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스쿨존 주택가격 1).jpg

팬데믹 이후 광역시드니 주택가격이 크게 치솟은 가운데 특히 각 학교 ‘스쿨존’(School Zone) 구역의 주택이 높은 가격 상승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올 7월까지 지난 12개월 사이 40% 이상 가격이 오른 크로눌라 하이스쿨(Cronulla High School) 인근의 한 주택가. 사진 : Highland Property Group

 

‘Domain School Zones Report’… 팬데믹 이후 최대 40% 이상 치솟아

 

전염병 사태 이후 광역시드니 부동산 시장이 강한 성장을 거듭하면서 각 학교 주변 ‘School Zone’으로 지정된 구역의 주택가격이 지난 12개월 사이 40% 이상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의 연례 조사인 최근의 ‘Domain School Zones Report’에 따르면 시드니 전역 70개 이상의 공립학교 주변 주택가격이 지난 7월까지 1년 사이 20% 이상 올랐으며 140개 학교 주변은 최소 10%가 상승했다.

시드니 북부 해안, 노던비치 지역(northern beaches region)의 바렌조이하이스쿨(Barrenjoey High School) 주변은 전년도와 비교해 45%, 금액으로는 무려 87만 달러가 올라 시드니 전역에서 가장 높은 가격 성장을 기록했다.

인근 뉴포트 공립초등학교(Newport Public School) 주변,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의 워이워이 공립초등학교(Woy Woy Public School) 인근 주택가격 또한 팬데믹 상황에서의 ‘sea change’(도심 가까운 곳에서 바다가 있는 지역으로 이주하는 움직임) 바람에 힘입어 최소 40% 이상 치솟았다.

뿐 아니라 시드니 남부(South) 크로눌라 하이스쿨(Cronulla High School), 이곳에서 멀지 않은 버라니어 베이 공립초등학교(Burraneer Bay Public School) 스쿨존의 주택들도 시드니 남부 각 서버브의 중간 주택가격과 비교해 10배 빠른 성장 속도를 보였다.

‘도메인’ 사의 조사 분석 책임 연구원인 니콜라 파월(Nicola Powell) 박사는 “전염병 사태가 시작된 이후 주택 구매자들은 도심 지역으로의 접근성에 앞서 독립형 단독주택, 그리고 보다 나은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졌다”면서 “이런 추세가 ‘스쿨존’ 구역의 주택가격에도 영향을 미쳐 각 지역 가격 성장에 비해 10% 높은 상승을 보였다”고 말했다.

파월 박사에 따르면 이번 조사 결과 주택가격 상승률은 각 스쿨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노던비치 지역의 발골라 헤이츠(Balgowlah Heights)에 있는 공립초등학교(Balgowlah Heights Public School) 주변 주택가격은 33%가 치솟은 반면 이웃에 자리한 맨리 웨스트 공립초등학교(Manly West Public School)의 주택가격은 약 8%가 하락했다.

전체적으로 광역시드니 각 스쿨존의 약 40%가 해당 지역(suburb) 가격 성장에 비해 높은 상승을 보였으며, 이 가운데 초등학교 ‘스쿨존’ 구역의 89%가, 하이스쿨은 95%의 스쿨존에서 가격 성장을 기록했다.

파월 박사는 높은 주택가격, 낮은 임금성장, 팬데믹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 등으로 일부 학부모들이 자녀를 사립학교에 입학시키려는 계획을 포기하고 공립학교에 보내면서 하이스쿨 ‘스쿨존’ 구역에서 폭넓게 주택가격 성장을 보인 것으로 추정했다.

시드니에서 중간 주택가격이 100만 달러 미만인 지역(suburb)에 있는 세븐힐스 하이스쿨(Seven Hills High School), 보슬리 파크 공립초등학교(Bossley Park Public School), 벨모어 보이 하이스쿨(Belmore Boys High School), 마운트 드루이트 공립초등학교(Mount Druitt Public School)의 스쿨존 주택도 20% 이상 올랐다.

노던비치 지역 기반의 부동산 회사 ‘McGrath Pittwater’의 제임스 바커(James Baker) 에이전트는 “집에서 학교까지 도보 또는 자전거로 등-하교 할 수 있는 거리의 주택들이 가족 구매자, 특히 어린 자녀가 있는 학부모들에게 훨씬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부동산(스쿨존 주택가격 2).jpg

노던비치 지역(northern beaches region)의 모스만 하이스쿨(Mosman High School) 주변 주택가격은 1년 사이 33.3%기 상승했다. 사진은 이 학교 인근의 한 매물 주택. 사진 : Ray White Lower North Shore

   

시드니 북부의 또 다른 부동산 회사 ‘OH Property Group’의 구매 에이전트 헨리 스티어(Henny Stier)씨는 “세인트 아이비스 하이스쿨(St Ives High School), 킬라라 하이스쿨(Killara High School), 모스만 하이스쿨(Mosman High School) 주변은 해당 서버브의 주택가격 상승에 힘입어 각 지역 평균보다 높은 28%~37%의 가격 상승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예비 구매자들의 주택 수요는 여전히 강한 편이다.

스티어 에이전트에 따르면 이 지역 거주민들은 자녀를 사립학교에 보내려는 경향이 강하지만 높은 학비를 감당하기보다는 공립학교에 보내면서 ‘내집 마련’을 이루려는 이들이 학교 주변의 높아진 가격을 기꺼이 감수하고 있다.

“일부 지역(suburb)의 주택 수요는 어떤 학교가 있는가에 따라 크게 좌우되기도 한다”는 그는 “학교가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지역별 주택가격도 큰 차이를 보인다”고 덧붙였다.

시드니 북부 지역뿐 아니라 이너웨스트(inner west)의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에서도 같은 추세가 보인다. 이 지역 ‘Belle Property Strathfield’의 노만 소(Norman So) 에이전트는 “같은 거리에 있지만 스쿨존 구역에 들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유사한 조건의 주택이 지난 몇 달 사이 20만 달러가량의 가격 차이가 나는 것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도메인’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스트라스필드 걸스 하이스쿨(Strathfield Girls High School), 인근의 홈부시 보이스 하이스쿨(Homebush Boys High School) 주변 주택가격은 지난 12개월 사이 해당 지역 평균보다 높은 18.7%의 상승을 기록했다.

 

■ 주택가격 상승 상위 20개 공립학교 ‘스쿨존’

(학교-괄호 안은 소재 지역 : 중간 가격 / 연간 성장률)

-Barrenjoey High School (Avalon Beach) : $2,802,500 / 45.00%

-Burraneer Bay Public School (Cronulla) : $2,100,000 / 44.80%

-Newport Public School (Newport) : $2,675,000 / 43.00%

-Woy Woy Public School (Woy Woy) : $870,000 / 41.50%

-Cronulla High School (Cronulla) : $2,030,000 / 40.00%

-Kogarah High School (Kogarah) : $1,300,000 / 38.40%

-Kincumber High School (Kincumber) : $1,175,000 / 38.20%

-Annandale Public School (Annandale) : $1,915,500 / 37.80%

-Kellyville Ridge Public School (Kellyville Ridge) : $1,377,500 / 37.80%

-Harbord Public School (Freshwater) : $3,050,000 / 37.60%

-St Ives High School : St Ives / $1,800,000 / 37.40%

-Kincumber Public School (Kincumber) : $912,500 / 36.90%

-Belmore North Public School (Belmore) : $1,350,000 / 35.30%

-Woolooware High School (Woolooware) : $1,610,000 / 34.20%

-Hurstville Grove Infants School (Penshurst) : $1,425,000 / 33.80%

-Casula Public School (Casula) : $845,000 / 33.60%

-Mosman High School (Mosman) : $4,000,000 / 33.30%

-Balgowlah Heights Public School (Balgowlah) : $3,225,000 / 33.00%

-Seven Hills High School (Seven Hills) : $942,500 / 31.40%

-Woodport Public School (Erina) : $836,500 / 30.70%

Source: Domain’s ‘2021 School Zones Report’. 지난 7월까지 1년 사이, 중간가격 기준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스쿨존 주택가격 1).jpg (File Size:109.5KB/Download:16)
  2. 부동산(스쿨존 주택가격 2).jpg (File Size:106.0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97 호주 ANZAC Day 2017- 원주민 호주 참전요사들의 사연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096 호주 이민자 유입 제한, 상당한 파장 불러올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095 호주 랜드윅 소재 ‘캘리포니아 방갈로’, 301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4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3 호주 노동당, ‘NSW 주 공립학교 시설 수리 예산 부족’ 비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2 호주 2016 센서스... 호주사회 다양성화, 더욱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1 호주 예전 방식의 학생 ‘숙제’ 형태에 새로운 변화 바람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0 호주 ‘아틀라시안’ 창업자, 7천만 달러로 저택 ‘일레인’ 구입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9 호주 호주인 임대료 부담 가중, 소득의 30-50%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8 호주 연방 정부 대학 지원 삭감... 학비 인상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7 호주 ‘모기지’ 규제 강화로 주택 가격 상승세 ‘주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6 호주 대학졸업 학위 없어도 ‘PwC’ 입사 가능해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5 호주 지구상에서 커피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4 호주 광역시드니 지역 간 소득수준 따라 건강불평등 격차 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3 호주 노스 라이드, 광역 시드니 최고 ‘혁신’ 수준 갖춰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2 호주 5월 첫주 경매 낙찰률,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81 호주 ‘크라운그룹’, 그린스퀘어 지역 ‘워터폴’ 론칭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80 호주 턴불, 해외 테러리스트 자녀 귀국시 ‘철저한 감시’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79 호주 노동당 정책 광고, ‘백인 호주인 고용 우선’?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78 호주 호주 여성 5명 중 1명, ‘Sexual selfie’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