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백신 관련 질문).jpg

호주 국내는 물론 국경 해제와 함께 해외여행이 허용되면서, 여행보험에 COVID-19 감염이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궁금증도 늘어나고 있다. 사진 : Unsplash / Camila Perez

 

해외여행 허용 따라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행자 보험 적용 여부’ 궁금증 ↑

 

팬데믹 사태 이후 호주 공영 ABC 방송은 COVID-19와 관련한 시청자들의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면서 정기적으로 그 내용들을 전하고 있다. 지난 달,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가 호주 국경 제한 철회를 언급하고 11월 1일부터 정부 승인 없이 해외 출국이 허용되면서 호주인들의 질문 내용에도 변화를 보였다. 크게 늘어난 것은 해외여행시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경우의 여행자 보험 적용 여부이다. 또한 COVID-19 백신 접종 증명 부분도 많았다.

 

▲ 호주 입국을 위한 조건으로 접종받아야 하는 백신은= 호주에서는 현재 4개의 백신을 승인한 상태이다. 이는 화이자(Pfizer),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Vaxzevria’로 이름 변경), 모더나(Moderna), 존슨앤존슨(Johnson and Johnson) 백신이며, 이들 외 인도의 코백신(Covaxin), 중국 시노팜(Sinopharm) 백신을 접종받은 이들에 대해서도 호주 입국을 위한 백신접종으로 인정하고 있다.

 

▲ COVID-19 예방접종 증명은 어떻게 하나= 호주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접종받은 경우 접종 제공기관(GP, 약국, 각 주 정부 운영의 백신 클리닉 등)에서 호주 예방접종등록청(Australian Immunisation Register. AIR)에 접종을 기록하게 된다. 이 접종기록은 디지털 인증서로 접종자 개인에게 제공된다. 이에 접속하려면 ‘myGov’ 계정에 로그인 한 뒤 ‘Medicare’ 계정을 연결하면 된다.

메디케어가 없는 경우에는 ‘Individual Healthcare Identifiers’(IHI) 번호를 신청할 수 있으며, 이를 ‘myGov’ 계정에 연결하여 백신접종 증명서에 액세스 할 수도 있다.

다만 해외에서 예방접종을 받은 경우, 호주 당국이 제공하는 국제백신증명서 신청은 불가능하다.

 

 

▲ 여행자 보험이 COVID-19에도 적용되나

= 일부 여행보험 정책은 COVID-19에 대한 보장을 기본으로 제공하는가 하면 다른 정책은 추가 비용을 요구하기도 한다.

호주는 영국, 뉴질랜드를 포함해 일부 국가와 상호 의료협정을 맺고 있다. 이에 따라 메디케어(Medicare) 카드가 있는 경우 호주로 돌아와 의료 진료를 받기까지 기다릴 수 없는 필수 진료를 보장받는다.

호주와 의료 협정을 맺지 않은 국가의 경우에는 여행보험이 의료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 노바백스 백신은 언제 호주에 들어오며, 어떻게 제공되나= 노바백스(Novavax)는 올해 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호주 의료 규제 당국인 ‘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TGA)의 승인을 받지 않은 상태이다.

‘단백질 서브 유닛 백신’(protein subunit vaccine)으로 불리는 노바백스 백신은 스파이크 단백질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현재 호주에서 승인된 백신과는 다르게 작동하며 접종 후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점에서 노바백스를 기다리는 이들도 많은 편이다.

하지만 보건 당국은 백신을 접종받지 않은 이들이 COVID-19로 사망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는 점에서 특정 백신을 기다리지 말고 승인되어 있는 백신을 접종받을 것을 권고한다.

 

▲ 빠른 항원검사 키트는 어디서 구매하나= 호주에서도 빠른 항원검사가 승인됐고, 일반인이 이 키트를 구입해 스스로 COVID-19 검사를 해 볼 수 있다. 이 키트는 현재 약국, 슈퍼마켓 및 기타 소매점에서 또는 온라인으로도 구매가 가능하다.

TGA는 빠른 항원검사에서 양성 결과가 나오면 가능한 빨리 PCR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하고 있다. 또 이 검사 방법은 PCR 검사만큼 정확성이 높지 않다는 점에서 음성이라는 결과를 얻게 되더라도 몸이 좋지 않거나 COVID-19 증상이 있다면 PCR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 부스터샷은 언제 받나= 지난 11월 8일(월)부터 두 차례의 COVID-19 예방접종을 완료한 지 6개월이 지난 이들(5월 8일 이전 접종을 완료한 경우)은 추가접종(booster shots)을 받을 수 있다.

현재 TGA는 화이자 백신을 추가접종 백신으로 승인한 상태이다. 첫 접종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받았다면 추가접종에서는 화이자를 맞게 된다. 다만 예방접종에 대해 정부에 자문을 제공하는 전문가 패널 ‘Australia Technical Advisory Group on Immunisation’(ATAGI)은 화이자 백신 등 mRNA 유형의 백신에 부작용이 있는 이들은 부스터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투여받을 수 있다고 조언한다.

 

 

▲ 어린이의 COVID-19 백신접종은

= 현재 호주에서 12세 이상 어린이는 백신접종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연방 보건부 그렉 헌트(Greg Hunt) 장관은 5세에서 11세 사이 아동에 대한 백신접종이 올해 안에는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주사 맞는 것이 정말로 두려운 경우라면= 그렇다 하더라도, 안 됐지만 상박(upper arm)에 주사를 통해서만 COVID-19 백신을 맞아야 한다.

현재까지 COVID-19 백신 옵션이 몇 가지 있지만 연구 및 임상시험 단계에 있다. 시드니대학교 줄리 리스크(Julie Leask) 교수는 접종을 받기 전, 백신이나 주사 등에 대한 생각을 접고 달콤한 간식을 먹거나 심호흡으로 마음을 안정시키는 게 좋다고 권한다.

 

 

▲ 친구나 가족 구성원에게 백신접종 여부를 어떻게 물어보아야 하나

= 비록 가족, 친척, 친구라고 해도 백신접종을 완료했는지 여부의 질문은 개인적인 부분에 속한다. 직접적으로 물어보는 것이 상대에게 실례가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시드니대학교 리스크 교수는 백신 및 접종상태에 대해 먼저 누군가에 대해 이야기 할 것을 권한다. 그리고 열린 마음으로 상대의 이야기를 들어주면서 자연스럽게 이야기 하도록 하는 게 좋다는 조언이다.

 

▲ 애완동물이 COVID-19에 감염될 수 있나? 또 백신접종이 필요한가= 호주 동물보호기구인 RSPCA(Royal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의 책임연구원인 사라 지토(Sarah Zito) 박사는 “현재 ‘인간에서 동물로의 전염’이 기록되어 있지만 애완동물이 감염되는 일은 매우 드물다”고 말한다.

호주에는 애완동물을 위한 COVID-19 예방접종이 없지만 애완동물의 경우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 해도 심각한 상황으로 가지는 않으며 빠르게 회복된다는 게 그녀의 설명이다.

그러면서 지토 박사는 “애완동물을 COVID-19로부터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애완동물과 함께 사는 사람들이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백신 관련 질문).jpg (File Size:40.0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17 호주 “연간 이민자 수용 19만 명, 정부의 중요 정책적 수치?”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4116 호주 2016 Census- 호주 여성 무급 가사노동, 남성의 5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4115 호주 2016 Census- ‘호주인의 전형’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4114 호주 Adelaide Hills, South Australia: Top 10 things to do(1)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4113 호주 NSW 주, ‘Safe Schools’ 프로그램 ‘폐지’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4112 호주 지난해 NSW 주 신생아 이름, ‘올리비아-올리버’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4111 호주 대학교 진학 여학생 비율, ‘사립’ 출신 크게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4110 호주 서큘러키, 멜번 스타일의 ‘키 쿼터’ 재개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4109 호주 현재 호주 최저 임금, ‘낮은 수준이다’ 압도적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4108 호주 치솟은 주택가격... 젊은이들의 국내이주 부추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4107 호주 “취업을 위한 인터뷰에서 이것만큼은 말하지 말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4106 호주 Adelaide Hills, South Australia: Top 10 things to do(2)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4105 호주 457 취업비자 기습 ‘폐지’ 발표... ‘찬-반 여론’ 팽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4104 호주 턴불 정부, 외국인 기술 인력 대상 ‘457 비자’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4103 호주 다소 하락한 경매 낙찰률, 거래 가격은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102 호주 “호주 주택시장, 정점 달했다” 분석 제기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101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초고속 상승, ‘우려’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100 호주 웨스턴 시드니서 첫 ‘온가족 비만 클리닉’ 오픈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099 호주 457 비자 폐지-시민권 취득 강화에 이민성 전화 폭주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4098 호주 A timeline: How love and law have changed in 130 years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