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HSC 부정시험 1).jpg

2021년 NSW 주의 HSC 시험에서 평가 대상자의 부정행위 적발이 이전에 비해 27%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은 이 같은 원인에 대해 전염병 사태에 의한 스트레스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HSC 시험을 치르는 하이스쿨 학생들. 사진 : Waverley College

 

표절, 승인되지 않은 메모지 사용 등 216개 학교서 734명 이상 ‘위법’ 기록

 

NSW 주의 대학입학을 가름하는 2021년도 HSC(Higher School Certificate) 평가대상 학생 수백 명이 부정행위로 적발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전 해에 비해 27%가 증가한 수치이다.

NSW 교육 당국인 ‘NSW Education Standards Authority’(NESA)가 최근 내놓은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HSC 시험이 치러진 216개 학교에서 734명 이상의 학생이 관련된 854건의 학교 기반 평가 부정행위가 기록됐다.

NESA는 이 같은 부정행위 증가에 대해 12학년 학생들의 정신적 압박감 증가 및 COVID-19 스트레스 때문인 것으로 진단했다.

2021년도의 부정행위 적발은 2019년 대비 27%, 2018년과 비교하면 14% 늘어난 것이다.

부문별로 보면 표절(plagiarism)은 2018년 대비 30%가 늘어난 545건으로 가장 흔한 형태의 부정행위였으며, 다른 학생과의 공모, 평가제출 지연, 인정되지 않은 노트 사용이 뒤를 이었다.

평가 과목 가운데 ‘English Advanced’에서는 88건의 위반이 기록돼 가장 많은 학생이 범한 부정행위였으며 ‘English Standard’ 과목에서는 86건이 기록됐다. ‘사회 문화’(Society and culture)에서도 학생 1,000명당 5.5건의 부정행위가 적발됐다.

디킨대학교(Deakin University) ‘Centre for Research in Assessment and Digital Learning’ 책임자인 필립 도슨(Phillip Dawson) 교수는 높은 비율의 시험 부정 기록에 대해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는 게 합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슨 교수는 “일부 연구원들은 교사와 학생간 관계 및 상호 작용으로 부정행위 방지가 가능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전하며 “(학생들 입장에서는) 매우 힘든 시간이었고, 관련 연구를 보면 사람들이 절망적 상황에 처했을 때 속임수의 유혹에 대항하는 게 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NSW 하이스쿨 교장협의회(NSW Secondary Principals’ Council)의 크레이그 피터슨(Craig Petersen) 회장은 “부정행위를 적발한 것은 잘한 일이지만, 이 적발 수치는 중요한 평가시험이 학생들에게 얼마나 큰 압박을 주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피터슨 회장은 이어 “HSC 평가를 잘 받아야 한다는 정신적 부담은 부정행위가 발생하는 환경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반면 우리는 평가시험에서의 위법을 적발하는 능력을 향상시켰고, 그 감지 기술도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NESA의 이번 데이터는 HSC 지원자가 있는 모든 학교에서 학교기반 평가 작업을 위해 유지해야 하는 과실등록을 기반으로 한다. 이 등록부는 독립 부패방지위원회(Independent Commission Against Corruption)가 시험에서의 부정행위 조사 시작, 7년 후인 지난 2014년 설정된 것이다.

2021년도 부정행위는 216개 학교에서 기록되었으며 2020년에는 220개 학교, 2019년 222개 학교였다.

 

종합(HSC 부정시험 2).jpg

NSW대학교 학문윤리(academic integrity) 연구원인 캐스 엘리스(Cath Ellis. 사진) 교수는 시험에서의 부정행위 증가에 대해 “주로 고등교육 부문에서 온라인 평가로 더 많이 전환되어 학생들에게 부정행위를 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을 전했다. 사진 : UNSW eLearning이 업로드한 유투브 동영상 캡쳐

   

또한 지난해 41명의 학생이 43건의 부정행위로 당국의 시험규칙위원회에 출석하는 등 HSC 평가와 관련된 위법이 늘어났다. 2020년, 동 위원회에 출석해야 했던 학생은 28명, 2019년 35명, 2018년에는 26명이었다. 2021년 위법 적발에는 인정되지 않은 노트를 참고하다 적발되거나 휴대전화 사용, 이어폰을 끼고 있던 응시자도 있었다.

응시 학생들이 제출한 답안에 외설적 내용을 적었거나 객관식 질문에만 답하는 등 시험에 진지하게 응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학생도 215명에 달했다.

NSW대학교 학문윤리(academic integrity) 연구원이자 ‘School of the Arts and Media’ 학부의 캐스 엘리스(Cath Ellis) 교수는 “일화적으로(anecdotally), 전염병 사태가 시작된 후로 교등교육 부문에서 부정행위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엘리스 교수는 “주로 이 부문에서 더 많이 온라인 평가로 전환되어 학생들에게 부정행위를 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라며 “심지어 부정행위를 지원하는 치팅 서비스(cheating services) 회사는 종종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격적으로 학생들을 표적화 함은 물론 고등교육뿐 아니라 하이스쿨 학생을 대상으로 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여기에다 COVID-19 대유행은 학생들에게 추가로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는 게 그녀의 설명이다.

하지만 NESA 대변인은 2021년 NSW 주의 HSC 평가대상 학생 중 부정행위 적발은 “믿을 수 없을 만큼 적은 수치”라고 주장하면서 “대다수 HSC 응시 학생들은 이 시험과 학교기반 평가 규칙을 따르기에 이런 작은 실수 사례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전했다.

디킨대학교 도슨 교수가 진행한 호주 고등교육 부문 연구에 따르면 호주 하이스쿨 학생 10명 중 1명은 ‘자신의 학습 과제를 다른 사람에게 위탁했다’는 답변이었다.

도슨 교수는 “전염병 사태가 시작된 이후 해외에서도 온라인 치팅 사례가 증가했다는 증거가 있다”며 “시험 부정행위를 위한 계산기나 숨겨둔 이어폰 등 다양하고 전문적인 부정행위 기술 도구들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런 제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음은 물론 학생들을 대상으로 마케팅 되고 있다는 게 도슨 교수의 지적이다.

 

■ 부정행위 다수 적발 과목

(과목 : 적발 수 / 1천 명당 위반자)

-English Advanced : 88명 / 3.6명

-English Standard : 86명 / 2.7명

-Personal Development,Health & PE : 49명 / 3.0명

-Biology : 40명 / 2.1명

-English Studies : 40명 / 4.5명

-Modern History : 39명 / 3.6명

-Legal Studies : 38명 / 3.6명

-Community & Family Studies : 34명 / 3.8명

-Ancient History : 31명 / 4.9명

-Chemistry : 31명 / 3.1명

Source: NSW Education Standards Authority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HSC 부정시험 1).jpg (File Size:135.0KB/Download:14)
  2. 종합(HSC 부정시험 2).jpg (File Size:36.8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57 호주 호주 어린이들, ‘스크린’에 매달리는 시간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856 호주 여행 상식- 여권 표지의 색상, 그 의미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855 호주 달아오른 시드니 주택시장, 경매 낙찰률 85.1%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854 호주 Top ten Australian outback pubs for an ice-cold beer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853 호주 턴불 내각, ‘동성결혼’ 허용 관련 국민투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852 호주 시드니 시티 클로버 무어 시장, 네 번째 임기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851 호주 시드니 남부 ‘민토’서 20대 남자, 행인에 흉기 공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850 호주 호주 대학 중퇴자 비율, 지난 10년 사이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849 호주 ‘Lockout Laws’ 검토, 영업시간 조정 가능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848 호주 NSW 주 유학산업, 연 20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847 호주 인터넷 접속 속도 가장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846 호주 호주 가정, ‘의료 및 전기료 지출’ 가장 걱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845 호주 호주에서 가장 흥미로운 이름을 가진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844 호주 시드니 주택, 경매 잠정가에서 100만 달러 이상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843 호주 10 things in Australia you can only experience by train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842 호주 레스토랑에서의 와인 고르기, 어떻게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841 호주 20년 내 ‘지식 근로자’, 노동시장 3분의 2 차지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840 호주 ‘뉴스타트’ 추가 보조금 삭감 계획에 ‘우려’ 고조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839 호주 지난 6개월간의 연방 의원 업무비용, 5천50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838 호주 광역 시드니, ‘youngest’ & ‘oldest’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