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실업률).jpg

통계청(ABS)의 실업률 집계 결과 지난 달(10월) 호주 실업률이 6개월 만에 최고치(5.2%)로 치솟았다. 하지만 경제전문가들은 일시적인 상승이며 다음 달 이후에는 일자리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센터링크의 실업수당 신청을 위해 대기하는 사람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ABS 자료, 지난 달 일자리 4만6천 개 감소... 실업률 4.6%에서 5.2%로 상승

경제전문가들, "일시적 현상... 다음 달 이후 일자리 늘어나기 시작할 것" 전망

 

지난 달 광역시드니를 비롯해 각 지역에 취해졌던 코로나 바이러스 방역 차원의 봉쇄 조치가 상당 부분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호주 실업률은 6개월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이달 둘째 주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내놓은 정례 실업률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실업 수치는 9월 4.6%에서 지난 달 5.2%로 상승했다.

 

일자리 감소는 파트타임 5천900개, 풀타임 4만400개가 감소, 예상보다 좋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 참여율은 지난 6월 이후 계절 조정 기준 64.7%로 다소 증가했다.

 

아울러 노동시간은 전체적으로 주(week) 170만 시간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0.4% 줄어든 수치이다. 불완전 고용률도 9.2%에서 9.5%로 상승했다. 이는 12개월 이래 최고치이다.

 

ABS가 내놓은 이 같은 실업률 수치에 대해 커먼월스증권(Commsec)의 수석 경제학자인 라이언 펠스먼(Ryan Felsman) 연구원은 “호주 경제가 중요한 시점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그는 “기록적이라 할 만한 높은 기업 신뢰도, 소비심리 개선, 소비자 지출과 노동 수요에 대한 높은 수요에서 입증되는 것과 같이 경제 활동의 강한 회복이 이미 진행되고 있다”며 “해외에서 유입된 근로자 부족이 노동시장을 타이트하게 하고 있지만 호주 국경 해제는 실제로 노동자 공급을 늘리고 임금압력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호주국립은행(NAB)의 타파스 스트릭랜드(Tapas Strickland) 연구원 또한 희망적인 분석을 제시했다. “다음 달쯤이면 고용이 크게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는 그는 “NSW 주의 경우 약 2만2천 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졌다”면서 “지난 10월 11일 첫 단계 완화 조치가 시작된 점을 감안하면 그 이전에 이미 일부 일자리가 늘어나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ABS의 고용통계국 책임자인 비요른 자비스(Bjorn Jarvis) 국장은 지난 달 실업률 수치에 대해 “9월 26일부터 10월 9일 사이의 조사 기준 기간, 스쿨 홀리데이와 봉쇄 조치 하에서의 일부 제한 규정 변경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설명하면서 “팬데믹 기간을 통해 보았듯 봉쇄 조치와 함께 노동시장 변화는 지속적으로 호주 실업률 수치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경제 컨설팅 사인 ‘BIS Oxford Economics’의 사라 헌터(Sarah Hunter) 선임연구원 또한 “실업률이 높아지면서 향후 마찰적 실업(frictional unemployment)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는 일시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헌터 연구원은 이어 “특히 접객 서비스, 운송, 소매업은 호주 국내 여행제한 폐지가 촉매 역할을 하여 2022년까지 추가적 고용을 주도할 것이기에 봉쇄를 해제하지 않은 주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실업률).jpg (File Size:75.7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097 호주 ANZAC Day 2017- 원주민 호주 참전요사들의 사연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096 호주 이민자 유입 제한, 상당한 파장 불러올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095 호주 랜드윅 소재 ‘캘리포니아 방갈로’, 301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4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3 호주 노동당, ‘NSW 주 공립학교 시설 수리 예산 부족’ 비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2 호주 2016 센서스... 호주사회 다양성화, 더욱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1 호주 예전 방식의 학생 ‘숙제’ 형태에 새로운 변화 바람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90 호주 ‘아틀라시안’ 창업자, 7천만 달러로 저택 ‘일레인’ 구입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9 호주 호주인 임대료 부담 가중, 소득의 30-50%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8 호주 연방 정부 대학 지원 삭감... 학비 인상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7 호주 ‘모기지’ 규제 강화로 주택 가격 상승세 ‘주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6 호주 대학졸업 학위 없어도 ‘PwC’ 입사 가능해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5 호주 지구상에서 커피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4 호주 광역시드니 지역 간 소득수준 따라 건강불평등 격차 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3 호주 노스 라이드, 광역 시드니 최고 ‘혁신’ 수준 갖춰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4082 호주 5월 첫주 경매 낙찰률,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81 호주 ‘크라운그룹’, 그린스퀘어 지역 ‘워터폴’ 론칭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80 호주 턴불, 해외 테러리스트 자녀 귀국시 ‘철저한 감시’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79 호주 노동당 정책 광고, ‘백인 호주인 고용 우선’?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4078 호주 호주 여성 5명 중 1명, ‘Sexual selfie’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