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아암 생존율).jpg

퀸즐랜드(QLD) 주를 기반으로 하는 소아암 연구원들의 연구 결과, 지난 수십 년 사이 보다 나은 치료법의 지속적 발전으로 소아암 환자 생존율이 최근 몇 년 동안 지속적인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치료를 받고 있는 한 어린이 환자. 사진 :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ustralian Childhood Cancer Registry’ 데이터 기반의 ‘암 위원회’ 연구 결과

 

호주 암 위원회(Cancer Council Australia)의 새로운 연구 결과 암에 걸린 호주 어린이의 생존이 지속되고 있다는 분명한 증거가 나타났다.

지난 1983년부터 2016년까지 호주의 아동기 암 생존 및 사망 모면(avoided deaths)에 관한 암 위원회의 새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원들은 지난 40년간 암 발병으로부터의 생존율이 개선된 덕분에 15세 미만 소아암으로 인한 실제 사망자는 상당히 감소했음을 확인했다.

연구원들은 보조적 조치들(supportive care)과 결합된 보다 나은 치료법의 지속적 발전으로 소아암 환자의 생존율이 최근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다고 결론지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퀸즐랜드 암 위원회(Cancer Council Queensland), 퀸즐랜드 아동병원(Queensland Children’s Hospital), 퀸즐랜드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 및 퀸즐랜드 주 정부 의료연구 기관인 ‘QIMR Berghofer Medical Research Institute’의 연구원들은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고 가장 포괄적이라는, 국가 소아암 데이터 뱅크 중 하나인 ‘Australian Childhood Cancer Registry’(ACCR)의 정보를 활용했다. ACCR은 퀸즐랜드 암 위원회에서 기금을 지원, 관리하는 기관이다.

이번 연구 보고서의 책임 저자이자 퀸즐랜드 암 위원회 연구원인 대니 율던(Danny Youlden) 부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한 내용은, 어린이 암 환자 가족들에게 호주의 소아암 생존율이 세계 최고라는 확신을 주었다”고 말했다. 이어 “소아암 환자의 생존율 향상이 이번 연구에서 확인됐다”고 밝힌 율던 부교수는 “이는 매우 반가운 결과”라고 덧붙였다.

연구에 따르면 모든 아동기 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1983년에서 1994년 사이 73%였으나 2007년에서 2016년 사이 86%로 높아졌다. 이는 15세 미만 소아암 환자 가운데 사망할 것으로 예상된 1,500명 이상, 전체적으로 39%의 어린이 암 환자가 죽음을 피했음을 의미한다.

암 환자의 생존율 추세는 암 치료 및 후속 치료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한다. 이번 연구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여러 유형의 소아암 환자가 사망을 면한, 암 치료에 있어서의 상당한 개선을 강조하지만 몇 가지 예외는 남아 있다. 가령 간암이나 특정 유형의 뇌, 뼈 종양으로 진단받은 어린이의 생존율은 거의 또는 전혀 진전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율던 부교수는 “이번 발견은 소아암 연구에 대한 추가 투자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또한 소아암 환자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ACCR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소아암은 매우 드물지만 어린이와 그 가족에게는 매우 중요하다”며 “이 연구는 소아암 진단의 영향을 받는 가정의 결과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도 함께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호주 암 위원회(Cancer Council Australia) CEO인 타냐 뷰캐넌(Tanya Buchanan) 교수도 암 진단을 받은 모든 어린이가 희망을 갖고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뷰캐넌 교수는 “연구에 투자함으로써 우리는 모든 이들에게 암의 영향을 줄이는 데 지속적으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는 그 투자의 영향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연구원들이 더 많은 방향을 모색할수록 더 많은 암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와 관련해 퀸즐랜드 어린이병원 소아 종양 전문의이자 퀸즐랜드대학교 부교수인 앤디 무어(Andy Moore) 박사는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소아암의 전반적 생존율이 지난 수십 년 사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중요한 점은, 안타깝게도 소아암 환자의 예방된 사망자 수를 강조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무어 박사는 “호주의 1~14세 어린이들 사이에서 암은 여전히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남아 있고, 우리(의료진)에게는 치료 가능한 암은 물론 결과가 좋지 않은 어린이 환자 모두에게 더 나은 치료방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소아암 생존율).jpg (File Size:54.2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7 호주 Popular small town or ghost town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16 호주 “시드니, 3개 ‘시티’ 지역으로 발전 전략 세워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15 호주 턴불-베어드, 시드니 서부 ‘City Deal’ 열변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14 호주 “호주 국가 경제, NSW 주가 선도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13 호주 개발업자 인센티브, ‘적정 주택가격’ 해결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12 호주 변화의 시대, 호주 기업들은 어떤 인재를 원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11 호주 FWO, 근로조건 위반 업체 적발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10 호주 올해의 ‘맨부커상’, 미국 작가 폴 비티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09 호주 유명 해안의 상어 공격, 가장 많은 비치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08 호주 ‘적합한 거주지 선택’ 주제의 패널 토론, 그 결론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07 호주 유명 화가 벤 퀼티, 뮤란 스쿠마란 작품 전시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06 호주 호주 남녀평등지수, OECD 국가 평균에 미달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05 호주 9월 분기 물가 0.7%↑, 기준금리는 그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04 호주 아난데일 오랜 주택 ‘Oybin’, 312만 달러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16.10.27.
903 호주 10 best country towns for day trips near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02 호주 노동당, ‘동성결혼’ 관련 국민투표 거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01 호주 베어드, ‘그레이하운드 경주 전면 금지’ 철회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900 호주 주류제공 업소 영업시간 축소 등으로 호주인 술 소비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899 호주 멜번, 전 세계 도시별 주택가격 상승 43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898 호주 90년 넘는 포드자동차 호주 생산, 최종 종료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