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코어로직 전망 1).jpg

올 들어 급격한 가격 상승을 보이던 호주 주택가격이 11월에는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격 성장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달 둘째 주 주말 경매에서 275만 달러에 낙찰된 시드니 이너웨스트(inner west), 릴리필드(Lilyfield)에 자리한 테라스 주택. 지난해 8월 125만 달러에 매매됐던 주택이다. 사진 : CobdenHayson Annandale

 

‘CoreLogic National Home Value Index’, 1년 사이 평균 20% 올라

금액으로는 평균 12만6천 달러 추가돼... 브리즈번-애들레이드 강세 지속

 

지난 달(11월) 호주 주택가격 조사 결과, 팬데믹 기간 중의 부동산 시장 붐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컨설팅 사인 ‘코어로직’(CoreLogic)이 이달 첫 주 내놓은 11월 ‘National Home Value Index’에 따르면 호주 주택가치는 지난 12개월 사이 전국적으로 20% 이상 상승했으며, 이로써 평균 12만6,700달러가 추가됐다.

하지만 올해 중반에 보여주었던 활력은 서서히 식어가는 것으로 분석된다. 11월 호주 주택가격은 전국적으로 1.3%가 올랐지만,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이는 호주 부동산 시장을 선도하는 시드니와 멜번(Melbouene) 전역에서 시장에 나오는 매물이 크게 증가하고 높아진 주택가격에 대한 압박이 더해지면서 상황이 급격하게 둔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시드니 주택가격은 11월 한 달 동안 0.9%가 오른 반면 멜번은 0.6% 성장에 그쳤다 이는 올해 3월 한 달 동안 시드니가 3.7%, 멜번이 2.4% 급등한 것과 크게 비교된다.

‘코어로직’의 팀 로리스(Tim Lawless) 선임연구원은 이 같은 성장속도 둔화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먼저 “최근 수개월 동안 주택 가치를 높인 모든 요소들이 어느 정도 효력을 잃었다”고 설명했다. “고정 주택담보대출(mortgage) 이자율이 오르고, 보다 많은 매물이 시장에 공급됨으로써 예비 구매자들의 시급함을 덜어주었으며, 높아진 주택가격으로 예비 구매자들의 주택시장 진입이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로리스 연구원은 “하지만 부동산 붐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호주 부동산 시장의 뜨거운 열기는 사라졌지만 아직은 식지 않은 상황”이라는 그는 “성장속도가 둔화된 시드니와 멜번의 경우 한 달에 1%정도씩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호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은 현재 주택가격이 급격히 오르고 있는 브리즈번(Brisbane, Queensland)과 애들레이드(Adelaide, South Australia)이다. 로리스 연구원에 따르면, 이들 도시는 아직 경기침체를 경험하지 않은 유일한 도시일 수 있다.

 

부동산(코어로직 전망 2).jpg

‘코어로직’의 지난 달 주택가격 흐름. 그래프 : CoreLogic

 

지난 달, 브리즈번 주택가격은 2.9%가 상승해 최고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18년 만에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수치로, 불과 한 달 사이 각 주택에 1만8,500달러가 늘어난 셈이다.

애들레이드도 2.5% 상승을 보였다. 이는 1993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이며, 이로써 애들레이드 각 주택가격은 평균 1만3,500달러가 더해졌다.

로리스 연구원은 “시드니 및 멜번에 비해 브리즈번과 애들레이드에서의 주택구입은 더 어려운 편”이라며 “COVID-19로 인한 봉쇄 조치의 혼란이 거의 없었고 다른 주에서의 긍정적인 이주 비율이 주택 수요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시드니와 멜번은 가격 적합성에 대한 압박과 함께 다른 주는 물론 해외에서의 인구 유입도 어려워짐에 따라 주택 수요가 큰 영향을 받았다는 게 로리스 연구원의 분석이다.

각 도시별로 제각각인 주택 공급은 각 도시 전반에 다양한 추세를 만들고 있다. 지난 달 28일까지 4주 동안 애들레이드 전역에 판매 가능한 주택 총 재고는 지난 5년간의 평균보다 32%, 브리즈번은 33.9%가 감소했다.

반면 시드니와 멜번 전역의 매물 재고 수준은 최근 몇 주 동안 훨씬 정상화되어 시드니의 경우 지난 5년 평균보다 2.6% 낮을 뿐이며, 멜번은 5년 평균에 비해 7.9%가 높다.

로리스 연구원은 주택시장에 나오는 매물은 내년에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는 가격 성장 둔화의 핵심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매물이 많이 나오기 시작한 도시에서 예비 구매자가 더 많은 선택권을 갖게 되며, 이로써 가격 성장이 둔화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지난달에도 호주 전역의 단독주택(house)은 유닛(unit)을 앞서는 상승을 보였다. 각 도시의 단독주택과 유닛 가격 성장률은 각 1.2%, 0.7%였다.

 

부동산(코어로직 전망 3).jpg

호주 전역, 각 도시의 주택가격 상승세가 한풀 꺾였지만 브리즈번(Brisbane, Queensland)은 여전히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브리즈번 도심 외곽의 한 주택가. 사진 : Churchill Real Estate

   

중간 가격을 기준으로 각 도시의 단독주택은 유닛에 비해 37.9%가 높으며, 이는 이제까지의 주택가격 기록상 가장 큰 차이이다. 금액으로 보면 각 도시 단독주택은 유닛에 비해 평균 24만500달러가 높다. 특히 단독주택과 유닛 가격 차이가 가장 큰 시드니의 경우 그 폭은 52만3천 달러에 이른다.

로리스 연구원은 “주택 유형 사이의 가격 차이가 크기 때문에 예비 구매자들의 발길이 점차 고밀도 아파트로 향하는 것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올해까지 호주 부동산 시장은 완만하지만 계속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로리스 연구원은 “주택시장이 둔화될 신호는 기준금리가 인상될 때”라며 “12월에도 성장률은 완만하지만 가격은 계속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 호주 주택가격

(도시 : 월 상승률 / 분기 상승률 / 연간 상승률 / Total return / 중간가격)

-Sydney : 0.9% / 4.3% / 25.8% / 28.8% / $1,090,276

-Melbourne : 0.6% / 2.4% / 16.3% / 19.0% / $788,484

-Brisbane : 2.9% / 7.4% / 25.1% / 29.8% / $622,199

-Adelaide : 2.5% / 6.5% / 21.4% / 26.5% / $558,179

-Perth : 0.2% / 0.4% / 14.5% / 19.5% / $528,540

-Hobart : 1.1% / 5.5% / 27.7% / 33.0% / $676,595

-Darwin : -0.4% / 0.2% / 16.7% / 23.5% / $493,047

-Canberra : 1.1% / 5.0% / 24.5% / 29.1% / $882,518

-Combined capitals : 1.1% / 4.0% / 21.3% / 24.6% / $783,557

-Combined regional : 2.2% / 5.9% / 25.2% / 30.4% / $527,322

-National : 1.3% / 4.4% / 22.2% / 25.8% / $698,170

*2021년 11월 30일 기준

Source : CoreLogic’s National Home Value Index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코어로직 전망 1).jpg (File Size:111.2KB/Download:12)
  2. 부동산(코어로직 전망 2).jpg (File Size:36.6KB/Download:9)
  3. 부동산(코어로직 전망 3).jpg (File Size:126.0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37 호주 법원, 카운슬 합병 관련해 ‘쿠링가이 카운슬’ 손 들어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4136 호주 시드니-멜번 거주자, 높은 생활비 각오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4135 호주 시드니, NSW 주 전역서 구직 경쟁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4134 호주 ‘페어팩스-입소스’ 3월 여론조사, ‘양당선호’서 노동당 크게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4133 호주 Armidale, Bellingen... NSW’s most beautiful towns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4132 호주 라이카트 소재 오랜 주택, 잠정가서 21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4131 호주 “집안의 아이들 안전 위해 가구는 고정시켜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4130 호주 호주 부동산 화제- 헌터스 힐 저택, 주 1만 달러 임대 매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4129 호주 고령의 직장인들, 젊은층 비해 직장 내 업무 만족도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4128 호주 NSW 주 범죄발생 비율, 40년 만에 사상 최저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4127 호주 시드니 도심 교차로에 보행자 위한 ‘노상 신호등’ 도입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4126 호주 인도네시아 발리, ‘지구촌 최고 여행지’ 꼽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4125 호주 공유시장 경제 70% 급성장... 기존 사업모델 위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4124 호주 홈부시 베이-실버워터 인구밀도, 뉴욕과 맞먹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4123 호주 시드니 인구 500만 명 돌파... 16년 만에 100만 명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4122 호주 말 경주를 허락할 수 없다고? 그래도 ‘파티’는 계속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412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매물 1,152채, 시드니 경매 기록 갱신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4120 호주 호주 연구팀, ‘췌장암 생존기간 연장’ 치료법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4119 호주 연방 정부, “네거티브 기어링, 폐지 않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4118 호주 주요 국가별 주택소유 비교, 호주 청년층 크게 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