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NSW 제한 해제).jpg

NSW 주 정부가 오미크론 변이로 인해 한시적으로 시행한 공공보건 제한 규정을 조기 해제키로 하면서 오늘부터 모든 실내(대중교통, 병원 등 제외)에서의 마스크 착용이 요구되지 않는 등 대부분 제한이 해제됐다. 사진은 지난 2월 17일,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하는 도미닉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주 총리.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고객 밀도 제한 폐기 이어 백신 미접종 입국자 호텔 격리도 14일→7일로

 

오늘(25일, 금)부터 대부분의 실내에서 더 이상 안면 마크스 착용은 의무 사항이 아니다. 소매점 등 사회적 거리 두기가 어려운 실내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권장된다.

NSW 주 페로테트 주 총리는 지난 2월 21일(월)부터 COVID-19 방역을 위한 일부 제한 규정을 완화한 데 이어 오늘부터 추가 제한 조치를 해제했다.

NSW 주 정부는 ‘오미크론’의 빠른 확산에 따라 여러 제한 조치를 한시적으로 시행했으며, 이를 2월 27일까지로 연장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페로테트 주 총리는 지난 2월 17일, “2월 28일부터 제한 해제 날짜를 지정했지만 주 전역 거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노력으로 이를 조금 더 앞당겨 변경할 수 있게 됐다”면서 21일 및 25일부터 여러 규정의 해제를 공식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이번 주 월요일(21일)부터 △모든 업소에서의 고객밀도 제한(고객 한 명당 2제곱미터 공간 필요)이 폐기됐으며 △모든 접객 서비스 업소에서의 노래와 댄스 허용, △나이크틀럽 및 음악축제에서만 QR코드 체크인 요구(1만 명 이상 음악축제에서는 필요), 그리고 △각 직장에서 직원의 재택근무 시행도 고용주 재량에 따라 결정됐다.

아울러 오늘부터는 △안면 마스크 착용이 대부분 실내에서 비필수로 전환(대중교통, 항공기, 공항 실내, 병원, 양로원 및 장애인 시설, 교정시설, 1만 명 이상이 모이는 음악축제에서는 의무적 착용)됐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어려운 실내 또는 일반 소매업소에서 직원이 취약계층 고객을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마스크 착용을 ‘권장’으로 변경했으며, △모든 음악축제에서의 노래와 댄스 허용, 그리고 △뮤직 페스티발의 관람객 수용 2만 명 상한선이 폐기됐다. 다만 1,000명 이상이 모이는 실내 음악축제의 경우 예방접종 의무는 변함없으며 참석자는 최소 2회의 백신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아울러 NSW 주의 각 정부 기관은 민원인 대면시 마스크 착용이 적절한지 심의하여 필요에 따라 실행하게 되며, 2월 21일부터 백신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채 해외에서 NSW 주로 입국하는 이들에 대한 호텔 격리는 기존 14일에서 7일로 단축됐다.

페로테트 주 총리는 “재택근무를 하던 NSW 주의 모든 공공서비스 직원들을 사무실로 복귀시키기 위해 각 기관과 협의했으며, 이는 일반 기업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말했다.

주 총리는 “이 같은 변화는 우리가 처한 (COVID-19 전염병) 상황에 비례하며 특히 NSW 주 전역, 모든 이들의 노력에 대해 말할 수 있다”면서 “지난 2년 동안 어려운 시기를 보냈지만 NSW 주 전역의 병원으로부터 COVID-19 감염환자 입원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즐거운 신호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주 총리는 “때로 우리는 감염 사례가 증가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고 또 감소하기도 하는데, 이는 (COVID-19 방역의) 성공이나 실패의 척도가 아니라 코로나 바이러스와 함께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NSW 주 보건부 최고 의료 책임자인 케리 찬트(Kerry Chant) 박사는 올해 후반기, 더 많은 감염 발생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찬트 박사는 “COVID-19 백신과 감염에 따른 면역이 약해지면서 추가로 COVID 감염 물결이 있을 것”이라며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새로운 감염 파동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찬트 박사 “현재 우리 주의 병원과 중환자실(ICU) 입원 환자 수가 서서히 감소하면서 안정세로 가고 있다”는 것을 덧붙였다.

한편 ‘ClubsNSW’는 정부의 제한 규정 조기 해제에 대해 “우리 업계의 미래에 희망을 주었다”며 이 조치를 환영했다. NSW 주 클럽 연합체인 이 단체의 조시 랜디스(Josh Landis) 최고경영자는 “전염병을 우려해 사람들이 외출을 하지 않았기에 지난 수개월간 클럽들에게는 힘든 시간”이었음을 언급한 뒤 “정부의 제한 규정 조기 해제는 이제 외출을 해도 안전하다는 신호”라며 “각 지역 클럽들에게도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주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NSW 제한 해제).jpg (File Size:60.0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17 호주 호주판 ‘맹모삼천지교’... 유명 학군 주택가격 큰 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4216 호주 트럭 운전, 호주에서 가장 치명적 직업 중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4215 호주 NSW 주 공립학교 입학생, 40년만에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4214 호주 “호주, 제조업 활성화로 수입 의존도 낮추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4213 호주 “부동산 상속세를 젊은 계층 보조금으로 활용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4212 호주 The official GABS Hottest 100 Aussie craft beers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4211 호주 부익부 빈익빈 확대... 저소득층 가계소득 더욱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4210 호주 최고 무더위 불구, 시드니 주말 경매 ‘활황’ 이어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4209 호주 NSW 주 내륙, 산불피해 극심... 마을 전체가 완전 파손되기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4208 호주 “설탕세 도입하면 호주인 수명 2년 이상 연장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4207 호주 세입자들, “집주인 무서워 수리비 청구 못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4206 호주 2016년도 ‘온라인 데이트’ 사기 피해 2천50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4205 호주 모스만, 시드니 지역 최고급 저택 지역으로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4204 호주 호주 치매환자, 비용만 연간 수십억 달러 소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4203 호주 NSW 주 정부, 지방 지역 카운슬 강제합병 포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4202 호주 “시드니 지역 상위 공립학교 보내려면 150만 달러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4201 호주 시드니 공립학교 입학생 수, 이례적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4200 호주 원주민-비원주민 삶의 질 격차, “변한 것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4199 호주 멜번-시드니, 가장 역동적인 전 세계 도시 중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4198 호주 높아지는 청년 실업, 호주 젊은 세대 ‘좌절감’도 고조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