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승인 백신).jpg

호주 정부가 공식 인정한 4개 백신 외 호주여행 등의 규정 충족을 위한 백신접종에서 인도와 중국의 제약회사가 제조한 백신 2종이 추가로 인정됐다. 사진은 TGA가 인정 백신으로 권고한 인도의 코백신(Covaxin). 사진 : European Phamaceutical Review

 

Covishield-Sinovac에 Covaxin 및 Sinopharm 사의 제품도, 호주 방문 문호 확대

 

정부가 해외에서는 사용되지만 호주에서는 승인하지 않은 또 다른 COVID-19 백신에 대해 호주 방문을 위한 해외여행자의 백신접종 규정에 포함하는 것으로 공식 승인했다. 이로써 호주 국경이 해제된 상황에서 해외여행자들의 호주 방문 문호가 더욱 확대됐다.

앞서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인 ‘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TGA)는 호주에서 사용하도록 승인한 COVID-19 백신(Pfizer, Moderna, AstraZeneca-Vaxevria로 명칭 변경, Johnson and Johnson) 외에 인도 코비쉴드(Covishield) 및 중국 시노백(Sinovac) 백신만을 여행 및 기타 규정 적용 목적으로 ‘인정’할 것을 권장했었다.

호주 국경이 해제되면서 정부는 TGA의 권고에 따라 이들 6개 백신 외에 여행 등의 목적을 위한 입국 규정에 인도 코백신(Covaxin) 사와 중국 시노팜(Sinopharm)이 제조한 백신을 추가했다.

TGA는 성명을 통해 이들 두 백신의 추가 인정에 대해 “코백신을 접종받은 12세 이상 여행자와 BBIBP-CorV(시노팜)을 투여받은 18~60세 여행자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성명은 “이전에 발표된 코로나백(Coronavac. 중국 Sinovac에서 제조) 및 코비쉴드(인도 AstraZeneca에서 제조) 외에 이들 두 국가의 다른 백신을 맞은 이들도 ‘백신접종 완료’로 인정되어 호주 입국이 가능해졌다”고 덧붙였다.

TGA의 이 같은 결정은 호주에서 접종이 승인된 백신 이외 다른 백신을 맞은 해외유학생을 호주로 복귀시키는 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TGA는 “이는 자국으로 돌아갔던 국제학생들의 복귀, 숙련 근로자들을 유치하고자 하는 노력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TGA는 러시아의 스푸트니크(Sputnik), 중국의 캔시노(CanSino) 백신에 대해서는 여행 등의 목적으로 입국하는 이들에게 백신접종 인정으로 권고할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해외 백신 ‘승인’과 관련해 TGA는 심각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보호, 백신접종을 받은 이들의 병원입원 비율에 대한 데이터 불충분 등을 이유로 중국 시노팜 사의 백신을 호주에서 여행 목적 등으로 승인해야 한다는 권고를 보류했었다.

아울러 인도의 경우 코비쉴드를 접종받은 이들이 대부분이지만 코백스 백신을 투여받은 이들 또한 수백 만 명에 이르는 점을 감안, 이에 대한 추가 정보를 원했던 상태였다.

TGA는 “최근 몇 주 사이 이들 백신이 바이러스로부터 보호 기능을 제공하고 다른 이들에게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거나 감염으로 위급 상태가 되는 것을 막아준다는 추가 정보를 얻었다”며 이 백신을 여행 목적 등으로 인정한 것을 권고한 설명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승인 백신).jpg (File Size:48.6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97 호주 ANZAC Day 2017- 원주민 호주 참전요사들의 사연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096 호주 이민자 유입 제한, 상당한 파장 불러올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095 호주 랜드윅 소재 ‘캘리포니아 방갈로’, 301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4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3 호주 노동당, ‘NSW 주 공립학교 시설 수리 예산 부족’ 비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2 호주 2016 센서스... 호주사회 다양성화, 더욱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1 호주 예전 방식의 학생 ‘숙제’ 형태에 새로운 변화 바람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0 호주 ‘아틀라시안’ 창업자, 7천만 달러로 저택 ‘일레인’ 구입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9 호주 호주인 임대료 부담 가중, 소득의 30-50%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8 호주 연방 정부 대학 지원 삭감... 학비 인상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7 호주 ‘모기지’ 규제 강화로 주택 가격 상승세 ‘주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6 호주 대학졸업 학위 없어도 ‘PwC’ 입사 가능해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5 호주 지구상에서 커피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4 호주 광역시드니 지역 간 소득수준 따라 건강불평등 격차 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3 호주 노스 라이드, 광역 시드니 최고 ‘혁신’ 수준 갖춰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2 호주 5월 첫주 경매 낙찰률,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81 호주 ‘크라운그룹’, 그린스퀘어 지역 ‘워터폴’ 론칭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80 호주 턴불, 해외 테러리스트 자녀 귀국시 ‘철저한 감시’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79 호주 노동당 정책 광고, ‘백인 호주인 고용 우선’?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78 호주 호주 여성 5명 중 1명, ‘Sexual selfie’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