올해 기준금리 추가 인하 단행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223 호주 호주 ‘기부천사’, 암 연구 등에 4억 달러 또 쾌척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222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주택 가격만 치솟은 게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221 호주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 자녀 출산 제한해야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220 호주 World's biggest beer / wine drinkers...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219 호주 ‘다운사이저’ 수요 증가, 일부 지역 아파트 가격 강세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218 호주 NSW 주의 오랜 자동차 번호판, 아파트 한 채 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