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맥주 1).jpg

팬데믹 사태로 인해 모든 접객 서비스 업체들이 타격을 입은 가운데 펍(pub)이나 호텔의 맥주 판매 또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맥주주조 업계는 연방정부에 맥주 관련 세금 인하를 촉구했다. 사진 : Pixabay / spooky_kid

 

지난해 7월에서 9월 사이,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4천만 파인트 줄어

 

대부분의 호주인들에게 있어 한낮의 더위를 식히는 맥주 한 잔은 오랜 동안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아 왔다. 하지만 전염병 사태로 다수가 모인 장소 출입을 꺼리는 분위기에다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 봉쇄 조치가 이어지면서 호주인들의 맥주 소비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달, 호주 국세청(ATO) 자료에 따르면 특히 광역시드니 및 일부 지역의 봉쇄조치가 이어진 지난 해 7월에서 9월의 맥주 소비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에 비해 4천만 파인트(pint) 감소라는 충격적인 결과이다. 파인트는 액량 또는 건량 단위로 호주에서는 580ml 양이다. 영국은 568ml, 미국은 473ml로 규정되어 있는 등 이 단위는 국가마다 다르다. 호주의 펍(pub)에서 맥주를 제공할 때 쓰는 용어이기도 하며, 파인트보다 작은 잔을 ‘스쿠너’(schooner. 425ml) 이보다 작은 잔을 폿(pot. 285ml)으로 칭한다.

이 기간 동안의 4천만 파인트의 맥주 감소는 접객업소 매출 50%가량이 줄어든 것과 같으며, 전염병으로 인한 봉쇄나 기타 제한 규정으로 인해 업계가 입은 10억 달러가량의 손실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ATO는 지난해 7월에서 9월 사이 펍이나 클럽에서 제공한 맥주 90만3,982리터의 알코올을 기록했으며, 2019년 같은 기간의 199만3,027리터와 비교했다.

호주 맥주주조협회(Brewers Association) 존 프레스턴(John Preston) 최고경영자는 바이러스 사태가 길어지면서 이 같은 소비감소 추세가 계속되고 있음을 우려했다. 그는 “이 수치는 전염병으로 인해 호주의 펍과 클럽 피해가 지난해 엄청났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평균적으로 펍이나 클럽의 맥주 판매는 주류 가운데 70%를 차지하고 있어 상당한 경영상의 타격을 입혔다”고 말했다.

이어 프레스턴 CEO는 “다른 국가들의 경우 펍에서 맥주를 즐기는 이들에게 편안한 휴식을 주기 위해 생맥주에 대한 세금을 줄이고 있다”면서 “다가오는 연방 예산 계획에서 맥주세(beer tax)를 인하해 펍과 클럽들로 하여금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멜번(Melbourne) 전역에 여러 대형 접객시설을 운영하는 ‘Commercial Hospitality Group’의 샘 트레시스(Sam Tresise) 대표를 비롯해 다수이 펍 운영자들도 정부의 추가 지원 요청에 동참했다.

트레시스 대표는 “많은 펍 비즈니스는 이번 여름 시즌을 기해, 봉쇄 기간 동안 겪은 타격을 복구하고자 했을 것이지만 그런 바람은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특히 지난해 하반기에 발생한 오미크론 변이의 영향은 치명적”이라고 덧붙였다.

빅토리아(Victoria) 주에 3개의 호텔을 소유하고 있는 조엘 테일러(Joel Taylor) 대표는 접객업소 고객 수용 제한으로 지난해 박싱데이 연휴 동안 매출이 50%~60%가 줄었음을 언급하면서 “하루 600명에서 900명의 고객이 예상되는 이 시기에 (자신의 업소) 두 곳의 호텔을 4일 또는 2일간 폐쇄해야 했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맥주 1).jpg (File Size:80.8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9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1830년대 코티지, 잠정가서 45만 달러 넘겨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6 호주 올해부터 뱅스타운 라인 ‘싱글덱’ 공사 시작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5 호주 모스만 소재 주택, 올해 첫 ‘double-digit’ 가격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4 호주 NSW 주 정부, 부적절 직업학교에 보조금 중단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3 호주 주택융자 ‘Deposit’ 없이 ‘내집 마련’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2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달러’ 새 디자인 지폐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1 호주 NSW 정부, IT 공무원직에 457 비자 소지자 고용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90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전 세계 상위 10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89 호주 NSW 주 정부, 파라마타 경전철 관련 16개 역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88 호주 Four things Australia could do to tackle the obesity crisis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87 호주 뉴타운, 진보적 경향 강하고 라켐바는 비관적 성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4186 호주 낙찰률 80%... 2월 경매 통한 주택거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85 호주 “여성에 대한 폭력, 시작할 때 막읍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84 호주 호주 대도시 소재 대학 학생 증가, 시드니는 예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83 호주 관리자급 여성 늘어날수록 남녀 임금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82 호주 대학교 교내 성폭력 은폐, ‘솜방망이’ 처벌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81 호주 NSW 교육표준청, 12학년 필수 과목서 소설 및 시 제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80 호주 시드니 3개 지역, 호주 전체 GDP 성장 24% 기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79 호주 Top 10 best cycling trip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4178 호주 서리힐 주택판매자, 부동산 시장 강세로 큰 이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