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다문화 언어 1).jpg

COVID 팬데믹을 계기로 NSW 주의 지역사회 언어가 공공보건 및 사회적 결속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부각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은 주 의회에서 NSW 커뮤니티 언어학교연합과 매콰리대학교 언어학부 연구팀의 공동 연구보고서 ‘What are languages worth? Community languages for the future of New South Wales 2022’를 발표하는 마크 쿠어(Mark Coure) NSW 다문화부 장관. 사진 : NSW Federation of Community Language Schools Inc

 

매콰리대학교 보고서, “언어학습 및 이중언어 교육의 광범위한 이점 평가할 때” 제안

 

COVID-19 전염병 사태로 인해 NSW 주의 지역사회 언어가 공공보건 및 사회적 결속을 위해 중요하게 부각됐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이는 NSW 주 커뮤니티 언어학교연합(NSW Federation of Community Language Schools Inc)과 매콰리대학교 언어학부 앨리스 치크(Alice Chik) 부교수 연구팀의 공동 연구를 통해 나온 것으로, ‘What are languages worth? Community languages for the future of New South Wales 2022’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는 지난 5월 13일(금) NSW 다문화부가 주 의회에서 마련한 행사를 통해 발표됐다.

각 커뮤니티 언어 학교 교사들이 함께 한 이날 행사에서 치크 부교수는 “여러분은 정부와 NSW 주의 다문화 및 다국어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중요한 다리로, 정부와 지역사회간 양방향으로 정보의 원활한 흐름을 지원한다”면서 “여러분의 작업은 커뮤니티 언어가 NSW 주의 웰빙에 중요하다는 것을 모든 이들에게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날 NSW 다문화부 마크 쿠어(Mark Joseph Coure) 장관은 이번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지역사회 언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 대한 강한 헌신, NSW 주가 실용적인 방식으로 다문화주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모든 이들이 제2언어를 배워야 한다는 믿음을 반복해 강조했다.

또 NSW 주 커뮤니티 언어학교연합의 루시아 존스(Lúcia Johns) 회장은 “이 보고서는 우리 모두에게 커뮤니티 언어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언어교육의 중요성은 물론 이중언어 및 다국어 사용의 광범위한 이점을 평가할 때”라고 말했다.

 

종합(다문화 언어 2).JPG

NSW 주 커뮤니티 언어학교연합(NSW Federation of Community Language Schools Inc)과 공동으로 이번 보고서를 작성한 매콰리대학교 언어학부 앨리스 치크(Alice Chik. 사진) 부교수. 사진 : NSW Federation of Community Language Schools Inc

 

이번 보고서는 또한 커뮤니티 언어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이를 확대해야 할 시급한 필요성이 있다고 제시했다. 호주의 경우 언어에 할애하는 시간이 전 세계 주요 국가와 비교해 뒤처지며, 또 NSW 주는 호주의 다른 주보다 더 적은 시간을 이에 할애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장기적 목표로 모든 어린이들에게 중급 수준의 추가 언어를 배우게 하고, 해당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자격을 취득하도록 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 내용은 NSW 주 커뮤니티 언어학교연합 홈페이지(www.nswfcls.org.au)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다문화 언어 1).jpg (File Size:96.7KB/Download:13)
  2. 종합(다문화 언어 2).JPG (File Size:89.5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77 호주 NSW 공정거래부, ‘위험’ 장난감 리스트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976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975 호주 버크그로브 테라스 하우스, 187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974 호주 19 billionaires who used to be dirt poor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73 호주 NSW 주 경제, 시드니-일부 지역간 격차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72 호주 시드니 동부-노던 비치 지역 실업률,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71 호주 호주 학생들의 ‘수학-과학 학업성취도’ 크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70 호주 ‘백패커 세금’ 15%로... 18개월 이어진 논란 종식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69 호주 호주인 IS 테러리스트 ‘프라카시’, 터키서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68 호주 “공공주택 임대료 부분, 대대적 개혁 필요”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67 호주 호주인들의 올 크리스마스 선물 구입, 88억 달러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66 호주 시드니 플라스틱 폐기물 오염, ‘집값 하락’ 영향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65 호주 원주민 가정폭력 문제에 양당 대표들도 합류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64 호주 ‘제노포비아’, 미국 온라인 사전 ‘올해의 단어’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63 호주 배우 윤여정씨, ‘APSA’서 심사위원 대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62 호주 매릭빌 소재 작은 테라스 주택 13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961 호주 Australia’s most popular pet-friendly Airbnb listings file 호주한국신문 16.11.24.
960 호주 호주 최대 도시, 시드니를 위협하는 8가지 요소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11.24.
959 호주 시드니 지역, 미래 일자리는 어느 부문에서 창출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6.11.24.
958 호주 졸업생 취업가능성 평가서 시드니대학 전 세계 4위 file 호주한국신문 16.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