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Shen Yun 1).jpg

올 2월부터 미국, 스페인, 프랑스 공연을 이어가는 션윈 글로벌예술단(Shen Yun Global Company)은 이달부터 5월까지 시드니를 비롯해 호주 7개 도시에서 공연을 펼친다. 사진은 지난 2월 6일부터 9일까지 프랑스 엑상프로방스 대극장에서 5회에 걸쳐 선보인 퍼포먼스. 이 공연은 전회 만석을 기록했다. 사진 : Shen Yun Global Company 제공

 

뉴욕 기반의 ‘Shen Yun Performing Arts’, 시드니 등 호주 7개 도시 공연

 

“치유와 많은 희망을 주는 공연이 아닐 수 없다.”-미국, 유럽의 공연 관람객들

“믿을 수 없을 만큼 놀라운 희망과 정신을 보여주는 이야기이다.”-리타 코스비(Rita Cosby / 에미상 수상 저널리스트

“많은 희망을 가져다주는 공연.”-로버트 데스트로(Robert A. Destro) 전 미 국무부 차관보

 

전 세계 공연마다 수준 높은 퍼포먼스를 보여줌으로써 관람객들로부터 찬사를 받는 션윈(Shen Yun) 공연팀이 올 들어 미국, 스페인, 프랑스에 이어 호주를 찾는다.

이달 21일부터 캔버라에서 시작되는 장기간의 호주 투어(Canberra, Sydney, Melbourne, Bendigo, Toowoomba, Gold Coast, Adelaide) 가운데 시드니 공연은 오는 4월 6일(수)부터 17일(일)까지 ‘Sydney Lyric Theatre’(55 Pirrama Road, Pyrmont)에서 진행된다.

지난 2006년 뉴욕(New York)을 기반으로 설립된 션윈예술단(Shen Yun Performing Arts)은 중국 공산당에 의해 파괴, 사라진 중국 전통문화의 소중한 정신적-문화적 유산의 복원을 취지로 무용과 음악을 통해 이를 재현하는 공연팀이다.

션윈은 중국 공산당으로부터 탄압받는 파룬따파(법륜대법) 수련자들이 설립했다. 무신론을 공식 표방하는 중국공산당은 션윈 공연단이 서방세계에서 누리는 표현의 자유를 극도로 경계하고 있다. 자신들이 저지른 탄압의 실상이 파룬따파 수련자들에 의해 세상에 알려지는 것을 막고자 하는 것이다. 션윈이 설립되자 중국 공산당은 자국의 60여 개 예술단체를 전 세계에 파견, 경쟁하도록 했고 션윈이 재정적으로 생존하지 못하도록 만들려 했지만 관객들이 이들의 수준 높은 공연을 경험하면서 션윈 명성은 오히려 커져갔다. 현재 션윈은 매년 전 세계 100여 도시를 순회하며 공연을 펼치고 있다.

션윈의 높은 예술적 수준은 이를 관람한 많은 이들의 평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지난 달 미국의 각 도시에서 펼쳐진 공연을 관람한 헨리 맥마스터(Henry McMaster)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는 “음악과 춤의 아름다움을 통해 고대 문명을 경험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라고 말했으며, 스페인 공연 후 카탈루냐 의회 마리아 가르시아 푸스터(Maria García Fuster) 의원은 “경이로운 공연,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한 순간”이라고 감탄했다. 또 프랑스 정부로부터 최고 장인의 영예를 수여받은 서예가 폴 페르실(Paule Persil)씨는 “신의 경지에 이른 예술의 최고봉”이라 평했으며, 바르셀로나대학 요르디 비랄롱가(Jordi Virallonga) 교수는 “션윈은 한편의 시처럼, 꿈처럼 아름다운 공연이다. 오늘날 많은 것이 망가지고 왜곡돼 균형을 잃은 이 세상에서 이처럼 평화롭고 미학적으로도 완벽한 공연을 볼 수 있다는 것은 정말 행운”이라고 극찬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Shen Yun 1).jpg (File Size:143.5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호주 알바니스 총리, 차기 호주 총독에 법조인 겸 사업가 사만타 모스틴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6 호주 NSW 운전자 대상, 도로 통행료 환급신청 접수 시작... 클레임은 어떻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5 호주 연방정부, 5월 예산 계획에서 가계 재정부담 완화 방안 제시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4 호주 유닛을 구입하고 투자 이익까지 얻을 수 있는 주요 도시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3 호주 새로 적용된 학생비자 입안자, ‘노동당 정부의 대학 단속’으로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2 호주 심각한 주택부족 상황 불구, 시드니 지역 ‘빈 집’ 2만 가구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1 호주 시드니 전역 유명 사립학교 학부모가 되기 위한 ‘대기자 명단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70 호주 ‘Hambledon Cottage’ 200년 주년... 파라마타 시, 관련 기념행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9 호주 ‘주택위기’ 해결의 또 하나의 어려움, ‘baby boomers의 고령화’?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8 호주 파라마타 시, ‘Arthur Phillip Park’ 재개장 기해 야외 영화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7 호주 계속된 생활비 부담 속, 수백 만 명의 호주인 저축액 1천 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6 호주 Express. Empower. Get Loud!... CB City, ‘청년주간’ 행사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4.04.11.
5265 호주 팬데믹 이후 호주 인구 ‘급증’ 속, 가장 큰 영향 받는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4 호주 투자 부문의 최고 ‘인플루언서’, “고령화 위기 대비하려면 호주 본받아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3 호주 주택을 구입할 때 침실 하나를 추가하려면 얼마의 급여가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2 호주 ‘디지털 노마드’의 세계적 확산 추세 따라 해당 비자 제공 국가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1 호주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대학원 과정은 ‘건강’ 및 관련 분야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60 호주 늘어나는 신용카드 사기... 지난해 호주인 손실, 22억 달러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9 호주 월별 CPI 지표, 3개월 연속 3.4% 기록... “하향 추세 판단, 아직 이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
5258 호주 주택시장, ‘인상적 성장세’ 지속... 1년 사이 중간가격 6만3,000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2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