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OVID 사망 1).jpg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차단을 위한 공공보건 조치들이 대부분 해제되면서 이에 대한 경계심도 점차 멀어지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호주에서 매일 평균 40명이 COVID-19로 사망하고 있는 점에 강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사진은 한 병원의 COVID-19 병동. 사진 : 7 News 방송 화면 캡쳐

 

국민 1인당 감염비율, 전 세계서 가장 높아... 전문가들, ‘국가적 의제 밖’ 우려

 

코로나바이러스 신종 감염증과 관련한 공공보건 조치들이 대부분 해제되고 정부 차원에서도 풍토병으로 여기는 단계임을 선포한 상황이지만 COVID-19로 인한 사망자가 매일 평균 40명에 이르고 있다.

호주의 COVID 감염비율을 국민 1인당으로 환산하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보건 당국 및 전염병 전문가들은 이 바이러스가 국가 의제에서 벗어났음에 큰 우려를 표하는 상황이다.

2년 여 전 COVID-19 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호주에서 코로나바이러스로 사망한 이들은 7,800명에 이르며, 여전히 매일 수십 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보건 관련 작가인 제인 맥크레디(Jane McCredie)씨는 “우리는 우리의 의료 시스템이 직면한 가장 큰 도전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거의 중단했다”고 지적했다.

맥크레디씨는 주간으로 발행되는 호주 온라인 의학저널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최근호에 이달 첫 주에만 약 35만 명의 COVID 양성 사례가 발생했다고 언급했다.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호주에서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들은 총 645만 명에 달한다.

맥크레디씨는 이어 “최근 5개월 사이에만 500만 명 넘는 이들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며 “(Rapid Antigen Test 기기를 통한) 자체 테스트에 의존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이는 과소평가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물론 호주의 높은 백신접종률로 인해 사망자가 줄었고, 팬데믹 초기보다 덜 치명적인 것은 사실이다. 맥크레디씨는 “COVID로 인한 사망률 감소는 의심의 여지없이 이 질병에 대한 관심에서 멀어지게 한 요인 중 하나이지만 보다 큰 이유는 모든 이들이 (코로나바이러스에) 지쳐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호주 공공보건협의회(Public Health Association of Australia)의 테리 슬레빈(Terry Slevin) CEO는 같은 매체에 “이 질병이 일선 의료 종사자들에게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지난 2년 넘게 경계 태세를 늦추지 못했고 수시로 격리 상태에 처해졌으며, 낯선 이들의 기침을 바라보아야 했고 내일을 장담할 수 없는 것처럼 손을 소독해야 하는 등, 이제 우리에게는 더 이상 버틸 기력이 없다”고 호소했다.

 

종합(COVID 사망 2).jpg

인구 1인당 COVID-19 감염률 면에서 호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여전히 이 질병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게 전염병 학자들의 말이다. 사진 : 7 News 방송 화면 캡쳐

   

그러면서 슬레빈 CEO는 “사람들의 무관심이 의료진들에게는 최악의 결과를 줄 수 있다”면서 “이미 의료 자원과의 싸움에 이른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호주의료협의회(Australian Medical Association) 부회장인 크리스 모이(Chris Moy) 박사도 “전염병에 대한 피로감과 안일함이 뒤섞여 (COVID-19가) 전국민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음을 우리는 보고 있다”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이어 “우리의 보건 시스템은 감염 환자뿐 아니라 감염 이후 ‘long-COVID’ 증세로 고통받는 수천 명의 국민들까지 돌보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모이 박사는 “우리 커뮤니티가 이런 점도 주목해야 한다”며 COVID-19에 대한 지속적인 경계를 당부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OVID 사망 1).jpg (File Size:73.7KB/Download:16)
  2. 종합(COVID 사망 2).jpg (File Size:78.8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57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동결... 3개월째 1.5%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4356 호주 호주인 기대수명... 여 84.5세, 남 80.4세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4355 호주 “호주, 관광객 끌어 들이려면 호텔 더 지어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4354 호주 지난 1년 사이, 시드니 주택가격 가장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4353 호주 노동당, 불법난민 호주 입국 영구 금지에 강력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4352 호주 의료용 마리화나 재배, 가능하게 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4351 호주 지구촌 사람들이 잘못 생각하는 호주인의 삶 11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4350 호주 글리브 테라스, 투자자 열기로 젊은 구매자 기회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0.
4349 호주 호주 내 유학생을 위한 서비스 기구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0.
4348 호주 북부 호주(NT) 여행 광고, ‘선정성’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0.
4347 호주 시드니 명소 ‘피시마켓’, 블랙와틀 베이 이전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0.
4346 호주 벨필드 주택 중간가격, 아직은 100달러 미만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0.
4345 호주 부모들이 잘못 인식하는 10개의 직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0.
4344 호주 NSW 주 노동당, ‘구간 과속단속’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0.
4343 호주 ‘싱글데이’ ‘블랙프라이데이’... 온라인 할인 줄이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0.
4342 호주 치스윅 지역 주택가격, 모스만-더블베이 추월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0.
4341 호주 시드니 한인동포 제임스 최, 주한 호주대사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0.
4340 호주 시드니 지역, 산불위험 가장 높은 곳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0.
4339 호주 21 books Warren Buffett thinks you should read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0.
4338 호주 키리빌리 소재 1개 침실 유닛 90만 달러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