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수학 1).jpg

앞으로 대학에서 STEMS(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smatics) 학부를 전공하려는 학생들은 2유닛 수학을 이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과학아카데미 권고... 연방 교육부도 필수 선행과목 도입 권고

 

앞으로 대학에서 과학(science), 엔지니어링(engineering) 또는 상업(commerce)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반드시 중급수학 과정을 이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호주 과학아카데미’(Australian Academy of Science. AAS)가 작성한 보고서에서 권고한 것으로, 지난 주 목요일(17일) 연방 교육부 장관이 내놓은 10년 계획안은 미적분 과정을 포함한 중급 수준의 수학을 호주 전 대학의 이공계분야(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smatics) 필수 선행 과목으로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AAS의 ‘호주 수리과학연구원’(Australian Mathematical Sciences Institute. AMSI)가 작성한 보고서에 의하면 현재 대학과정 과학 학부의 14%만이 12학년 재학 중 2유닛의 고급 HSC 과정에 준하는 중급 수학 선행 이수를 요구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AMSI의 제프 프린스(Geoff Prince) 교수는 그러나 이번 조치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했다.

프린스 교수는 “이는 학생들, 학부모들에게 수학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고 하이스쿨 전 과정에서 수학 수강을 포기하도록 하는 압력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12학년 때 중급 수학을 잘 이행한 학생들에 비해 수학 준비 과정이 적절하게 주어지지 않은 학생들의 수행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자료에도 불구하고, 현재 NSW 내에서 이공계열 학부 입학을 위한 수학 선행 요건을 강요하는 대학은 없다.

‘호주 교육 저널’(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이 지난 2013년 HSC에서 대략 5만여 명의 수학 응시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일반 수학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차등적 혜택이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그러나 대학들이 엄격한 의미의 필수 선행 과목으로서가 아닌 ‘추정 지식’(assumed knowledge)으로 응시 요건을 변경함에 따라, 난이도 높은 수학과정을 이수하려는 하이스쿨 학생 수는 감소했고, 이는 실제 대학에서 낙제율만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게 AMSI의 주장이다.

연구원은 “호주 내 많은 대학에서 나타나고 있는 이공계열 등록률 하락세를 이러한 변화의 일부 원인으로 볼 수도 있지만, 한편 1990년대 초반에 시작된 일종의 경향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프린스 교수는 “따라서 STEM 학부 등록률 감소가 지속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필수 과목 선행 이수가 단계적으로 도입되어야 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AAS가 이번 보고서를 통해 내놓은 12개의 권고안 가운데는 비전문 수학교사에 대한 전문적 교육을 촉구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프린스 교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은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선행 과목을 도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월 시드니대학교는 늦어도 2019년부터 이공계열 학부 지원 학생들에게 중급 수학 선행 이수를 요구할 것이라 밝혔다.

시드니대학교 타이론 칼린(Tyrone Carlin) 부총장은 “우리는 12학년 재학 중 2유닛 수학 과목을 이수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사이에 학업 성취도에서 주목할 만한 차이점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매우 명확한 자료들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방 의회에서 이에 대한 보고자로 예정된 교육부 장관 사이먼 버밍햄(Simon Birmingham) 상원의원은 2유닛 중급 수학 과정 선행 이수는 현 세대의 학생들과 미래를 위해 “명확한 길을 열어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장관은 “호주의 가장 급성장하는 산업 가운데 대략 75퍼센트 가량이 과학, 기술, 공업, 수학 능력 등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이는 우리가 왜 더 많은 학생을 이 분야에 유치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1억1,200만 달러의 예산을 투입했는지를 설명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호주 ‘대학입학센터’(University Admissions Centre. UAC)의 정보서비스부 책임자인 킴 파이노(Kim Painoh)씨는 지난해 시드니 모닝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개혁안이 새로운 순차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교육위원회(Board of Studies) 및 UAC와 대학들 사이에 협조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호주 수리과학위원회의 이번 계획안은 비전문 수학교사 훈련을 비롯해 산업과 연구를 잇는 새로운 국립 수학연구센터 건립 등은 12개의 주요 대책을 제안하고 있다.

 

강세영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수학 1).jpg (File Size:41.8KB/Download:4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37 호주 미니멀리즘과 웰빙... 삶에 필요한 물품의 ‘최소화’가 더 나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4736 호주 2023 NSW 주 선거... 2019년 이후 정치 지도, 크게 바뀌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4735 호주 호주의 높은 주택가격, “기준금리의 문제 아니라 인구통계학적 요인 때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4734 호주 소셜 카지노 게임, 실제 도박 행위로 간주될 수 있을까... 연방의회 검토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4733 호주 NSW 주 선거... 젊은 유권자들이 정치권에게서 듣고 싶어 하는 정책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4732 호주 Shouldering a heavy burden... 호주 학생들의 등교가방 ‘무게’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4731 호주 AFP, 다문화 커뮤니티 대상으로 ‘외국 간섭 신고’ 캠페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4730 호주 대학 졸업 신입 연봉 6자릿수 직종은... 치과 전공자 초봉 1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9 호주 2022년도 NAPLAN 결과... 학업성취 높은 NSW 주 소재 학교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8 호주 배우 휴 잭맨, “호주의 공화제 전환, 불가피하다고 본다” 개인 의견 피력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7 호주 NSW 주 학부모들, 자녀 공립학교 등록 기피... 15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6 호주 Google-Microsoft가 내놓은 AI 검색 챗봇, 아직 ‘완벽’하지 않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5 호주 블루마운틴의 인기 여행 명소 중 하나 Zig Zag Railway, 조만간 재개통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4 호주 팬데믹 이후의 가격 성장, 지난해 시장 침체로 상당 부분 사라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3 호주 올 1월 호주 실업률, 전월 3.5%에서 계절조정기준 3.7%로 소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2 호주 하루 약 100만 달러에 이르는 SMS 사기, 방지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1 호주 “학교 내 휴대전화 전면 금지, 학업 측면에서 학생에게 불이익 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0 호주 올해 ‘Sydney Children's Festival’, 달링하버서 개최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19 호주 “더 오래도록 보고 싶게 만드는 흥미롭고 매력적인 공연... 아름답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18 호주 시드니 각 교외지역, 파트너 없이 홀로 거주하는 인구 비율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