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SA 선거 1).jpg

남부호주(South Australia) 주 선거에서 승리, 제47대 주 총리가 된 노동당 피터 밀리나스카스(Peter Malinauskas) 당 대표. 그는 선거가 치러진 지난 19일(토) 밤, 노동당 승리가 확정된 후 교육, 기술훈련, 청정에너지, 보건 부문 투자 계획을 밝혔다. 사진 :Twitter / SA Government

 

‘팬데믹 선거’의 불리함 극복... 자유당 스티븐 마샬 정부, 한 번 임기로 물러나

 

지난 3월 19일(토) 치러진 남부호주(South Australia) 주 선거에서 노동당을 역사적 승리로 이끈 피터 말리나스카스(Peter Malinauskas) 당 대표가 제47대 SA 주 총리가 됐다.

SA 주 선거는 전염병 사태가 시작된 이후 호주 각 주 및 테러토리 정부 지도자를 선출하는 첫 선거였으며 집권 여당에 유리한 ‘팬데믹 선거’라는 점에서 그 결과에 호주전역 유권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바 있다.

선거 결과가 나온 이날 저녁, 말리나스카스 대표는 노동당을 지지한 SA 유권자와 원주민 커뮤니티에 감사를 표하며 “(주 총리로서의) 특권의 의미와 책임의 크기를 잊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교육, 기술훈련, 청정에너지, 보건 부문 투자를 강조하면서 SA 주의 전염병 회복에 대해 언급한 그는 “지금 이 순간, 전염병 사태라는 현 상황에서 향후 4년을 생각할 뿐 아니라 다음 세대를 위해, 또한 우리 자신을 위한 것보다 다른 이들을 배려하는, 진정으로 평등한 호주의 이상을 추구했다는 평가를 받도록 하겠다”(Let them say in this moment, this most unique of occasions, that this generation decided not just to think about the next four years, but for the next generation, to live out on that truly egalitarian Australian ideal that we care for other others more than we care for ourselves)고 강조했다.

 

종합(SA 선거 2).jpg

지난 2018년 주 선거에서 승리, 집권했지만 단 한 번의 임기로 정권을 내준 자유당의 스티븐 마샬(Steven Marshall. 사진) 대표가 이번 선거에서 패배를 인정하는 미디어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이날 선거에서 패한 자유당 스티븐 마샬(Steven Marshall) 대표는 말리나스카스 대표와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선거 패배를 인정한다고 말했다.

마샬 전 주 총리는 “민주주의 절차에 따라 SA 주민들이 투표를 했고, 새 정부를 선출한 것에 감사한다”며 “지난 4년 동안 우리(SA 자유당 정부)가 했던 일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말리나스카스 새 총리는 선거 결과에 대한 마샬 전 총리의 패배 인정을 높이 평가하며 “SA 주와 자유당을 위한 (마샬 전 주 총리의) 기여에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8년까지 16년간 집권해 왔던 SA 노동당은 그해 선거에서 자유당에 패배했지만 4년 만에 정권을 되찾았다. 스티븐 마샬의 자유당은 집권당으로써 ‘팬데믹’ 상황의 유리함을 활용하지 못한 채 단 한 번의 임기 만에 다시 노동당 정부가 들어서는 것을 바라보아야 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SA 선거 1).jpg (File Size:44.9KB/Download:14)
  2. 종합(SA 선거 2).jpg (File Size:53.2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57 호주 호주 사상 최대 사법 케이스, 채임벌린씨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4256 호주 NSW 주, 일부 업계 정치기부금 금지 규정 재검토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4255 호주 부동산 전문가들이 보는 올해 시드니 시장 전망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4254 호주 The six best things about living in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4253 호주 2017 시드니 부동산 시장, 최고 강세 예상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4252 호주 퀸즐랜드 주, 임질-클라미디아 등 성병 감염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4251 호주 호주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곤충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4250 호주 ‘내집 마련’의 꿈, ‘싱글들’에게는 더욱 요원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4249 호주 배달 서비스 확대... 시드니 도심 교통정체 가중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4248 호주 시드니 전역, 주거지 개발로 토지 가치 급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4247 호주 부동산 시장... 올해도 주택가격 상승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4246 호주 시드니 지역 사립학교 학비, 크게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4245 호주 시드니 주민들, ‘이웃집 애완견과의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4244 호주 Australia Day... 호주 최대 국경일, 기념행사 ‘풍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4243 호주 2016년 12월 시드니 주말 경매시장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4242 호주 소아 자폐증 증가, 가벼운 증상에도 ‘환자’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4241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다소 하락, 2년 사이 수치는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4240 호주 ‘Median Multiple 지수’로 본 시드니 주택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4239 호주 시드니 도시 성장에 대학교 ‘도시계획학과’ 인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4238 호주 고대 원주민 유적지,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