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제한 변경 1).jpg

지난 12월 15일(수)부터 NSW 주에 취해졌던 공공보건 명령의 대부분 제한 규정이 철폐되어 COVID-19 백신을 접종받지 않은 이들도 이전과 거의 동일한 ‘자유’가 허용됐다. 사진은 시드니의 한 공원에서 오후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 사진 : 김지환 기자 / The Korean Herald

 

백신 미접종자에게도 ‘자유’ 허용... 대부분 소매점의 고객 밀도 철폐

 

12월 15일(수)부터 COVID-19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이들에게도 공공보건명령의 대부분 제한 규정이 해제됐다. 지난 6월 광역시드니에 시행된 봉쇄 조치 후 미접종자에게도 상당한 ‘자유’가 주어진 것이다.

주 정부는 지난 10월 제한 완화를 위한 각 단계별 전략을 발표하면서 12월 15일 또는 그에 앞서 NSW 주의 백신접종 비율이 95%에 이를 경우 마지막 단계로 대부분 규정의 제한 해제 방침을 밝힌 바 있다.

 

▲ 12월 15일부터 무엇이 달라졌나= 백신접종 완료 여부에 관계없이 NSW 주 모든 주민에게 변경 사항이 시작됐다. 이날부터 야외 공개모임 및 접대업소 입장의 인원 제한이 없어졌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불가능한 장소(대중교통 등)에서는 여전히 안면 마스크 착용이 강하게 권장되지만 소매점을 비롯해 대부분 실내 환경에서의 마스크 착용은 더 이상 필수가 아니다.

미용실, 뷰티살롱 등 개인 서비스를 받고자 예약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이들에게도 반가운 소식이 있다. 이들 업소 또한 고객 1명당 필요한 공간 제한이 없어진 것이다.

스포츠 및 댄스 강좌의 20인 제한도 해제됐으며 체육관(gym), 실내 레크리에이션, 기타 스포츠 시설에 대한 인원 제한도 폐지됐다. 또한 1천 명 이상이 참석하는 커뮤니티 스포츠 이벤트에 요구됐던 ‘COVID-19 안전 계획’(COVID-19 safety plan)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NSW 주 어느 지역이든 여행을 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백신접종을 받지 않은 이들과의 카풀도 허용된다.

 

▲ 계속 제한되는 사항은= 안면 마스크는 대중교통과 항공기, 공항, 접객 서비스 직원으로 일하며 예방접종을 받지 않는 이들에게는 ‘필수’로 남아 있다. 또 병원, 노인 및 장애인 요양시설, 체육관, 예배장소, 장례식이나 추모 행사, 개인 서비스, 펍, 소규모 바(bar), 등록된 클럽, 나이트클럽, 스트립클럽에서는 고객 출입을 기록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체크인이 필요하다.

 

종합(제한 변경 2).jpg

3단계 제한 완화로 대부분 영업장의 고객 수용 제한은 물론 고객 밀도 규정도 없어졌으며 나이트클럽의 플로어에서 춤을 추는 것도 허용됐다. 사진 : Pixabay / geralt

   

대규모 음악 이벤트는 2만 명 한정으로 재개할 수 있으며 1천 명 이상의 실내 음악 이벤트, 100명 이상의 승객이 있는 크루즈는 여전히 COVID-19 예방접종 증명서가 요구된다.

호주로 입국하는 여행자로, 예방접종을 받지 않는 이들은 호주 도착 후 14일간의 격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 백신 미접종자는= 3단계 제한 완화(12월 15일부터 시행)에서는 COVID-19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이들도 접종 완료자와 동일한 활동이 허용된다. 애초 NSW 주 정부는 12월 1일을 기해 3단계 완화를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이를 2주 연기했던 것이다. NSW 보건부 브래드 하자드(Brad Hazzard) 장관은 “아직 백신접종을 받지 않았다면 ‘이기적인 행동’을 멈추고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고 강하게 촉구했다.

 

▲ 현재 NSW 주의 백신접종률은= 3단계 제한 완화를 시작한 지난 12월 15일 현재 NSW 주 전역에서 16세 이상 인구의 94.8%가 1차 접종을 받았으며 두 차례 백신 투여 비율은 93.2%였다.

연방정부가 국민들을 대상으로 백신 출시를 시작한 이래 NSW 주의 예방접종은 호주 전역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됐다. 두 차례의 접종 비율이 70%에서 80%에 이르기까지 단 12일이 소요됐으며, 80%에서 90%에 이르는 데 걸린 기간은 23일이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적격인구 접종 완료가 90%에서 93%로 높아지는 데에는 30일이 걸렸다.

하자드 장관은 “정부가 우려하는 것은, 현재 COVID-19 감염 사례가 증가하는 가운데 추가접종(booster shots)의 중요성을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라며 “안전을 위해 부스터샷 대상이 되는 이들은 추가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제한 변경 1).jpg (File Size:113.3KB/Download:10)
  2. 종합(제한 변경 2).jpg (File Size:71.5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57 호주 “호주 젊은 여성 잠재인력, 가장 활용 안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4156 호주 시드니-멜번 거주자, 서부호주-QLD 지역에 감사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4155 호주 Australian Wellbeing Index 2016- 삶의 질, 전반적 향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4154 호주 빛의 축제 ‘비비드’, 시드니 도심서 바랑가루까지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16.
4153 호주 알렉산드리아 테라스하우스, 10년 사이 가격 3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4152 호주 정차 운전석서 휴대전화로 사진 촬영, “불법인 줄 몰랐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4151 호주 Childfree... 무자녀 여성 비율, 갈수록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4150 호주 NSW 주, 2011년 이래 원주민 투옥률 35%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4149 호주 대중들의 감정 상태 모니터, ‘정신질환 대처’ 가능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4148 호주 연립 보수파 지역구, ‘동성결혼 합법화’ 지지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4147 호주 녹색당, “인지세 폐지하고 토지세 확대로 보완”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4146 호주 호주 원주민 대륙정착 역사, DNA 분석 통해 확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4145 호주 호주 최고 부자 라인하트 자산, 1년 사이 80억 달러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4144 호주 “호주 학교들, 교실 당 학생수 더 늘려야...”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4143 호주 캐슬크래그 소재 주택, 잠정가서 80만 달러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4142 호주 호주 경찰, 시가 1억 달러 상당 불법마약 압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4141 호주 서부 호주 세계 최대 공룡 발자국, 상세 내용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4140 호주 “무슬림은 질병, 예방접종 필요”... 폴린 핸슨, 또 막말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4139 호주 시드니 주택별 소방 서비스 비용, 연 $471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
4138 호주 ‘Powerful Passport’... 호주-한국, 무비자 입국 170개 국 file 호주한국신문 17.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