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재해지원금).jpg

NSW 주 정부 및 연방정부가 공동으로 지난달부터 이어진 NSW 각 지역의 홍수피해 스몰비즈니스에 재해지원금을 제공한다. 사진은 NSW 주 ‘Service NSW’의 지원금 신청 페이지을 캡쳐한 것임.

 

‘Service NSW’ 통해 최대 5만 달러... 주 정부, ‘5일 이내 즉각 지원’ 방침

 

6월과 7월 사이, 심각한 폭풍과 홍수로 피해를 입은 스몰비즈니스 및 비영리(not-for-profit. NFP) 단체는 ‘Service NSW’를 통해 최대 5만 달러의 홍수피해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다.

NSW 주 서비스 및 디지털부 빅터 도미넬로(Victor Dominello) 장관은 “이 보조금은 자연재해 구역으로 선포된 NSW 주 37개 지방정부 지역의 스몰비즈니스에 필요한 생명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2월 및 3월에 이어 6월부터 7월 사이의 또 한 번의 대규모 홍수는 광역시드니, 일라와라(Illawarra),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 및 헌터 지역(Hunter region)에 치명적 영향을 미쳤다.

도미넬로 장관은 “이 지원 패키지는 우리 지역사회의 중추인 스몰비즈니스가 하루 빨리 홍수 피해로부터 회복하고 지속적인 비즈니스가 이루어지도록 ‘즉시 지원’ 한다는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NSW 서비스부에 따르면 이 지원 패키지 지원에 필요한 문서 작성 또는 자격 여부가 확실치 않을 경우 고객관리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지원금 신청이 승인된 경우 정부의 ‘즉각 지원’ 방침에 따라 정부 업무일 기준으로 5일 이내 신청인의 계좌로 지원금이 입금된다.

NSW 긴급 서비스 및 재해복구부의 스테프 쿡(Steph Cooke) 장관은 이번 홍수피해 보조금에 대해 “연방 및 주 정부가 공동 지원하는 것으로 사업장 청소 및 시설 수리, 재고 보충 및 재오픈에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장관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자연재해로 일부 스몰비즈니스는 지난 18개월 사이 네 차례나 홍수 피해를 입기도 했다”면서 “이런 점을 감안해 지원 절차를 최대한 간단하게 하고 지원금 제공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거짓 신청은 용납하기 않겠다”고 말했다. 장관은 “올해 초 NSW 주 정부가 제공한 재해 지원에서 입증된 것처럼 거짓 피해 신청은 정부의 평가 시간을 낭비하게 만들고 진정 도움이 필요한 신청인에게 제공되는 시간을 지연시킨다”고 강조했다.

폭풍 및 홍수 피해 지원금 수혜 자격이 있는지 여부 및 신청은 ‘Service NSW’ 웹사이트 해당 페이지(https://www.service.nsw.gov.au/transaction/june-and-july-2022-storm-and-flood-business-support)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원금 신청시 도움을 받고자 하는 스몰비즈니스는 ‘Service NSW’의 ‘Business Concierge’ 사이트(https://mybusiness.service.nsw.gov.au/concierge)에서 콜백을 요청하거나 전화(13 77 88)을 이용하면 된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재해지원금).jpg (File Size:45.1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77 호주 연립 여당 우선투표 지지, 40% 이하로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876 호주 정부, 이민자 고령 부모에 5년 비자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875 호주 호주인 60%, 무슬림과의 결혼에 ‘우려’ 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874 호주 6-8월 구직시장, ‘화이트 칼라’ 직업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873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문제, 호주인 의식 변한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872 호주 시드니 인구 빠른 속도로 증가, 주택난 심화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871 호주 원주민 건강 실태, 비원주민 비해 크게 ‘악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870 호주 중국인들은 왜 호주 부동산 구입에 열광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869 호주 대형 항공사들, 항공료 외 수십억 달러 수익 올려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868 호주 직장내 성 소수자-남녀 차별, 생산성 저하로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867 호주 브론테 해안의 ‘타임 캡슐’ 주택, 735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866 호주 Events in Bluemountains on this Spring season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865 호주 FWO, 한인 커뮤니티 ‘관행 임금’ 주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864 호주 원주민 출신 의원들, ‘증오 거부’ 한 목소리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863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인기, 토니 애보트-줄리 비숍에 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862 호주 HSC 시험 수학과목 등록 비율, 50년래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861 호주 NSW 주 정부 고용정책, ‘혜택’은 대기업에만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860 호주 시드니 주택시장 성장, “여전히 진행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859 호주 “시드니, ‘산책하기 좋은 코스’는 거의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858 호주 바삼 함지, ‘수퍼맥스 교도소’서 휴대전화 사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