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어린이 접종).jpg

5세에서 11세 이하 어린이 대상의 COVID-19 예방접종이 내년 1월 전에는 실시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ABC 방송 정치 프로그램 ‘Insiders’에서 이에 대한 사항을 밝히는 그렉 헌트(Greg Hunt) 연방 보건부 장관. 사진 : ABC 방송 화면 캡쳐

 

그렉 헌트 연방 보건부 장관 밝혀... 정부 백신자문 패널, “현재 검토 중”

 

5세에서 11세 사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COVID-19 예방접종 계획이 내년 1월 전까지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 의약품 규제 당국은 최근 화이자(Pfixer) 백신의 어린이 대상 접종을 승인했다. 이로써 12세 이상 어린이들에게 성인 접종의 3분의 1인 10마이크로그램 용량 접종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인 ‘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TGA)은 아직 어린이 대상 접종시의 건강 및 안전성 검토를 진행 중인 상태이다.

TGA의 검토가 끝나고 접종이 승인되면 연방정부에 백신 관련 자문을 제공하는 전문가 패널 'Australian Technical Advisory Group'(ATAGI)에서 접종을 시행하기 전 자체 평가 과정을 거친다.

지난 11월 14일, 공영 ABC 방송 정치 대담 프로그램에 출연한 그렉 헌트(Greg Hunt) 연방 복지부 장관은 11세 이하 어린이 백신접종에 대해 “내년 초에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화이자 측은 5세 이상 11세 이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자사 백신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90.7%의 예방 효과를 보였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헌트 장관은 “어린이 대상의 임상시험 대상은 2,268명으로, 이는 성인 대상의 COVID-19 백신 시험보다 훨씬 적은 참가자”라며 “현재 ATAGI가 미국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헌트 장관은 이어 “백신 임상시험 기준에서 볼 때 이는 단지 2천여 명에 불과한 아주 적은 규모의 시험”이라며 “어린이 접종이 승인된 미국 일반 인구 어린이의 접종 상황을 살펴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장관은 “호주 규제 당국이 어린이를 위한 백신접종을 승인하면 정부는 백신 출시를 확대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매년 접종’ 여부,

아직은 불투명...

 

한편 COVID-19 예방접종을 투여받은 지 6개월 이상 된 이들이 늘어나면서 연방정부는 지난 11월 8일(월)부터 추가접종(booster shots)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지난 5월 8일 이전에 백신을 접종받은 18세 이상 성인은 추가접종을 받을 수 있다.

이날 헌트 장관은 세 번째 접종에 대해 “정부 주도의 전국민 대상 프로그램은 아니다”고 말했다. “현 단계에서의 조언은, 첫 2회 접종으로 COVID-19 예방접종을 마친 것으로 간주한다”는 설명이다.

장관은 “(COVID-19 백신에 대한) 모든 것이 항상 검토 중이지만 현 단계에서 추가접종 관련 사항을 변경한 계획은 없으며, 정부는 계속해서 의학적 조언을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헌트 장관은 “세 번째 추가접종 또는 이를 넘어 더 접종이 필요한지 여부는 예방접종자와 감염 관련 사항을 주시하고 있다”며 “아직 이에 대한 조언은 나오지 않았지만 그렇게 된다 해도 필요한 백신은 충분히 확보한 상태”라는 점을 강조했다.

매년 접종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해 전염병 전문가들은 COVID-19가 세계적 전염병(pandemic)에서 풍토병(endemic)이 될 것이며, 독감예방 주사처럼 매년 한 차례씩 접종을 받아야 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호주 국경 개방 결정 후

면세품 숍도 운영 허가

 

한편 헌트 장관에 따르면 연방정부의 COVID-19 출구 전략의 또 다른 단계로 해외여행이 허용하면서 국제공항 면세품숍 운영도 허가했다. 이는 국경 개방 후 2주 만이다.

장관은 “호주의 높은 백신접종 비율이 이를 가능하게 했다”면서 “호주 재개방의 또 다른 단계”라고 표현했다.

연방정부 집계에 따르면 이날(14일) 현재 호주 16세 이상 적정 인구의 예방접종 비율은 거의 82%에 달한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어린이 접종).jpg (File Size:40.3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97 호주 ANZAC Day 2017- 원주민 호주 참전요사들의 사연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096 호주 이민자 유입 제한, 상당한 파장 불러올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095 호주 랜드윅 소재 ‘캘리포니아 방갈로’, 301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4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3 호주 노동당, ‘NSW 주 공립학교 시설 수리 예산 부족’ 비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2 호주 2016 센서스... 호주사회 다양성화, 더욱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1 호주 예전 방식의 학생 ‘숙제’ 형태에 새로운 변화 바람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0 호주 ‘아틀라시안’ 창업자, 7천만 달러로 저택 ‘일레인’ 구입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9 호주 호주인 임대료 부담 가중, 소득의 30-50%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8 호주 연방 정부 대학 지원 삭감... 학비 인상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7 호주 ‘모기지’ 규제 강화로 주택 가격 상승세 ‘주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6 호주 대학졸업 학위 없어도 ‘PwC’ 입사 가능해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5 호주 지구상에서 커피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4 호주 광역시드니 지역 간 소득수준 따라 건강불평등 격차 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3 호주 노스 라이드, 광역 시드니 최고 ‘혁신’ 수준 갖춰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2 호주 5월 첫주 경매 낙찰률,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81 호주 ‘크라운그룹’, 그린스퀘어 지역 ‘워터폴’ 론칭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80 호주 턴불, 해외 테러리스트 자녀 귀국시 ‘철저한 감시’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79 호주 노동당 정책 광고, ‘백인 호주인 고용 우선’?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78 호주 호주 여성 5명 중 1명, ‘Sexual selfie’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